$\cdot$일 전통 주거공간의 '중간영역'에 관한 연구 - 공간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역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between Space'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in Korea and Japan - Focused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ociocultural Roles -

  • 박형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
  • 박세정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
  • 김문덕 (건국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 발행 : 2005.06.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in Korea and Japan as analy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ociocultural roles of the 'in-between space' shown in their traditional dwelling space. Although they share culture area, it is meaningful to clarify the identity of both countries with many differences as the point of localization In globalization and the point of presenting the current and future directions of residential culture in both countries. Records and field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sociocultural role focused on Ma-dang and Dae-chung in case of the 'in-between space' in Korean traditional dwellings and Inner housing, Doma, and Engawa in Japan. According to these finding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common between Korea and Japan are open, half-open, separation, mitigation, integration, variation, continuation, hierarchy, mediation, and expansion. The 'in-between space', built by the separate Chae and Kan, of Korean traditional dwellings shows the separation by closed walls and the exclusive use by the fixed walls. In case of Japan, the integrated in-between space built by the separation of Kan shows open and connective tendencies and the variableness of walls has the tendency making ambiguous space with spatial softness. The sociocultural role of the 'in-between space' in Korean traditional dwelling space functions as the mitigation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house as well as the male and female. Because the conception for protecting the private life is too weak, the sociocultural role of the 'in-between space' in Japanese traditional dwelling space seldom forms the space for an individual or the specific person among family. The space to welcome a guest functions as the mitigation between residents and outsiders as it is located in the inside of the private dwelling spac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란기, 마루의 공간적 의미, 건축과 환경, 1987.1
  2. 안영배,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보진제, 1998
  3. 윤장섭, 日本의 建築,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4. 주남철,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5. 김동욱,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3
  6. 渡辺 保忠, 加藤角一, 建築講座5 歴史, 彰國社, 日本, 1962
  7. 井上 充夫, 日本建築의 空間, 鹿島出版會(日本), 1971
  8. 伊藤 ていじ, 日本 デザイン論, 鹿島出版會(日本), 1971
  9. 西山 夘三, 住居論, 勁草書房, 日本, 1977
  10. 山本 祐弘, 日本建築史, 彰園枇, 日本, 1978
  11. 扇田信 外9人, 新建築學大系 住居論, 大光書林編輯部譯, 大光書林, 1991
  12. 日本住文化硏究會, 住まいの文化, 學藝出版社(日本), 1999
  13. 中川 武, 日本の 家, TOTO出版, 日本, 2002
  14. 磯崎 新, 建築に おける 日本的な もの, 新潮社(日本), 2003
  15. 内田 繁, 沖健次, Interior Design, 六耀社, 日本, 2003
  16. 宮川 映二, 문석창 역, 建築的 空間, 기문당, 1982
  17. 黑川 紀章, 편집부 역, 길과 건축, 태림문화사, 1986
  18. Amos Rapoport, House Form and Culture, 주거형태와 문화, 이규목 譯, 열화당, 1987
  19. 鈴木 茂文, 이현희 역, 현대일본주거읽기, 국제출판사, 1999
  20. 保板 陽一, 경계의 형태 그 건축적 구조, 이진민 역, 한국산업훈련연구소, 1999
  21. 김미나, 조선시대 주거공간의 경계구조에 관한 연구, 부산대 석론, 1997
  22. 김연정, 동서양 전통적인 주택 양식의 실내공간 특성 비교분석 연구, 연대 석론, 1999
  23. 송성은, 韓國と日本における近代初期都市の住宅研究,大阪藝術大學大學院 博士 論文, 2001
  24. 윤현정, 한국 전통 주거공간에 있어서 경계공간의 개념 및 특성, 세종대 석론 2002
  25. 윤장섭, 한국과 일본의 민가건축 비교 고찰, 대한건축학회 23권 68호, 1979, 6
  26. 이배화, 한국전통건축에 나타난 공간구성의 유형학적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8.2
  27. 이배화, 대립 . 역동 . 조화의 이론과 한국전통 건축에 있어서 공간 구성의 실체,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1.4
  28. 김종헌 . 주남철, 한국전통주거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 분화과정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 2호, 1996.2 219
  29. 노동성, 홍대형, 관가정의 건축공간 구성수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5권 12호, 1999.12
  30. 이진길, 한국전통건축의 사이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권 1호, 2001,1
  31. 차명렬, 상류주택 누마루의 권위성과 상징성, 건축과 환경, 1987.1
  32. 이진민, 동양의 가구 한 . 일 . 중을 중심으로, 월간인테리어 통권155호, 199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