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dependent on Geologic Conditions

지질조건에 따른 사태물질 이동특성 고찰

  • Chae Byung-Gon (Korea Institi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Won-Young (Korea Institi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Lee Choon-Oh (Korea Institi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Kyeong-Su (Korea Institi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Cho Yong-Chan (Korea Institi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Song Young-Suk (Korea Institi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채병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팀) ;
  • 김원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팀) ;
  • 이춘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팀) ;
  • 김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팀) ;
  • 조용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팀) ;
  • 송영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팀)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Properties of sliding materials are dependent on the lithology because debris is the product of rock weathering processes. In order to characterize transportation behavior of debris dependent of debris types, this study selected 26 debris flows over three areas composed with different rock weathering types and topographic conditions. Analyses of lithology, weathering,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performed by detailed field survey. Based on the field survey data, transportation behavior of debris was studied at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of grain size and volume of debris as well as topographic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change of slope angle is very influential factor on runout distance of debris among the topographic factors. Because the sliding velocity and the energy of debris are frequently changed and more irregular on an undulating slope, the unout distance of debris is larger than that of an uniformly dipping slope. Runout distance of debris is also influenced by volume and grain size of debris. Volume of debris in the gabbro is four or five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granite area because it is controlled by the lithology. Considered with grain size distribution, runout distance of debris is longer in the gabbro area which is composed with irregular grain size bearing large corestones than that in the medium grained granite area.

토석류 산사태물질은 암석의 풍화 산물이므로 사태물질의 특성은 그 지역에 분포하는 기반암의 종류에 의존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태물질의 종류에 따른 이동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암석의 풍화 특성과 지형 조건이 서로 다른 3개 지역에서 발생한 26개 산사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산사태 발생지점의 정밀야외 조사를 통하여 암석의 종류, 풍화 및 지형 특성 등을 분석하였고 사태물질의 입도분포와 체적에 따른 이동과 지형 특성과의 관계를 추적하였다 지형조건 중 사면의 경사변화는 사태물질 이동거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경사 변화가 많을 경우 사태물질의 확산속도와 에너지가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한 경사를 따라 사태물질이 흘러내리는 것보다 더 큰 이동거리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사태물질의 이동거리는 사태물질의 체적과 입도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사태물질 체적은 지질특성에 확연히 구별되어 반려암 지역의 경우 화강암 지역에 비해 $4\~5$배 크다. 사태물질의 입도측면에서 중립질의 화강암 분포지역보다 대규모 핵석이 발달하고 풍화심도가 불규칙적인 반려암 지역에서 사태물질 규모 및 이동거리가 훨씬 크게 나타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영, 채병곤, 조용찬, 김경수, 이춘오, 송영석, 2004, 산사태 위험도 산정시스템 및 피해저감기술개발, 국무총리, KR-04(연차)-13-3
  2. 서용석, 채병곤, 김원영, 송영석, 2005,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사태물질 이동거리 산정, 지질공학, 제15권, 제2호, 145-154
  3. Hutchinson, J., 1988, Morphological and geotechnical parameters of landslides in relation to geology and hydrogeology, Landslide Proc. 5th. Int. Symp. on Landslides, 1, 3-35
  4. Johnson, A. and Rodine, J., 1984, Debris flows. In Slope Instability (Eds D. Brunsden and D. Prior), 257-361
  5. Johnson, A. M. & Rahn, P., 1970, Mobilization of debris flows, Z. Geomorphology N.F, Suppl.-Bd, 9, 168-186
  6. Major, J. J., 1997, Depositional processes in large-scale debris flow experiments, The Jour. of Geology, 105, 345-366 https://doi.org/10.1086/515930
  7. Rapp, A., 1986, Slope processes in high latitude mountains, Progress in Physical Geol., 10, 53-67 https://doi.org/10.1177/030913338601000103
  8. Suwa, H., Okunishi, K., Sakai, M., 1993, Motion, debris size and scale of debris flows in a valley on Mount Yakeda, Japan, in Sediment Problems: Strateties for Monitoring, Prediction and Control, 239-248
  9. 千木良雅弘, 1997, 風化と崩壞, 近未来社, 名古屋, 49-87
  10. 諏訪 浩, 澤田豊明, 新井宗之, 高橋 保, 水山高久, 1997, 粘性土石流の發生, 流動, 堆積のメカニズ厶と対策, 京都大學防災硏究所年報, 第40号, IDNDR特別号, 159-166
  11. 諏訪 浩, 奥西 一夫, 1990, 土石流の流動特性․材料特性 と規模, 京都大學防災硏究所年報, 33(B-1), 19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