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Structure of the Region from Dongchanggyo to Deogjusa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월악산국립공원 덕주사-동창교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 김갑태 (상지대학교 생자대) ;
  •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egion from Dongchanggyo to Deogjusa in Woraksan National Park, 23 plots$(4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hree groups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molica community, Mixed Broad-leaved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and Fraxinus rhynchophyllai were found as a major woody plant species in Woraksan National Park region. In this area,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were dominated partially. In the future, the importance percentage of Pinus densiflora might be decreased, but those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and Fraxinus rhynchophyllai might be increas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Acer pic tum and Corylus heterophylla, Betula schimidtii; Acer pseudosieboldianum, Cornus controversa ; Stephanandra incisa and Symplocos sawafutagi, Lespedeza maximowixzii ; Symplocos sawafutagi and Fraxinus rhynchophyllai, Lespedeza maximowixzii; Fraxinus rhynchophyllai and Acer pseudosieboldianum, Lespedeza maximowixzii; Quercus variabilis and Fraxinus sieboldiana; Corylus heterophyll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cer pseudo sieboldianum and Lespedeza maximowixzii, and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lations was proved between Quercus serrata and Betula schimidtii;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serrata; Corylus heterophylla and Lindera erythrocarpa.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from $1.2393\~1.3674$ and it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ose of the ridge area of other national parks.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덕주사-동창교 지 역 에 23개의 방형구$(4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3개 조사구는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군집, 활엽수혼효림군집 등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은 신갈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물푸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신갈나무와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신갈나무, 졸참나무, 물푸레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점 차 커질 것이라 판단된다. 고로쇠와 난티잎개암나무, 박달나무, 당단풍, 층층나무 ; 국수나무와 노린재나무, 조록싸리 ; 노린재나무와 물푸레나무, 당단풍, 조록싸리 ; 물푸레나무와 당단풍, 조록싸리 ; 굴참나무와 쇠물푸레 ; 난티잎개암나무와 철쭉 ; 당단풍과 조록싸리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졸참나무와 박달나무 ;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 난티잎개암나무와 비목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조사지 의 군집 별 종다양성도는 $1.2393\~1.3674$의 범위로 다른 국립 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a)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2.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b)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3.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소청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2): 240-250
  4. 김갑태, 백길전(1997)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 학회지 11(4): 391-398
  5. 김갑태, 백길전(1998) 태백산 장군봉지역 주목림의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2(1): 1-8
  6. 김갑태, 추갑철(1999) 덕유산 아고산지대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70-77
  7.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군집-. 환경생태학회지 13(4): 299-308
  8. 김갑태, 추갑철(2003) 백두대간 노고단-고리봉 구간의 식생 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41-448
  9.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 엄태원(1995) 주왕산 국립공원 왕거암, 금은광이 지구의 삼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8(2): 142-149
  10.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7) 북한산 지역의 산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1(1): 1-23
  11. 박인협(1981) 경기도 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쪽
  12.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77pp
  13.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