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itude and Purchase Frequency toward Foreign Luxury Goods Related to Age and Social Stratification Variables

연령과 사회계층 변인에 따른 해외 명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빈도

  • Chae Jinmi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Rhee Eun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ost pursuasive social stratification variable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foreign luxury goods and the purchase frequency and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foreign luxury goods and the purchase frequency among groups divided by age and social stratification variables. The subjects were 521 married women over 25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requency and percentage. Social stratification was measured by family's monthly income,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levels of married women's and their husbands' for an objective method while economic levels, social status, consumption levels, and cultural levels were used fer a subjective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explainable variable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foreign luxury goods and the purchase frequency were age and women's educational levels examined by the objective method of social stratifi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subjective method of social stratification, the attitude toward foreign luxury goods and the purchase frequency were affected by age, economic levels, consumption levels, and cultural levels. Consumption levels which showed actual expense per family were the most explainable variable in the purchase frequency.

Keywords

References

  1. 김길호. (2004). 구매 행동에 영향을 주는 명품 브랜드 선호도의 결정 변수: 청소년의 패션 제품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대영. (2004). 명품 마케팅-브랜드, 신화가 된다. 미래의 창
  3. 김미승. (2001). 외국 유명브랜드 구매에 관한 결정적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병조. (2000). 한국인 주관적 계층의식의 특성과 결정요인. 한국사회학, 34, 241-268
  5. 김수진. (2004). 명품소비자의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영모. (1982). 한국사회계층 연구. 서울: 일조각
  7. 김재문. (2002). 명품의 조건. LG 주간경제, 5월호
  8. 김정호. (1977). 사회계층과 의복형태-서울시내 가정주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곽현주. (2002). 해외 유명상품의 과시적 소비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부산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류지선. (2004). 소비자 특성이 온라인 명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문정민. (2003).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와 수입명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특성 연구-추구 혜택과 제품평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송용섭. (1982). 현대소비자 행동론. 법무사
  13. 양정하. (2003). 패션 제품의 명품 추구혜택, 상표충성, 유행 선도력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유명의. (1993). 의복의 과시적 소비현상과 사회계층과의 관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이금실. (1992). 사회계층변인에 따른 여성의 의복태도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이승희, 신초영. (2002). 여대생의 패션복 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물질주의와 쇼핑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11), 1537-1546
  17. 장혜원. (1996) 사회계층에 따른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조은아, 김미숙. (2004).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수입명품 및 유명브랜드 의류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5(7), 1215-1226
  19. 조인경. (1990). 사회적 자위불일치 유형에 따른 의복선택기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최선형. (2003). 지각된 제품 특성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 명품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2), 209-218
  21. 통계청. (2004). 도시근로자 가계수지 동향
  22. 하수진. (2003). 해외 패션 명품 소비자의 세분화 및 양면적 소비행동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한완상. (1972). 한국사회에 있어서의 지위 불일치와 사회의식. 동아문화, 11, 355-394
  24. 홍두승. (1983). 직업분석을 통한 계층연구: <한국표준직업 분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5(3), 69-83
  25. 황진숙. (2004). 패션 제품의 명품 추구혜택과 상표 충성도의 관계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862-871
  26. Azj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7. Baundillard, J. (1970).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이상률 역 (2000). 서울 : 문예출판사
  28. Bosshart, D. (2000). 소비의 미래. 박종대 역 (2001). 서울: 생각의 나무
  29. Charles M. Chaninger. (1981). Social class versus income revisited: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Marking Reserch, May, 192-198
  30. Engle, J. F., Kollat, O. T., & Blackwell, R. D. (1968) Consumer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ll and Winston, 165
  31. Gresham, L. G., & Shimp, T. A. (1985).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ment and brand attitude. Journal of Advertising, 10-17
  32. Howard, L. G., & J. A. (1977). Consumer behavior: Application of theory. New York: McGraw-hill
  33. London, D. L., & Bitta, A. J. D. (1984). Consumer behavior concepts and applications(2nd ed). NY: McGrow Hill Book Company, 521-523
  34. Myers, J. H., Stanton, P. R., & Haug, A. F. (1971). Correlates of buying behavior: Social class vs. income. Journal of Marketing, Oct, 8-15
  35. Nia, A., & Zailowsky, L. (2000).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7), 485-497 https://doi.org/10.1108/10610420010351402
  36. Peters, W. H. (1970). Relative occupational class income: A significant variable in the marketing of automobiles. Journal of Marketing, 74-77
  37. Pierre, M. (1958). Social class and spending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23(2), 121 https://doi.org/10.2307/1247828
  38. Stanley, T. J. (1996). 백만장자 마케팅. 리대룡. 차영관공역 (2002). 서울: 미래의 창
  39. Veblen, T. (1899). The theory of leisure class. NY: Macmillon Publishing Co. Inc
  40. Webber, M. (1958). Class, status and party. In Gerth, H. H., & Mills, C. W. (ed). From Max Weber. NY: Oxford Univ. Press
  41. Ziccardi, D. P. (2001). Demonstrating the values of luxury brands. Brandweek, 42(44), 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