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ituations of Fashion Design Education in Busan

부산 패션디자인 교육의 현황에 관한 연구

  • 박태용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05.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tuations and satisfaction of fashion design education in Busan, and the way to promote it. Data were collected from 192 college(university) students and 185 vocational students living in Busan and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multiple regression, an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 1. Factor analysis has extracted three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student factors and quality of education factors. 2. The biggest factor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ducation fumed out to be the student factors, followed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3. Demonstrated that vocational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education and had a higher degree of pride and confidence in their educational factors and level of satisfaction than college(university) students. In conclusion, we must encourage the industrial-educational corporation to promote the practicality of the fashion design education system and make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curriculum of fashion design education to cultivate students of talent.

Keywords

References

  1. 김소현. (1996). 이태리 패션 교육에 관한 고찰. 복식, 27, 147-162
  2. 김정순, 오순. (2000) 전문대학 의상디자인과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전문대학 논문집 22권, 135-151
  3. 김효은. (1999). 전문대학 패션디자인과의 교육과정 및 교수 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복식, 46, 89-107
  4. 김효은, 구정모. (2003). 패션 유통업체 위탁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5(1), 97- 107
  5. 김희남. (1998). 전문대학 패션디자인과의 산학협동 정착을 위한 직업교육 모델 개발. 부산경상대학 대학발전연구논문집. 18, 427-451
  6. 김희남. (1999). 산학협동 활성화를 위한 패션연구소 운영방안 연구. 부산경상대학 대학발전연구논문집, 19, 613-625
  7. 김희남. (2000). 학과 특성화를 위한 패션디자인실기 교육 방법 연구. 부산경상대학 대학발전연구논문집. 20, 658-677
  8. 구양숙, 박경애, 박광희, 추태귀. (1999). 4년제 대학의 패션 관련학과 교과과정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7(11), 19-32
  9. 나수임. (1999). 우리나라 의상디자인 관련학과의 패션디자 인 교과과정, 디자인 연구, 7 상명디자인 연구소
  10. 도규희, 최경순, 이정옥, 조차. (1994). 복식산업발전을 위한 패션 전문 교육에 관한 연구. 복식. 23, 225-248
  11. 박은주. (2000) 부산 패션 쇼핑몰의 현지 생산기능 문제점 과 발전방안.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
  12. 학원정보. 부산 교육청. 자료검색일 2004, 5. 30, 자료출처 http://www.pen.go.kr
  13. 부산상공회의. (2002) 부산지역 경제현황. 부록 한국모방산업동향
  14. 신광호. (2001). 패션머천다이저 교육 내용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지, 20(2), 191-204
  15. 신은주, 이윤희. (2002) 패션디자인과 평생교육 활성화 방 안에 관한 연구. 비슬, 제11권, 661-671
  16. 윤정옥. (1996). 패션산업과 의복교육. 1996년도 창립 20주년 춘계 학술발표회 발표, 한국의류학회
  17. 이문희. (2000). 학원 경영의 합리화 방안. 경상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8. 이윤정. (2002). 한국과 미국의 패션마케팅 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6(5), 727-736
  19. 이윤정. (2003a). 한국과 미국의 패션마케팅 교육의 성공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7(2), 169-176
  20. 이윤정. (2003b) 한국과 일본의 패션마케팅 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6), 725-734
  21. 이은옥. (2003). 직물소재의 지역 특성화를 위한 섬유산지의 섬유전문교육체제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1(5), 619-646
  22. 이정순, 한경희. (2002). 의류관련학과의 어패럴 CAD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5), 542-554
  23. 이호정, 21 C 패션인재 양성이 시급하다. (2000, 9. 25). 어패럴뉴스
  24. 정희옥. (1997)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효율적인 교육방법 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조인실. (2001). 국내패션코디네이션 교육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지역대학교 구조조정에 나서야. (2004, 4. 22)영남일보. 자료검색일 2004,5.30, 자료출처 http://news.nate.com
  27. 한명훈. (1998). 정보사회의 교육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Miller, P. E. B. (1995). Future hiring practices & requires competencies for professional positions within the apparel industry. The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29. Kazuaki Emi. (2003). 패션 비즈니스의 인재 교육과 과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3), 216-220
  30. Kenichi Segawa. (2000). 패션 교육의 정보화 데이터 베이스.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2), 101-104
  31. Reigeluth, C. M. (1983).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aftheir Current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