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ifferent Natural Mordants and Mordanting Methods on the Dyeing Degree of Silk Using Extracts from Coreopsis drummondii

금계국 추출물에 의한 천연염색시 천연매염제 종류 및 매염방법에 따른 견직물의 염색성

  • Kim Byoung-Woon (Division of Biotechnology and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 ;
  • Yang Seung-Yul (Division of Plant Science and Production, Suncheon National Univ.) ;
  • Heo Buk-Gu (Division of Horticulture and Pet Animal-Plant science, Wonkwang Univ.) ;
  • Park Yun-Jum (Division of Horticulture and Pet Animal-Plant science, Wonkwang Univ.)
  • 김병운 (목포대학교 생명공학부) ;
  • 양승렬 (순천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 허북구 (원광대학교 원예 애완동식물학부) ;
  • 박윤점 (원광대학교 원예 애완동식물학부)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different natural mordants and mordanting methods on the dyeing degree of silk using extracts from Coreopsis drummondii. Surface colors were shown as an order of descent Y in control, and an order of descent Y and YR treated by mordants. Extracts from Coreopsis drummondii was sufficient for the natural dyestuffs. $10\%,\;20\%\;and\;30\%$ mordants made from lime-juice of Camellia japonica, oyster shells. and Symplocos chinensis (Lour) Druce for. pilosa (Nakai) Ohwi were used for the dyeing of silk. Surface color of silk was not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mordants and mordanting methods, however, $20\%$ mordant was suitable for the dye coloring. It was shown that dye coloring concentrations were highly in the order of mordanting later > mordanting ahead > co-mordanting, and so on. Silks were naturally dyed by the extracts from Coreopsis drummondii, and twenty-nine kinds of natural mordants were treated and screened. Surface color of silk was shown as an order of descent YR treated by the mordants made from the lime-juice of Camellia japonica and Eurya japonica, and as an order of descent Y by the other mordants. By the treatment of natural mordants, concentrations of dye colorin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none-mordanting), and the potentials as a natural mordant for the effective dye coloring was sufficiently ascertained.

천연염료로서 금계국의 이용가능성과 금계국 식물체에서 추출한 염료를 이용한 천연염색시 천연매염제 처리농도, 매염방법 및 종류에 따른 견직물의 염색성을 조사하였다. 금계국 추출물로 견직물을 염색한 결과 표면색상은 무매염시 Y계열로 나타났으며, 매염처리시는 Y 및 YR 계열로 나타나 천연 염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충분했다. 동백나무 회즙, 굴껄질 회즙, 노린재 나무 회즙을 $10\%,\;20\%,\;30\%$ 농도로 매염처리 한 후 견직물의 염색성을 조사한 결과 농도에 따른 표면색상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염착농도는 $20\%$에서 가장 좋았다.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처리 방법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염착농도는 후매염, 선매염, 동시매염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금계국 추출물로 천연염색한 견직물에 29종의 천연매염제를 처리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동백나무와 사스레피나무 회즙 매염처리구에서만 YR계열을 나타냈고, 그외 처리구에서는 Y계열로 나타났다. 또 천연매염제를 처리한 결과 염착농도는 무매염 처리구에 비해 월등히 높아져 천연매염제로서도 매염효과를 충분히 낼 수 있음을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수. 1995. 천연 식물성 염료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 건국기술연구논문지 20:265-274
  2. 김미경. 1985. 다색성 식물 염료의 견뢰도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미숙. 1997. 오리나무 열매 추출물에 의한 견 및 면의 염색성.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병희, 송화순. 2000. 꽃을 이용한 천연 염색 연구 II ;국화의 염색성 및 항균. 소취성. 한국염색가공학회지 52:41-48
  5. 김선향. 1982. 식물염의 매염제 사용에 의한 색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성미. 1983. 염색공예에 있어서 매염제에 의한 식물염료의 실험연구. 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순희. 1986. 식물염료중 화훼류 염료에 관한 실험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배순이. 1988. 면과 견의 초목염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변성례. 1996. 황토와 도토리를 이용한 천연염색.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신미자. 1987. 식물에 의한 녹색계 염색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오윤정. 2001. 로즈마리 추출액을 이용한 직물의 염색.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윤평섭. 1989. 한국원예식물도감. 지식문화사, 서울
  13. 이명숙. 1992. 저마의 식물성 염료에 관한 실험연구. 건국대조형연구소 논문집 1:69-88
  14. 이아정. 1999. 신나무잎 추출물에 의한 염색성.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영. 1982. 전통천연염료에 관한 실험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정인모. 1997. 쪽풀 색소를 이용한 견섬유의 염색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정인모. 1999. 전통 직물의 천연염료 염색에 관한 연구. 한국잠사학회지 41(1):61-69
  18. 정지심. 1996. 양송이 색소의 특성과 염색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조은경. 2000. 석류과피를 이용한 직물의 염색.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홍경옥. 1991. 천연염료의 실용화를 위한 실험적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