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the House Spirit Belief between the Tungus and Korea

한민족과 퉁구스민족의 가신신앙 비교 연구

  • Published : 2004.12.20

Abstract

This paper is based on fieldwork conducted from July 6, 2003 to July 24 of 2003 among the Tungusgroups Hezhe, Daur, Oloqun, Owenke, and Mongolian in the areas of Heilongjiang and Inner Mongolia Provinces. Recognizing the need for more in-depth study among these groups, the present research shows that the Tungus people are archeologically, historically, and linguistically different from Korean Han ethnic group and challenges the link between Korean and Tungus groups since the Bronze Age. The comparison between the "House Spirit" belief of the Tungus people and Koreans reveals certain commonalities in the "Maru," "Kitchen," and "Samshin Spirit" practices. There are two possible reasons for such commonalities. Historically, the Korean Han ethnic group and the Tungus people were geographically intimate, and contact or transmission between the two groups occurred naturally. Also, immigration of refugees from the fallen Koguryo and Puyo to the Tungus region added another dimension of cultural contact. In contrast to the common features sh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also exist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use Spirit blief. The Korean Han group's "House Spirit" belief is based on the agricultural practices that separates the inside sacred and outside secular world of the houses, whereas the Tungus ethnic group's "House Spirit" belief is based on mobile herding life style with a less distinction between in and outside of house. Additionally, each Korean "House Spirit" has its own distinctive personality, and each spirit is placed and worshipped according to its function. In the Tungus group, all the "House Spirits" are located and worshipped in "malu," and some of the spirits are non-conventional house spirits. Moreover, Korean "House Spirits" form a kinship structure, placing Songju, the highest spirit, at the center. In the Tungus practice, such structure is not found. The tight cohesive family formation among the house spirits in the Korean "House Spirit" belief is also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in its comparison with Chinese belief. In China, the highest spirit is Jiang Taigong or Qiwu, and the house spirits do not have kinship relations. Korean's Outhouse Spirit and Chowangshin are related to the Han Chinese's counterpart on certain levels? however, their basic structures are different. It is clear that the correlation of "Malu" "Chowangshin" and "Samshin" between Korea and Tungus indicate important role of Tungus cultural elements within Korea's "House Spirit" belief.

필자는 2003년 7월 6일부터 2003년 7월 24일까지 중국 동북의 소수민족을 답사하였다. 답사 대상 민족은 허저족(赫哲族), 다우얼족(達斡爾族), 어룬춘족(顎倫春族), 어원커족(顎溫克族), 몽골족이었으며 답사지역은 헤이롱지성(黑龍江省)과 내몽골의 동북부 지역이었다. 본 고에서 연구대상으로 하는 민족은 퉁구스계 민족인 허저족, 어룬춘족, 어원커족이다. 그동안 한국의 청동기인을 형성한 것으로 인식되어온 퉁구스는 고고학적, 역사학적, 언어학적 증거로 볼 때 한민족과는 별개의 민족임을 알 수 있다. 물론 구체적인 결론은 각 분야의 학자들의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 후에야 증명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까지 이루어진 연구성과로 볼 때 한민족의 족원을 퉁구스에서 찾기는 어려울 듯하다. 퉁구스의 가신신앙과 한국의 가신신앙을 비교연구한 결과 마루신앙, 조왕신앙, 삼신신앙에 있어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원인으로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하나는 전파나 접촉이고 다른 하나는 이주에 의한 결과이다. 전파나 접촉은 퉁구스와 한민족이 역사적으로 매우 근접한 거리에 거주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고 이주는 고구려, 부여 등의 멸망으로 인한 유이민에 의한 것이다. 퉁구스와 한민족의 가신신앙은 위에서 언급한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도 보인다. 첫째, 한민족의 가신신앙은 농경을 기반으로 형성된 것으로 정착형의 가옥에 집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성속(聖俗)관념이 발달하였으나 퉁구스민족은 이동식의 주거인 시에런주(xierenzhu)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집에 대한 성속관념이 한국보다는 약하다. 둘째, 한국의 가신은 신의 성격이 분명하며 신의 기능에 따라 모셔지는 장소가 다르다. 퉁구스의 경우 모든 가신이 마루(malu)에 모셔지며 일부는 가신이 아닌 신들이 모셔지기도 한다. 셋째 한국의 가신은 성주를 중심으로 가족을 이루고 있다. 퉁구스의 가신들 사이에 이러한 가족관계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한국의 가신신앙을 중국과 비교할 때 가장 큰 특징이라면 성주신앙을 중심으로 혈연관계를 맺으며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중국의 가신신앙에서 성주는 강태공이나 치우로 한국과는 구분되며 중국의 가신들은 혈연관계를 맺고 있지도 않다. 한국의 가신신앙 중 측간신이나 조왕신의 일부 내용은 중국 한족과 관련을 맺고 있으나 언어학에서 문법이 그러 하듯 가신신앙의 기본 구조는 중국과 다르다. 이러한 견고한 틀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의 가신신앙 중 마루, 조왕, 삼신이 퉁구스민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한국 가신신앙에 퉁구스적 요소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