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tiation of Malignant from Benign Soft-Tissue Solid Tumors: Clinical and MR Finding Complex

연조직고형종양의 악성과 양성 감별: 임상과 자기공명영상 복합소견

  • Moon, Tae-Yong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Jung-I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hin, Su-Mi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o, Hye-Jeung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i, Hyun-Woo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Soo-Ji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문태용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김정일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신수미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추혜정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최현욱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김수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Purpose: The recent development of MR has made to possible radiological diagnosis in various soft tssue tumors. But multifarious components within soft tissue tumors and their periodic change have made to difficult even differentiation of malignant from benign soft tissue tumors solely on the MR. So authors retry to differentiate malignant from benign soft tissue tumors with clinical and MR finding complex. Materials and methods: We were analysed 82 pathologically confirmed soft tissue solid tumors (37 cases as malignancy including intermediate tumors and 45 cases as benign including inflammatory masses) which are correlated with clinical findings such as age, size, and location, MR findings such as tumor border, texture on T2 and contrast-T1 images, and enhancement area retrospectively. Many typical lipoma and cysts including of ganglion and abscess are rejected in the benign soft tissue tumor group because not difficult to diagnose on MR. Results: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were more frequent in 21~40 and 61~80 years old of the age, above 3.0 cm of the size, trunk-pelvis-lower extremities of the location, and MR findings with irregular border and above 50% of the enhancement area than those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Conclusion: The clinical finding that divided to two locations as trunk-pelvis-lower extremities and upper extremities-shoulder-spin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differentiate malignant from benign soft tissue solid tumors. However, the others would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s to differentiate them never specific.

목적: 최근 자기공명영상의 개발로 다양한 연조직종양의 영상의학적 진단이 가능해 졌다. 그러나 연조직종양의 다양한 조직구성이나 시간에 따라 구성분의 변화는 자기공명영상 만으로 악성과 양성 종양조차 감별을 어렵게 한다. 이에 본 저자들은 임상과 자기공명영상의 복합적인 소견으로 악성과 양성 연조직종양을 감별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82례(중간성종양을 악성종양으로 포함하여 37례와 염증성 종괴를 양성종양으로 포함하여 45례)를 후향적으로, 임상적 소견으로 연령, 크기, 위치, 그리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으로 종양경계, T2신호강도양상, 조영제T1신호강도양상, 그리고 조영증강 범위를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으로 진단이 어렵지 않는 많은 전형적인 지방종과 결절종 그리고 농양같은 낭종은 양성종양 분류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악성연조직종양은 양성에 비하여 연령으로 21~40세와 61~80세, 크기로 3.0 cm 이상, 발생위치로 몸체-골반-하지, 그리고 자기공명영상에서 불규칙한 경계, 50%이상의 조영증강범위 소견들의 빈도가 높았다. 결론: 발생위치로 몸체-골반-하지 와 상지-어깨-척추 로 나눈 임상소견이 악성과 양성 연조직종양을 감별하는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나머지 다른 소견들은 특이적이지는 않았지만 부가적으로 악성과 양성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견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