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itoring of Toxicants Affecting Metamorphosis of Silkworm in Mulberry Leaves

뽕잎 및 대기 중 누에영향물질 모니터링 및 독성조사

  • 박경휸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박연기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이희동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박병준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주진복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손봉희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강필돈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김미자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성수일 (수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pupation disorder symptoms in silkworm which herbicide, molinate has been regarded as a causal origin. Molinate residues in mulberry leaves was monitored in major rearing area of silkworm; Yeacheon, Sangju and Namwon. Detected range of the molinate in mulberry leaves was 0.002 to 0.013 mg/kg and detection frequency was 30.0 to 81.8%. Molinate concentration in the air of mulberry tree growing area was $0.004\;{\mu}g/m^3$. Water diluted solution of molinate at the concentration of 1, 10, 100 mg/l gave no abnormal symptoms in silkworm irrespective of spraying to silkworm or spiking to diet. Exposing the silkworm to the air containing 250, 2,500, and $10,000\;{\mu}g/m^3$ also revealed no abnormal symptom. These results illustrated that the abnormal growth of silkworm encountered in the field was not caused by pesticide contamination.

봄누에에서 나타나고 있는 누에미화용현상을 구명하고자 누에사육농가에서 실시한 농약사용실태조사 결과 봄누에 사육시기에 molinate의 노출가능성이 있어 뽕잎과 공기중 molinate의 잔류정도를 조사하고 molinate의 누에독성을 조사하였다. 예천, 상주, 남원지역 뽕잎 중 molinate 잔류분석결과 검출빈도는 30~81.8%이었으나, 검출범위는 0.002~0.013 ppm으로 낮은 수준이었고, 예천, 상주, 남원지역 뽕밭과 잠실의 대기중 molinate 잔류분석결과 검출빈도는 5%이하, 검출범위는 $0.004\;{\mu}g/m^3$의 낮은 수준이었다. molinate의 누에에 대한 독성시험결과 수용액을 누에와 인공사료에 살포하였을 때 1, 10 ppm 처리구 모두 누에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고, molinate 원제를 250, 2500, $10,000\;{\mu}g/m^3$ 휘산처리한 시험에서 누에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10, 100 ppm수용액에 침지 처리한 뽕잎으로 누에를 사육한 시험에서 누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molinate를 함유한 제품을 기준량(5 kg/10a), 배량, 10배량 휘산시킨 상태에서 누에를 사육한 결과 처리구 모두에서 누에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molinate는 뽕잎과 공기중에서 미량이 검출되었으나, 누에에 대한 molinate를 경피, 섭식, 흡입의 노출경로별로 모니터링농도보다 높은 수준으로 처리한 시험에서 5령경과일수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므로 농가의 미화용현상과 molinate의 관련성은 희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小林則夫 (1995) 새로운 계통의 농약에 의한 누에의 피해방지. 잠사과학과 기술, 34(7)
  2. 경기성,박경훈,박연기,김병석,신진섭,김중채,임희봉,이창태,이진근,반문기 (2001) IGR계 농약 비사넝도 구명연구
  3. 김삼은,황석조,김종길,황재삼 (1995) 곤충성장조절제(IGR)가 누에의 발육생리에 미치는 영향. I Fenoxycarb가 누에의 유충기 발육과 용화에 미치는 영향. 한잠학지 37(2): 121-126
  4. 김중채,신진섭,경기성,임희봉 (2001) 경북지역 미화용누에 원인구명 농가 실증시험. 농업과학기술원
  5. 박경훈,박연기,주진복,경기성,신진섭,김병석 (2003) IGR계 농약 사용정도 및 실태조사, 미인쇄(보안과제) 작물보호연구. 농업과학기술원
  6. 박병준,박현주,이병무,최주현 (2002) 수도용 제초제의 수중잔류성과 분해 및 휘산특성 연구. 작물보호연구. 농업과학기술원
  7. 신진섭,경기성,박연기,김중채,임희봉 (2000) IGR계 농약의 누에에 대한 무영향농도 구명. 농업과학기술원
  8. Peter L. deFur, Mark Crance, Lisa J. Tattersfield, Christopher G. Ingersoll, Ralph G. Stahl, Jr. Peter Matthiessen, Gerald A. LeBlanc. (1999) Endocrine disruption in invertebrates : Endocrinology, Testing and assessment. SETAC ISBN I-880611-27-9, Chapter 2
  9. 황석조 (1995) 곤충성장조절제(IGR)가 누에의 발육생리에 미치는 영향. II Fenoxycarb가 누에씨의 부화에 미치는 영향. 한잠학지 37(2): 188-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