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nge of Average SCS-CN Value by the Spatial Resolution

공간해상도에 따른 유역평균 SCS-N값 변화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Hydraulic models has a module to calculate SCS-CN values in order to estimate amount of water flow, which can be done with remotely sensed data and GIS data. The choice of the ancillary data tends to determine the range of SCS-CN values. We compare the results of SCS-CN value with satellite data of different spatial resolution and with soil maps of different scale. Mokhyun river basin was chosen,partly because of availbility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data, partly because of rapid changes in land use and land cover since last ten years. The average CN values were calculated with spatial resolutions of 2.5 meter and 30 meter, We could not find any different result due to spatial resolution of CN resolution but due to both soil maps and to land cover maps.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for more than two kinds of satellite data.

집중형 수문모형의 유출량 산정시 주요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평균 SCS-CN값의 산정은 RS와 GIS를 적용하면 쉽게 계산이 가능하나, 입력자료의 선택에 따라 그 값이 다르게 계산된다. 연구지역은 경안천의 한 지류인 목현천으로 수질 및 수량자료의 수급이 용이하여 자료의 검증이 가능하다는 점과 최근에 토지이용과 토지피복의 변화가 상당히 진전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7 ETM+, SPOT 5, 1:25,000 토지이용현황도, 정밀토양도, 개략토양도를 이용하여 2.5m, 30m 공간해상도에서 유역평균 CN을 계산하였으며, 계산결과 해상도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토지피복에 따라 유역평균 SCS-CN 값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향후 다양한 해상도와 토양도적용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탁. 2003.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CN산정 에 대한 제안, 한국수자원학회지. 36(4): 45-53
  2. 김성준. 2001.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규모와 해상도 효과의 이해, 한국수자원학회지. 34(3): 76-86
  3. 농업 진흥공사. 1987. 한국토양의 수문학적 분석 및 그 응용, 농공기술. 4(4): pp.48-61
  4. 박상영,하성룡, 박대희. 2002. 위성영상의 분류정확도가 도시강우 유출모형의 예측 정화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 5(2) :16-24
  5. 이기석, 남영. 1999. 다분광 TM 영상기법과 감독분류 정확도 비교연구- 두만강 하류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측지학회지 17(3): 311-320
  6. 이윤영, 이흥규, 황의준, 2004. 안양천 유역의 치수특성 및 구조적 홍수방어대책, 한국수자원학회지, 37(5): 66-69
  7. 이준우, 권형중, 신사철, 김성준. 2003. WMS HEC1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경년 수문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1):107-118
  8. 정정화, 장승표, 김호일, 정연태, 허기술, 박호, 1995. 유출율 추정을 위한 토양 수문군의 분류. 한국농공학회지 37(6): 12-32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국가 GIS 사업의 수자원분야 활용지원 고도화 방안연구
  10. 한국수자원공사, 2000. 수자원관련 공간정보 분석 및 적용에 관한 연구
  11. Cao C. and N. S-N Nam, 1997. Undersatnding the scale and Resolution Effects in Remote Sensing and GIS, Scale in Remote Sensing and GIS,CRC Press, pp.57-72
  12. Lam N. and Quattrochi, 1992. On the issues of scale, resolution and fractal anaylysis in the mapping science, Professional Geographers,44(3): (88)
  13. Stephen, L., E. Greg, and K. Hasan, 2002.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for mapping surface geology in heavily vegetated cover in North Mississipi, CD title of Proceedings of American Sociey of Photogrammefry and Remote Sensing
  14. http://dataware.kict.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