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Drainage Derangement and Revision by the Formation of Cheolwon-Pyeonggang Lava Plateau in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이광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김남신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Lee Min-B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Gwang-Ryul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Hee University) ;
  • Kim Nam-Shi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발행 : 2004.12.01

초록

추가령 열곡에서 열하분출에 의한 용암대지가 형성되면서 기존의 하곡들이 매몰되어 하계망 혼란이 일어나고, 새로운 분수계가 형성과 함께 하계망 재편성이 진행되고 있다. 이 지역은 안변 남대천, 북한강, 임진강, 한탄강 유역이 접하는 복잡한 분수계 혼란 지역으로서 분수계의 핵심 지점은 중심분출 화산인 평강의 오리산(453m)과 680봉이며, 보다 평탄한 곳에서는 하천 쟁탈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평탄면에서 유역이 가까이 접하면서 쟁탈 전선도 형성된다. 특히 오리산은 4개의 분수계를 가르는 분수점 기능을 한다. 고도가 높은 산록에서는 두부 침식에 의해 하천 쟁탈이 발생한다. 수문지형적으로는 용암이 하곡을 메우면서 범람원의 면적이 줄어들어 호우에 의한 침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보다 활발한 용암대지 개석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Chugaryeong rift valley, lava plateau formation by the fissure eruption had vanished original landforms and effected on drainage derangement and revision. 4 rivers including Namdae-cheon, Bukhan-gang, Imjin-gang and Hantan-gang watersheds have shared Cheolwon-Pyeonggang lava plateau, that is, ownerless watershed. Main agency of the dividing process are central-eruption volcanic peaks such as Orisan(453m) and 680 Peak. Especially, Orisan has played the role of divide point for 4 watersheds. In the lower-relief plateau zone, complex drainage system have caused continually river capture between neighboring watersheds. In more elevated range slope, river capture have proceeded to headward erosion. Hydrogeomorphologically, lava-filled valley has initiated decrease of the original size of flood plain, maybe, causing higher capability of inundation by heavy rains, and then more active dissection of lava plateau laye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도정, 1973, '한국의 화산지형,' 지리학회보, 7, 1-9
  2. 김두일. 이형호. 한 욱, 1993, 서울-철원간 추가령곡의 군사지리적 분석,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3. 김상호, 1964, '추가령 열곡에 대한 고찰,' 서울대사대학보, 6(1), 156-161
  4. 김종규. 강경원. 손명원 역(라우텐자하. 1945), 1998, 코레아, 민음사
  5. 김종호, 1983, '철원군, 강원도,' 한국의 발견, 뿌리깊은 나무, 190-199
  6. 김태호, 2000, '화산지형,' 자연환경과 인간, 한국자연지리연구회 편, 한울, 441-466
  7. 명지대학교 편(원본 소장), 1997, 최근 북한 오만분지일 지형도, 경인문화사
  8. 부경생 외, 2001, 북한의 농업 -실상과 발전 양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9. 손 일, 2003, '분수계의 지리적 함의와 백두대간,' 한국지형학회 주최 심포지움 논문집, 18-32
  10. 양교석, 1982, '추가령열곡대 내 한탄강 하류 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 13-25
  11. 양승영 역(立岩巖, 1976), 1996, '한반도 지질학의 초기연구사,' 경북대학교 출판부
  12. 염명숙, 1991, '한탄강의 하안단구 연구 -철원-전곡 일대를 중심으로-,'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6
  13. 옥한석, 2002, '북강원도의 자연환경과 역사적 배경,' 북강원의 이해와 남북강원도의 공동체 회복,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엮음, 13-36
  14. 원종관, 1983, '한반도에서의 제4세계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추가령 열곡내에서-,' 지질학회지, 19(3), 159-168
  15. 원종관. 김윤규. 이문원, 1990, '추가령 알칼리 현무암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6(1), 70-81
  16. 이민부, 2004, '추가령 구조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한국지형학회 2004년 하계 학술대회 초록집, 12-16
  17. 이민부. 이광률. 김남신, 2004.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II),' 대한지리학회 2004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47
  18. 이민부. 김남신, 2002, 'Hough변환과 음영기복을 이용한 추가령구조곡의 선형구조 분석,' 지질학회지, 38(4), 457-469
  19. 이민부. 김남신. 양철수. 한 욱, 2001a, '추가령 구조곡 하계망의 방향성과 프랙탈 차원 해석,' 지질학회지, 37(4), 597-609
  20. 이민부. 이광률, 2002, '추가령 구조곡의 하안단구 노두 분석 -철원 율리리 독서당천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9(2), 83-93
  21. 이민부. 이광률, 2003a, '추가령 구조곡의 하안단구 지형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2), 157-173
  22. 이민부. 이광률, 2003b, ' 추가령 구조곡 차탄천 상류와 독서당천의 고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345-358
  23. 이민부. 이광률, 2004, '추가령 구조곡의 차탄천 하류 현무암층 하부 점토층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1(3), 97-111
  24. 이민부. 이광률. 윤순옥. 한주엽, 2001b, '추가령 열곡 대광리 단층대의 구조운동과 지형발달,' 지질학회지, 37(2), 257-268
  25. 이민부. 이광률. 윤순옥. 황상일. 최한성, 2001c, '추가령 구조곡 연천 단층대에 분포하는 합류 선상지의 퇴적 환경분석,' 지질학회지, 37(3), 345-364
  26. 이민부. 최한성, 2003, '추가령 구조곡의 철원 율리리 퇴적층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1), 1-10
  27. 이민부. 한주엽, 1999, '산계령 일대의 분수계와 지형경관 분석,' 지리환경교육, 7, 375-398
  28. 이민부. 한주엽, 2000, '분수계의 지형적 개념과 기능,' 대한지리학회지, 35(4), 503-518
  29. 이형호. 한 욱. 김동진. 김두일, 1992, '철원 일대 추가령 구조곡의 지질 및 지형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392), 136-144
  30. 木野崎, 1937, '조선의 제4기 화산에 관하여,' 조선박물학회지, 22, 3-8(일본어)
  31. Baker, V. R., Gredey, R., Komar, P. D., Swanson, D. A., and Waitt, Jr., R. B., 1987, Columbia and Snaker river plains, Geomorphic Systems of North Amenrica, ed., by Graf. W. L.,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403-468
  32. Feldman,S., Harris,S., and Fairbridge, R. W., 1968, Drainage patterns, in Fairbridge and Dowden (eds.). The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Hutchinson and Ross, Stroudburg, 284-290
  33. Lee, M. B., 1993, Geomorphic Evolution of Lacustrine and Prolacustrine Slope Profile of Late Pleistocene Pluvial Lakes in the Eastern Great Basin, Western U.S.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Utah
  34. Lee, M. B, Han, U., Yang, C. S., Choe, H. S., Kim, N. S., and Han, J. Y., 2000, Geomorphic responses to the tectonic activity in Chugaryung rift valley, central Korea, Geosciences Journal, 4(sp. ed.), 93-96
  35. Russell, L. R. and Snelson, S., 1994, Structural style and tectonic evolution fo the Albuquerque basin segment of the Rio Grande Rift, New Mexico, U.S.A., ed. by, Landon, S. M., Interior Rift Basins, A.A.P.G. Memoir 59, 205-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