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지역 지하수의 수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심도, 모암 및 광화대의 영향

Effect of Well Depth, Host Rocks and Mineralization Zone on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Umsung Area

  • 정찬호 (대전대학교 지구시스템공학과) ;
  • 이병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연구부) ;
  • 성익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연구부) ;
  • 조병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연구부)
  • Jeong Chan Ho (Dept. of Geological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Daejeon) ;
  • Lee Byung Da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Sung Ig hwa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Cho Byung Uk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발행 : 2004.12.01

초록

이 연구는 충북 음성군지역 지하수를 대상으로 모암과 심도에 따른 지하수의 수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금속광산의 광화대가 지하수의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연구지역은 쥬라기 화강섬록암과 백악기 퇴적암층이 단층으로 경계를 이루고 있다. 천부지하수는 쥬라기 화강암지 역에서 개발되어 대부분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반면 심부지하수는 백악기 퇴적암을 모암으로 하여 생활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천부 지하수는 전반적으로 약산성화되어 있으며, 전기전도도 값은 $126\~613\;{\mu}S/cm$의 범위를 보인다. 지하수의 화학적 유형은 $Ca-HCO_3$형에서 $Ca-Cl(SO_4,\;NO_3)$ 형까지 넓게 분포한다. 일부 지하수에서는 질산염$(NO_3)$의 농도가 높게 검출되어 농업등 인간활동과 관련된 오염의 특성을 보인다. 일부 지하수는 철(Fe), 망간(Mn), 아연(Zn)등 중금속의 함량이 수 ppm이상의 높은 농도를 보여 금속광산의 광화대 영향을 시사한다. 심부지하수는 중성내지는 알카리성으로 천부 지하수에 비해 높은 전기전도도를 보인다. 그리고 지하수의 화학적 유형은 $Ca-HCO_3$의 특성을 보인다. 광산의 배출수는 산성배수의 특성을 보이지 않지만 황산염과 중금속의 함량이 약간 높은 특성을 보인다. 동위원소 조성에서는 천부지하수에 비해 심부지하수가 보다 결핍된 낮은 수준을 보여 심도에 다른 동위원소의 조성차이가 뚜렷하다. 이상을 종합하면 연구지 역 지하수의 화학성분은 단층을 경계로 화강섬록암, 퇴적암으로 뚜렷이 구분되는 모암성분의 차이, 지하수공 심도차이, 농업활동의 유무, 그리고 광화대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Umsung area, and to elucidate the effect of host rock type, well depth and mineralization zone on the groundwater chemistry. The geology of the study area consists of Jurassic granite and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which are bounded by a fault. Most of shallow groundwaters exploited in the Jurassic granite area are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 whereas the deep groundwaters in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are used for a drinking water. The shallow groundwater shows weak acidic pH, the electrical conductivity ranging from $142\;to\;903\;{\mu}S/cm$, and the chemical type of $Ca-HCO_3\;to\;Ca-Cl(SO_4,\;NO_3)$. A few of shallow groundwaters are contaminated by nitrate, and show high concentration of Fe, Mn and Zn, that reflects the effect of a mineralization zone. The deep groundwater shows neutral to weak alkaline pH,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at of shallow groundwater, and the chemical type of $Ca-HCO_3$. The seepage water from the abandoned mines does not have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cidic pH, hig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nd high sulfate content. The hydrogen and oxygen isotopes of groundwater indicates an altitude effect of the recharge area between deep groundwater and shallow groundwater. In conclusi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oundwater complicately reflects the effects of their host rocks, well depth, agricultural activity and mineralization zone in the study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용권, 1998, 영천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지화학적 모델링, 지하수환경학회, 5권, 192-202
  2. 김규한, 김옥준, 장원선, 1990, 무극 금은 광상에 대한 유체포유물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 연구, 광산지질, 23권 1-9
  3. 박희인, 강성준 1988, 무극광산 삼형제맥의 금은광화작용, 광산지질, 21, 257-268
  4. 신영식, 1998, 한국 경상분지 중앙부 백악기 하부 하양층군의 적색층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이학박사학위논문, 151p
  5. 임연풍, 1996, 의학환경지구화학, 한국학술진흥재단번역총서 201, 춘광, 434pp
  6. 정찬호, 김통권, 김천수, 김수진, 1997, 편마암-물 상호반응에 의한 지하수의 지화학적 진화 및 이차광물 생성에 대한 반응경로 모델링, 한국광물학회지10권 33-44
  7. 정찬호, 정기영, 1999, 청송지역 달기 탄산약수의 지화학적 수질특성과 생성기원, 자원환경지질학회지, 2권, 455-468
  8. 정창희, 박용안, 김항묵, 1976, 한국지질도 음성도폭(1:50,000) 자원개발연구소
  9. Apambire, W. B., Boyle, D. R., Michel, F. A., 1997. Geochemistry, genesis, and health implications of fluoriferous groundwaters in the upper regions of Ghana, Environmental Geology, 33, 13-24
  10. Clark, I. and Fritz, P., 1997, Environmental isotopes in hydrology, Lewis publishers, 328p
  11. Coleman, M .L., Shepherd, T. J., Druham, J. J., Rouse, J. E. and Moore, G. R., 1982, Reduction of water with zinc for hydrogen isotope analysis. Anal.Chem., v. 54, 993-995
  12. Jeong, C. H., Kim, S. J. and Kho, Y. K., 1994, Formation of clay minerals by water- rock interaction in the fracture of gneiss, 한국광물학회지, 7권, 49-61
  13. Jeong, C.H., 2001, Effect of land use and urbanization on hydrochemistry and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from Taejon area, Korea, Journal of Hydrology, v. 253,194-210
  14. Kendall, C. and Coplen, T. B., 1985, Multisample conversion of water to hydrogen by zinc for stable isotope determination. Anal. Chem., v. 57, 1438-1440
  15. Moser, H., Wolf, M., Fritz, P., Fontes, J. CH., Florkowsky, T. and Payne, B. R.,1989, Deuterium, Oxygen-18 and tritium in Stripa groundwater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53,1745-1764
  16. Piper, A.M., 1944, A graphic procedure in the 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water analyses.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v.25, 914-923
  17. Zuane, J.D., 1997, Handbook of drinking of water quality 2nd ed., Van Nostrand Reinhold, 57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