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tudent Activity Centered Career Explor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Level in the Unit "The Choice of Career and Job Morals" of the 9th Grade Technology and Borne Economics

기술$\cdot$가정 9학년"진로의 선택과직업윤리"단원에서 학생활동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Lee Young Mi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aeng Ja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영미 (경상사대부부설중학교) ;
  • 김행자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학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nd apply the student activity centered career exploring program and to verify effectiveness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7 students. 4 classes of a middle school in Jinju.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experiment, the career exploring program was input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4 class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udent activity centered career exploring program applied to the unit $\ulcorner$The Choice of Career and Job Morals$\lrcorner$ was effective in raising the attitude of the career maturity level.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lanning quality and the attitude of works. 2. The student activity centered career exploring program applied to the unit $\ulcorner$The Choice of Career and Job Morals$\lrcorner$ was effective in raising the ability field of the career maturity level.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jobs, the information exploring, and the self-understanding than the control group. Consequently. the effects of the student activity centered career explor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level in the unit $\ulcorner$The Choice of Career and Job Morals$\lrcorner$. all the fields of the career maturity level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except the independence quality of the attitude field and the decision making of the ability field. So it is concluded that the experiment program elevated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level. However. as the result of analy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program was ineffective in the independence quality and the decision making. When this career exploring program is applied to the unit $\ulcorner$The Choice of Career and Job Morals$\lrcorner$. it is recommended to strengthen the activities to cultivate the independence quality and the decision making power.

본 연구의 목적은 9학년 기술 $\cdot$ 가정 교과서에 있는 $\ulcorner$진로 탐색과 직업윤리$\lrcorner$ 단원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하여 학생활동 중심의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그 프로그램의 내용은 진로탐색 시기에 있는 중학생들이 스스로 뚜렷한 삶의 목표를 정하고,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진로 탐색 과정을 거친 후에 비로소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의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 13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천학급 2학급과 통제학급 2학급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절차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4회의 진로탐색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기술 가정 9학년 교과서의$\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 단원에 적용한 학생활동 중심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태도 영역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를 사후 검사하고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이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요인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한 학생활동 중심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능력 영역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사후 검사를 하고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역시 실험집단이 직업에 대한 지식. 정보탐색, 자기이해 요인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한 학생 활동 중심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 태도영역의 독립성과 능력영역의 의사결정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진로탐색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 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본다. 다만 진로탐색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 검사의 독립 표본 t-검정 결과 독립성 요인과 의사결정 요인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적었다. 따라서 본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할 때, 자기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는 독립성 요인과 의사결정 요인의 활동을 좀 더 보강하여 실시할 것을 권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