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Dry Matter and Feed Value of Major Summer Forage Crops in the Reclaimed Tidal Land

간척지에서 주요 여름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 Shin, J.S.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Kim, W.H.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Lee, S.H. (Korea Agricultural &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 Yoon, S.H.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Chung, E.S.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Lim, Y.C.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ry matter yields and feed values of summer forage crops such as two cultivars of Maize, two cultivars of Sorghum hybrid and one Japanese millet at the Dae-Ho reclaimed tideland, Korea from 2002 to 2003. Seasonal changes of soil salt content maintained somewhat low at early stage and increased at growing stage and then decreased at harvest time. The dry matter yield was 6,102, 4,557 and 2,928 kg/ha, respectively, for Japanese millet Sorghum hybrid and Maize. The highest Crude protein(CP) content was recorded in sorghum hybrid. Neutral detergent fiber.(NDF) and acid detergent fiber(ADF) contents were highest in Japanese millet following Sorghum hybrid and Maize in turn. The highest sodium content in plant tissue was recorded in Japanese mill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Japanese millet is the most suitable summer forage crops for cultivation on reclaimed tideland in view of the good emergence and forage production.

본 시험은 충청남도 당진군에 소재한 대호간 척지내 시험포장에서 전작물로 벼 재배된 곳을 밭으로 전환하여 공시 초종으로 옥수수 2품종 (수원19호, P3156), 수수$\cdot$수단그라스 2품종 (Jumbo, Speedfeed) 그리고 청예용 피 1품종(제주재래종)를 2002년에서 2003년까지 2년간 수행되었다. 각 작물재배구의 계절별 토양 염류토는 각 작물구 모두 생육초기에는 낮게 유지한 후 기온상승과 함께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장마 후 수확기에는 다시 낮아졌다. 건물수량은 사료용 피가 가장 높았으며 수수x수단그라스 교잡종 그리고 옥수수 순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수\cdot$수단그라스 교잡종이 가장 높았으며, NDF 함량과 ADF 함량은 사료용 피>수수$\cdot$수단그라스 교잡종>옥수수 순으로 높았으며, 식물체 중 나트륨(Na) 함량은 사료용 피가 옥수수나 수수$\cdot$수단그라스 교잡종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간척농지를 밭으로 전환하여 시험한 결과는 사료가치는 다소 낮지만 생육상황, 건물생산성면에서 사료용 피가 가장 적합한 여름철 사료작물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갑, 한민수. 1990. 간척지 사료작물 재배에 있어서 모래를 이용한 토양 mulching의 효과. II. 간척지 재배목초의 생육 및 건물축적형태와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10(2):77-83
  2. 김원호, 정의수, 김종근, 박근제, 윤세형, 신재순. 2003. 논을 이용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연구. 축산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3. 농촌진흥청. 2003.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
  4. 류순호, 박무언 2004. 새만금 간척지 농업적 토지활용 방안. 간척지 농업연구회지 (2):68-91
  5. 류철현. 2004. 간척지토양의 실무관리. 간척지연구회보 제2권. 16-31
  6. 송진달, 이기종, 이종열 1981. 간척지 내염성 사료작물 선발시험. 축산시험장 시험 연구보고서 : 782-789
  7. 이승헌, 안 열. 2003. 우리나라 간척 현황과 향후과제. 간척지 농업연구회지 (1):20-31
  8. 임형빈, 김동암, 서 성, 이효원, 임응규, 황종서. 1981. 간척지 초지조성에 관한 연구. I. 목초의 내염성 비교. 한국축산학회지. 23(1):30-40
  9. 장효상, 이종영, 최송열, 하기용. 1984. 간척지 답리작 선정시험. 호남작물시험장 연구보고서: 699-700
  10. 정진일, 유숙종, 신만균. 1987. 간척지내염성작물선할시험. 호남작물시험장 연구보고서 : 312-314
  11. 축산기술연구소. 1996. 표준사료성분석법. 축산기술연구소 발행
  12. 축산기술연구소. 2002. 한국표준사료성분표. 축산기술연구소 발행
  13. 최원열, 박근용. 1991. 내염성전작물의 개발과 재배전망. In 우리나라 간척지농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농촌진흥청 심포지엄 (17):53-78
  14. Amacher, J.K., R. Koenig and B. Kitchen. 2000. Salinity and plant tolerance. Utah State university extension. AG-SO-03
  15.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ultural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C.

Cited by

  1. Incorporation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on Improvement of Soil Environment on Saemangeum Reclaimed Land during Silage Corn Cultivation vol.46, pp.3, 2013, https://doi.org/10.7745/KJSSF.2013.46.3.187
  2. Germination is enhanced by removal of the funiculus in the halophyte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vol.57, pp.4, 2016, https://doi.org/10.1007/s13580-016-0108-7
  3. Comparison of Forage Yields and Growth of Summer Forage Sorghum, Proso millet and Japanese millet according to Cropping System with Winter Forage Barley vol.38, pp.4,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4.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