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ool Fabrics

한국 전통 모직물의 유형과 특성

  • Jang Hyun-Joo (Dept. of Clothing & Textile, Che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ool fabrics of the Korea. It classifies the types of wool fabrics whose name can be found in the documents by their weaving methods and it researches their characteristics by type, time, usage, and pattern. In Wool fabric of the ancient age were there compound weaving fabric, such as Gyesoo. which is made with embroidery method, Gyegum, which is made with embroidery in gold threads, as well as general fabric, such as plain-weaved Gal, twill-weaved Sagal, gauze-weaved Mosa, Mora, etc. There were also various weaving methods, such pile-weaved Yung, tapestry-weaved Tabdung, or Guyoo, or Dahm, felt-weaved Jeon, etc. It was found in documents that wool fabric such as Gye, Jeon, Dahm were produced in Korea and China. In case of Korea, wool fabric was enormously developed in Koguryo, Shilla, Balhai, United Shilla. Koryo era. Particularly in Koguryo and Balhai, the stock-farming and hunting were the main parts of their occupation. In Koryo era, the weaving technique of wool fabric had made great development. The wool fabric was used not only in clothing but also in official hats, rugs. wall-tapestries, etc.

Keywords

References

  1. 박선희 (2002) 한국고대복식. 서울: 지식산업사, pp. 44-47
  2.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1989). 조선유적유물도감 2. 고조선 · 부여. 진국편. p. 109
  3. 조선기술발전사 편찬위원회 (1997). 조선기술발전사 1, 원시.고대편. 평양: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p. 68
  4. 박순지. 이춘계 (1993). 명칭으로 본 모직물의 발달 -고대부터 고려시대까지-. 복식 21, pp. 19-30
  5. 박순지, 이춘계 (1994). 고대부터 고려까지의 모피물에 관한 고찰. 복식 22, pp. 193-204
  6. 민길자 (1992). 한국전통 섬유제품의 발굴 1 -모제품 (carpet, rug)를 중심으로-. 복식 18, pp. 21-34
  7. 민길자 (1991). 조선시대의 皮. 毛物에 관한 연구. 국민대 교육연구소 교육논총, 11(1),pp. 115-137
  8. 沈從文(1981). 中國古代服節硏究. 臺北: 龍田出版社. p. 260
  9. 後漢書 趙典傳
  10. 周迅, 高春明 편저 (1996). 中國衣冠服節大離典. 上解: 辭書出版社. p. 537
  11. 趙豊 于志用 主編 (2000). 絲網之路尼雅遺跳出土文物 少漢王子遺寶. 香港:藝紗隊, pp. 28-30
  12. 賈應逸 (1980). 略談尼雅遺跡出土的毛織品. 文物, 제3기, p. 78
  13. 해동역사, 제 20권 예지 3
  14. 김인호 (1990). 제주문화의 뿌리 14-18. 제주신문
  15. 이혜선 (1991). 제주도 갈옷의 유래 및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논문집, 33, p. 166. p. 168
  16. 기진연 (1995). 枾염색에 의한 색채효과. 한국색채교육 학회지, 4회,p. 46
  17. 박덕자 (1998). 매염제와 자외선을 처리한 직물의 감즙 염색. 제주대학교 농화학과 석사학위논문. p. 9
  18. 심연옥 (1998). 중국의 역대직물. 서울:한림원, p. 12
  19. 高漢玉 (1986). 中國歷代織染總圖錄. 香港: 商務印書館 香港分館 上每科學技術出版社 合作, p. 19
  20. 조효숙 (2003).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경기도 박물관. p. 71
  21. 심연옥 (2001). 사(秋), 라(羅)직물의 제직기술에 관한연구. 한국복식 19호, 서울: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11
  22. 何堂坤, 趙豊 (1998). 中華文化通志 제 7편 納織与 鑛台志. 上海: 人民出版社. p. 156
  23. 賈應逸 (1980). 略談尼雅遺跡出土的毛織品. 文物, 제3기, p. 79
  24. 증보판 CD-ROM 국역 조선왕조실록 제 1집 세종 093 23/07/03(정유)
  25. 증보판 CD-ROM 국역 조선왕조실록 제 1집 성종 028 04/03/03(계사)
  26. 박선희 (2002). 한국고대복식. 서울: 지식산업사, p. 50
  27. 김용문, 조효숙 (2000). 신강의 고대직물 문화 실크로드 3000년 온양: 온양민속박물관. p. 259
  28. 三國志 위지 권 30 동이전 30 부여
  29. 손영종, 조희승 (1990). 조선수공업사 1. 서울: 백산자료원, p. 264
  30. 三國史記, 제 40권 志9 職官 下武官 57
  31. 周迅, 高春明 (1996). 中國衣冠服節大離典. 上解: 辭書出版社. p. 535
  32. 민길자 (1997). 전통옷감. 서울: 대원사, p. 123
  33. 周迅, 高春明 (1996). 中國衣冠服節大離典. 上解: 辭書出版社. p. 536
  34. 高麗史, 제2권 세가 제 2 혜종 을사 2년(945)
  35. 沈從文(1981). 中國古代服節硏究. 臺北: 龍田出版社. p. 395. 중국 원대에는 견직물 의 제직기술과 금을 사용하는 기법이 유행하면서 견직물에 金을 가한 織金銀이 발달했으며 몽고어로는 이것을 納石失이라고 한다
  36. 김미자, 조효숙 (1991). 1302년 아미타불복장물의 조사 연구. 온양:온양민속박물관. p. 121. pp. 131-131
  37. 吳淑生,田自兼 (1986). 中國梁織史. 上海: 人民出版社,p.86
  38. 칵스 윌슨 저, 박남성 차입선 역 (2000). 직물의 역사, 서울: 예경, p. 205
  39. 周石保(1984). 中國古代服節史. 北京: 中國敵劇出版社, p. 510
  40. 周迅, 高春明 (1996). 中國衣冠服節大離典. 上解: 辭書出版社. p. 532
  41. 박성실 (1994). 천안출토 풍산홍씨 유물소고. 한국 복식, 12호.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143. 관의의 소재로 별문단이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첨모직으로 제직한 것임
  42. 유희경, 이강칠, 허동화, 이순자 (1991). 대한제국시대 문무관복식제도 문물전 카다로그 부록. 서울: 한국자수박물관, 흑색천 아계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첨모직으로 제직되었다
  43. 민길자 (1997). 전통옷감. 서울: 대원사, p. 23
  44. 박순지, 이춘계 (1994). 고대부터 고려까지의 모피물에 관한 고찰. 복식 22, p. 27
  45. 삼국사기 만불산조
  46. 킥스 윌슨 저 박남성 차임선 역 (2000). 직물의 역사, 서울: 예경, p. 204. 원래는 금이 간 실크라는 의미이며 디자인에 작은 slit이 간 것으로 수출품에서 제외될 정도로 매우 값진 제품이다
  47. 周迅, 高春明 (1996). 中國衣冠服節大離典. 上解: 辭書出版社. p. 537
  48. 박순지, 이춘계 (1994). 고대부터 고려까지의 모피물에 관한 고찰. 복식 22, p. 27
  49. 日本書紀, 款明天皇 15년 12월
  50. 高漢玉 (1986). 中國歷代織染總圖錄. 香港: 商務印書館 香港分館 上每科學技術出版社 合作, p. 203
  51. 심연옥 (1998). 중국의 역대직물. 서울: 한림원, pp. 277- 287
  52. 趙豊 于志用 主編 (2000). 絲網之路尼雅遺跳出土文物 少漢王子遺寶. 香港:藝紗隊, p. 80
  53. 吳淑生,田自兼 (1986). 中國梁織史. 上海: 人民出版社, p. 223
  54. 심연옥 (1998). 중국의 역대직물. 서울: 한림원, pp. 280-287
  55. 何堂坤, 趙豊 (1998). 中華文化通志 제 7편 納織与 鑛台志. 上海: 人民出版社. p.157
  56. 吳淑生, 田自薦(1986). 中國梁織史. 上海: 人民出版社, p. 222
  57. 奈良國立博物館 (1998). 正倉院展. 奈良: 奈良國立博 物館. p. 61
  58. <성호사설> 권 13 人事門
  59. 布目順郞, 170- 171
  60. 민길자 (1997). 전통옷감. 서올: 대원사, pp. 117-118
  61. 박선희 (2002). 한국고대복식. 서울: 지식산업사, p.44 재인용
  62. 周石保(1984). 中國古代服節史. 北京: 中國敵劇出版社, p. 442, p. 510
  63. 沈從文(1981). 中國古代服節硏究. 臺北: 龍田出版社. p. 260
  64. 吳淑生. 田自象(1986). 中國梁織史. 上海: 人民出版社, p. 7, p. 25, p. 37, p44, p. 86, p. 114, p. 154, p. 222, p. 252, p. 284
  65. 周迅, 高春明 (1996). 中國衣冠服節大離典. 上解: 辭書出版社,pp. 531-537
  66. 손영종, 조희승 (1990). 조선수공업사 1. 서울: 백산자료원, p. 207, p. 256, p. 335
  67. 高麗史 80卷 志34 食貨 3 祿俸 諸衛門工匠別賜
  68. 경국대전 공전 경공장 및 외공장조
  69. 증보판 CD-ROM 국역 조선왕조실록 제1집-제3집 태종 035 18/05/03(임자), 세종 027 07/02/24(갑자), 세종 046 11/12/22(경오), 세종 062 15/10/14(계해), 세종 062 15/10/23(임신), 세종 093 23/07/03(정유), 성종 02804/03/03(계사), 연산 037/06/03/16(경오), 중종 041 16/01/24(정축), 숙종 063 45/02/01(갑진), 정조042 19/02/22(갑진), 정조 048 22/01/15, 순조 032 32/07/21(을축)
  70. 삼국사기 권 제33 잡지 권 2 器用
  71. 증보판 CD-ROM 국역 조선왕조실록 제1집 태종 035 18/05/03(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