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의 톤 온 톤 배색에 대한 선호도 연구

A Study In the Preference of Tone on Tone Coloration in Traditional Korean Dress

  • 발행 : 2004.12.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preference of tone on tone coloration of traditional Korean dress by Korean and American women college students.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evaluate 48 stimuli of the traditional Korean skirt and jacket with different tone of color. It could be supposed that the different evaluation were caused by their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to the red colors, Korean students preferred vivid and light tone coloration, and disliked dull and dark tone coloration, the same tone coloration. but American students preferred usually the same tone coloration and preferred coloration of 4 tone skirts and vivid jacket, dull and dark tone coloration. As to the yellow colors, Korean students preferred dull and dark tone coloration and disliked the same tone coloration. American students preferred vivid and light tone coloration and disliked dull tone coloration as dull jacket and skirt. As to the green colors, Korean students preferred dull and dark tone coloration and disliked the same tone coloration. American students preferred dull and dark tone coloration and preferred the same tone colo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은영 (1989). 임산부의 의복디자인 선호도와 욕구와의 상관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
  2. 김희정 . 이경희 (2000). 동양적 복식디자인의 특성과 이미지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4(1). p. 25
  3. 강경자 (2002). 한복 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 여대생의 지각 반응 연구(제2보)- 톤 온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3 . 4). pp. 443-453
  4. 박은주 (1999). 색채조형의 기초. 미진사
  5. 박화순 (1992). 의복의 배색유형에 따른 지각반응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가정생활연구소 8호. pp. 79-90
  6. 유송옥 (1996). 복식의장학. 수학사. p. 210
  7. 강경자 (2001). 한복 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 여대생의 지각 반응 연구(제1보)- 톤 인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4), pp. 731-742
  8. 강경자 (2002). 한복 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 여대생의 지각 반응 연구(제2보)- 톤 온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3 . 4) pp. 443-453
  9. 정지현 (1983). 색채기호와 색연상에 관한 조사연구. 성균관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26
  10. 정지현 (1983). 색채기호와 색연상에 관한 조사연구. 성균관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26
  11. 김영철 (1979). 색채응용 및 기호심리에 관한 조사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은소영 (1996). 20대 남녀의 의복 색채선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13. Susan Berry . Judy Martin, 김미자 역. (1997). Designing with Colour. 서울: 예경, p. 8
  14. 김영자 (1987). 한국복식미의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
  15. 이경희 (1997). 전통색에 대한 한 . 일 대학생의 색채기호의 비교. 한국색채학회, 제9호, pp. 163-173
  16. 野村順 . (1966). 商品色彩論. 東京: 千倉書房. pp. 133-134
  17. 이금숙 (1991). 정년기의 의복색 기호와 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용훈 편저 (1987). MERCHANDISING을 위한 색채상품 개발론. 청우. p. 17
  19. 최재춘 (1982). 여학생의 의복 선호도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0
  20. 이선재 (1987), 한국여성의 의복선택 요인과 가치관과의 상관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1(1). pp. 29-42
  21. 정삼호 (1989). 성인 여성의 체형과 연령에 따른 의복디자인 선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박소희 (1996). 20대 남녀의 의복 색채 선호에 관한연구-대구시내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용훈 편저. MERCHANDISING을 위한 색채상품 개발론. p. 17
  24. 석재은 (1993). 성인여성의 자아개념과 의복색채 선호도와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
  25. 노동부. 복식미학. 산업인력관리공단. p. 146
  26. 금기숙 (1992). 한국 전통 복식미의 현대적 활용. 복식,19. pp. 29-40
  27. F. Birren (1995), New Horizons in color. N.Y.: R.P.C. p. 139
  28. J. Williams. J. Arbaugh. M. Rucker (1980), Clothing color preferences of adolescent females. Home Eco nomics Research Journal. 9(1). pp. 57-63 https://doi.org/10.1177/1077727X8000900106
  29. 이선재 (1987). 한국여성의 가치관과 의복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1(1)
  30. 김소영 (1990). 성인여성의 한복색채기호도와 성격특성과의 상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김진아 (1994). 여자 한복의 문양과 배색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강경자 (2001). 한복 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 여대생의 지각 반응 연구(제1보)- 톤 인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4) pp. 443-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