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T WHAT TIME A DAY BEGINS IN THE KOREAN HISTORY?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연구부) ;
  • 박종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We have reproduced the records of lunar occultation recorded in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삼국사기), the History of the Koryo Dynasty (고려사),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Choson Dynasty (승정원일기), and obtained the epochs of their realizations. We analysed these results to understand how the system of hours had been kept and when a day began. During most of the periods encompassed by these annals, the 12 double hours(12진각법) and the system of 100 divisions of the day (백각법) had been used when the lunar and the solar eclipses were calculated by royal astronomers. In these systems, the starting point of a day is midnight. On the other hand, the five watch system of hours (경점법), in which a night is divided into five watches, was also used. In this system, a day begins at the sunrise. We found that the traditional twilight, called dusk and dawn (혼명) and used in the east Asian countries, largely corresponds to the nautical twilight in modern concepts. This fact means that the Korean expressions and words for time system in every day life had originated form the five watch system of hours. We pointed out that the sunrise and sunset were convenient boundary lines to ancient astronomers, as well as to farmers in the agricultural society. Our result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xact epoch of each astronomical record in chronicles.

[ ${\ll}$삼국사기${\gg},\;{\ll}$고려사${\gg},\;{\ll}$조선왕조실록${\gg},\;{\ll}$승정원일기${\gg}$ ]에 나오는 천문 관측 기록 가운데 특히 달가림(lunar occultation) 기록을 분석하여 당시의 시간제도와 하루의 시작점을 알아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일식이나 월식을 계산할 때는 백각법(百刻法)과 12진각법(十二辰刻法)이 사용되었고 하루의 시작점은 자정이었으나, 일상생활과 특히 천문관측에서는 경점법(更點法)이 사용되었는데, 하루의 시작점은, 최소한 고려시대부터는, 해 뜰 무렵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사용한 혼명(昏明)의 시간은 현대의 항해박명(nautical twilight)을 뜻함을 알아냈다. 우리의 결과는 현재 일상생활의 시간관념이 옛날 시간제도에서 비롯되었음을 말해주며, 농경사회에서 해의 뜨고 짐에 따라 일상생활이 정해지고 또한 천문 관측상 편리하기 때문에 경점법을 쓴 것이라고 해석된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앞으로 고대 천문 관측 기록의 시간을 정확하게 미루어 계산하고, 그것을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남문현 1995, 한국의 물시계-자격루와 제어계측공학의 역사 (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pp.55-75
  2. 박창범, 나대일 1993, 한국상고사학보, 14, 95
  3. 성주덕 저, 이면우, 허윤섭, 박권수 역주, 2003, 서운관지 (서울: 소명출판)
  4. 안상현 1996, 한국과학사학회지, 18, 3
  5. 안상현 2000,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별자리 (서울: 현암사)
  6. 안상현, 배현진, 조혜전, 정성욱 2002, 천문학논총, 17, 23
  7. 안상현 2004, 한국우주과학회지, 21, 39
  8. 이은성 1985, 역법의 원리분석 (서울: 정음사), pp.69
  9. 전상운 1963, 향토서울, 17, pp.49-114
  10. 조인성 1988, 한국사시민강좌, 제2집 (서울: 일조각), pp. 71-88
  11. 弈藤國治, 1980, 科學史研究, 第II期, 9, No.134
  12. 弈藤國治, 小澤賢二 1992, 中國古代の天文記錄の檢證 (雄山閣: 東京)
  13. 江濤(T. Kiang) 1980, 天文學報, 21, No.4
  14. Ahn, S. -H. 2003, MNRAS, 343, 1095 https://doi.org/10.1046/j.1365-8711.2003.06752.x
  15. Jeon, S. -W. 1974,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pp.42-93
  16. Meeus, J. 1998, Astronomical Algorithms 2nd Ed. (Richimond: William-Bell Inc.)

Cited by

  1. Study on the system of night hours for decoding Korean astronomical records of 1625–1787 vol.48, pp.3, 2011, https://doi.org/10.1016/j.asr.2011.04.002
  2. Meteoric activities during the 11th century vol.358, pp.4, 2005, https://doi.org/10.1111/j.1365-2966.2005.0863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