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OLAR ECLIPSE PREDICTIONS OF CHILEONGSAN-OEPYEON IN EARLY CHOSEON

조선 초기 칠정산 외편의 일식 계산

  • Ahn, Young-Sook (Korea Astronomy Observatory) ;
  • Lee, Yong-Sam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 and Institute for Basic Science Research,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history books of East Asia about astronomical phenomena have the more records of the solar eclipse frequently than any other ones. It is because traditionally, the solar eclipse moaned the fate of dynasty and the king's rule. The Sun, the biggest thing in the heaven symbolized the king, and the solar eclipse foresaw that the king had the problem in private including the body, and the country might suffer from difficulties in a great scale. So the king and all of the ministers used to gather to hold a ceremony named Gusikrye(구식례) which solar eclipse may pass safely. Consequently, kings always had concernments on collecting informations of solar eclipse. Inspite of importance of solar eclipse predictions, but at the beginning of the Choseon, the predictions of the solar eclipse didn't fit. King Sejong compiled the Chiljeongsan-naepion (칠정산내편) and the Chiljeongsan-oepyeon(칠정산외편) to calculate the celestial phenomena including the solar eclipse. By the publications of these two books, the calendar making system of Choseon was firmly established. The Chiljeongsan-oepyeon adopted Huihui calendar(회회력) of Arabia. The Solar eclipse predictions of Chiljeongsan-oepyeon were relative correct compared to modern method in early Choseon dynasty.

동아시아의 역사서에는 일식에 대한 기록들이 다른 천문현상들에 비해 많이 나타난다. 이것은 전통적으로 일식은 왕조의 운명과 연관되어있다는 정치적인 사상 때문이다. 조선시대까지도 태양은 임금을 상징하였고, 일식이 일어나면 일식이 무사히 지나가도록 임금이 제사하는 구식례(求食禮)을 지내곤 했다. 따라서 당시의 임금은 일식에 대한 정확한 예보를 얻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일이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초기의 일식 예측은 잘 맞지가 않았다. 이에 세종은 당시 수도인 한양의 위치에 맞는 역법서(曆法書)인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을 편찬하였고, 이로 인해 비로소 조선의 자주적인 역법(曆法)이 확립되었다. 칠정산외편은 아라비아의 역법인 회회력(回回曆)을 기초로 해서 만들어진 역법으로 조선 초기의 일식 계산에서는 당시의 여러 역법 계산 결과보다 더 정확하였고, 현대적인 계산 방법과 비교하여 보아도 오차의 범위내에 잘 들어맞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권 번역 1978, 한국명저대전집, 삼국사기 (서울 : 대양서적)
  2. 민족문화추진회 1980, 증종실록 18, 331
  3. 민족문화추진회 1994, 승정원일기
  4. 서울시스템 1997, 중보판 국역 조선왕조실록 CD (서울: 서울 시스템)
  5. 서울시스템 1998, 고종순종실록 CD (서울: 서울 시스템)
  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68-1992, 국역 조선왕조실록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0, 중보문헌비고 상위고 (서울: 천풍인쇄주식회사)
  8. 유경로, 이은성, 현정준 1990a, 세종장헌대왕실록 제 26권 칠정산내편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9. 유경로, 이은성, 현정준 1990b, 세종장헌대왕실록 제 27권 칠정산외편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0. 안영숙, 이용복, 김동빈, 심경진, 이우백 1999, 고려시대 일식도 (대전: 한국천문연구원)
  11. 안영숙, 이용복, 김동빈, 심경진, 이우백 2001, 조선시대 일식도 (대전: 한국천문연구원)
  12. 이용삼 2001, 충북대 자연과학연구, 15권 (청주 : 충북대학교), pp. 17-34
  13. 이은성 1985, 역법의 원리분석 (서울: 정음사), pp.330-339
  14. 현정준 1976, 세계의 역, 이종수 편역 (서울: 삼성문화문고), p. 266
  15. Fiala, A. D., & Bangert, J. A. 1992, Explanatory Supplement to Astronomical Almanac, ed. P. K. Sidelmann (California: University Science Books), Chap.8
  16. Meeus, J. 1991, Astronomical Algorithms (Virginia: Willmann-Bell, Inc), p.349
  17. Standish, E. M. 1996, JPL Planetary and Lunar Ephemerides on CD-ROM (Virginia: WillmannBell Inc.)
  18. Toomer, G. J. 1998, Ptolemy's Almagest (New Jersey: Princeton Univ. press)

Cited by

  1. Statistical study of the solar eclipses over Egypt during 20 centuries (1–2000) vol.6, pp.1, 2017, https://doi.org/10.1016/j.nrjag.2017.05.001
  2. Study on the system of night hours for decoding Korean astronomical records of 1625–1787 vol.48, pp.3, 2011, https://doi.org/10.1016/j.asr.2011.04.002
  3. Possible Influence of the Solar Eclipse on the Global Geomagnetic Field vol.13, pp.S335, 2017, https://doi.org/10.1017/S1743921317007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