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과 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tudents on Dept of Dental Hygiene

  • Kim, Eun-Mi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Kwangyang Health College) ;
  • Lee, Hyang-N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Kwangju Health College)
  • 투고 : 2004.11.25
  • 심사 : 2004.12.24
  • 발행 : 2004.12.30

초록

본 연구는 2004년 9월 13일부터 17일까지 전라남도 K시에 소재하는 4개의 대학에 재학중인 치과위생과 학생 1,2,3학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효능감, 인지된 이익, 인지된 장애, 건강통제위, 자아존중감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조사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증진 행위는 2.60 이었고, 하부요인으로 자아실현 2.89, 건강책임 2.12, 운동 1.89, 영양 2.45, 대인관계 2.97, 스트레스관리 2.63 이었다. 자기효능감은 2.56, 인지된 이익문항은 3.45, 인지된 장애 문항은 2.32, 건강통제위는 3.04, 자아존중감은 2.81이었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에서는 학년, 종교, 경제수준, 가족질병경험, 본인의 질병경험,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고,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하부영역중 자아실현은 학년, 경제수준,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종교,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책임은 학년, 종교, 경제수준, BMI(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본인의 질병경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영역은 모의 교육정도, 가족 질병경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영양영역은 경제수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인관계 영역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관리 영역은 학년,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인지-지각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자기 효능감은 경제수준,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된 유익성은 종교(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된 장애는 경제수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본인의 질병경험(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통제위는 학년(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r=0.376), 인지된 유익성 (r=0.188), 인지된 장애(r=-0.155), 건강통제위(r=0.064), 자아존중감(r=0.318), 인지된 건강(r=0.084), 인지된 구강 건강(r=0.165)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이 존재하였다. 5.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조사한 결과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자기효능감이었고, 자아존중감,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구강건강 순서였으며, 이 네 변수를 투입하여 건강증진 행위 18.5%를 설명할 수 있었다.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이용하여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보았으나 설명력이 18.5%로 낮아 좀 더 많은 요인을 찾아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examed in order to determine influential fa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n Dental Hygiene students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o examed stud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 a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steem. 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erformance mean scor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2.60, self achievement score was 2.89, health responsibility score was 2.12, exercise score was 1.89, nutrition score was 2.45, interpersonal support score was 2.97, stress management score was 2.63. Performance mean score in self-efficacy was 2.56, perceived benefit was 3.45, perceived barrier was 2.32, a health locus of control score was 3.04, self-esteem score was 2.81. (2) Perform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year, religion, economical level, experience of disease on family, perceived health status(p<0.05),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01). Performance in self achievemen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year, economical level, perceived health status(p<0.05), religio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1). Performance in health responsibil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year, religion, economical level, BMI(p<0.05) and experience of disease on myself,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01). Performance in excercis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educational level, experience of disease on family,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5) and nutrient was economical level,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1), perceived health status(p<0.05). Performa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was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5) and in stress management was yea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5). (3) Performance in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al level, health status(P<0.05) and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1). Performance in perceived benefi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igion(p<0.05). Performance in perceived barrier was significant differences economical level,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5), experience of disease on myself(p<0.01). Performance in a health locus of control was significant differences year(p<0.05), performance in a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1). (4) Perform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r=0.376), perceived benefit(r=0.188), perceived barrier(r=-0.155), a health locus of control (r=0.064), self-esteem(r=0.318). (5) Self-efficacy was the highest factor predi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