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기성복 재킷의 치수 분석 - 신체치수와 제품치수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Body Measurement and Apparel Size for Woman's Ready-Made Jacket

  • Cho, Youn-Joo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ek, Kyung-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ng-Ran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3.10.27
  • 발행 : 2004.06.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zing system and size designation of ready-made jackets for women. We survey the sizing system and size labeling that have been used and presently practiced by the domestic garment industry of ready-made woman's jacket. In addition, 264 tailored jackets are measured for the sake of this study. The jackets are classified into 3 groups(young, missy, and madame) according to the target age of the brand. The result shows that size labeling involves body measurements(85-94-160), size code(55, 66) or simplified letter(S, M, L). However, the correspondence of size information and ease tolerances of jackets is not consistent and each company has its own sizing system.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young, missy, and madame group on the bust girth of apparel in 66size code. The average apparel size piteh measurement distributions(bust girth and hip girth respectively) of young group are 9cm and 13cm in 55 size code, those of missy group are 7 em and 3 cm in 66 size code, and those of madame group are 6cm and 4cm in 77 size code. The ease of bust girth and hip girth in missy group are much more than other group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지현 (1995) 미씨브랜드의 사이즈에 대한 커버율 및 착의만족도 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립기술품질원 (1997) '국민표준체위조사보고서'. pp.126-128
  3. 김옥경. 김은경 (1999) '의복구성학'. 학문사, 서울, p.175
  4. 김희영 (1993) 시판 타이트스커트의 구성 실태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1(3), 174-186
  5. 손희순 (1989) 우리나라 중년기 여성의 체형과 의복치수 규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오설영. 천종숙 (2002) 한국여성복 브랜드의 치수체계실태에 관한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56-61
  7. 이윤경 (2002) 하의류(스커트와 팬츠)의 제품치수 분석과 치수실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학사학위논문
  8. 이형숙 (1999) 20대 전반 여성의 체형별 기성복 치수설정과 원형개발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혜영 (1992) 기성복제작을 위한 표준치수체계의 설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정옥임 (1993) 개인적 인식에 의한 인지체형과 실제체형과의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1), 153-162
  11. 정옥임 (2000) 신체치수와 제품치수의 차이로 본 타이트스커트의 구성실태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1), 1-8
  12. 정흥숙. 정삼호 (1990) 성인여성의 기성복 사이즈 만족도와 체형 및 연령과의 관계. 가정문화논총, 4, 4-12
  13. 천종숙 (1996) 여성기성복의 치수표기법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조사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15(1), 105-117
  14. 최혜선. 이경미 (1992) 중년여성 기성복의 치수 적합성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11(1), 89-102
  15. 한국모델리즘 산학교수협회 (2000) '산학공동개발에 의한 트렌드패턴북 1'. 교학연구사, 서울, pp.32-282
  16. Brown P. and Rice J. (1992) 'Ready to Wear Apparel Analysis 2nd Edition'. Macmillan Publishing Co., New York, pp.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