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ritual Well-Being and Perception of Death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에 관한 연구

  • Lee, Hiun-Ju (Department of Medical Informatics, Hyechon College)
  • 이현주 (혜천대학교 의료정보과)
  • Published : 2004.07.03

Abstract

Purpose: A quantitative descriptiv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ption attitudes of death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nd 175 data were collected. Collected data were computed and analyzed using SPSS10.0 for Win. 1)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identify demographic data, and 2) both t-test and ANOVA statistics were us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or perception attitudes of death and demographic data of the participants. 3)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main variables. Results: 1) The mean of spiritual well-being score of the participants was $50.9943{\pm}10.7235$.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religion /or doing economic activity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found. 2) The mean of perception attitudes of death was $20.4914{\pm}2.6280$.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or age and perception attitudes of death among participants. 3)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ption attitudes of death of participants was also found(r=.261, P=.000).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s that spiritu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as caregivers of terminal patients is important when the perception of death of terminal patients is considered.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caregivers' perception attitudes impact on those of terminal pati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not only perception attitudes of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in terminal patients, but also those of caregivers are importantly required to consider in educational programs in relation to spiritual care of terminal patients.

목적: 임종환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는 그들의 남은 삶의 기간동안 겪게 될 고통이나 삶의 질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요소로써 간호제공자의 그것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대상자에만 초점을 두어 진행을 해왔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제공자 입장에서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를 파악해 보고자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가 영적안녕 상태와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5월부터 6월 사이 일 대학 간호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와 영적안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191부를 수거하여 이 중 응답이 누락되지 않은 175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와 영적안녕 상태는 기술적 통계를 사용해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영적안녕 상태는 t-test, ANOVA를 사용해 분석하였고,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와 영적안녕 상태의 관계분석에는 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영적안녕 상태는 $50.9943{\pm}10.7235$이며, 종교와 경제활동 유무에 따른 영적안녕 상태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는 $20.4914{\pm}2.6280$이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영적안녕 상태 간에는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61, P=.000).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 상태와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 간에 상호관련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임종과정을 경험하는 대상자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에 간호제공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더불어 고려해본다면 영적간호 교육에서 대상자 뿐만 아니라 간호제공자의 영적안녕 상태와 죽음에 대해 인식하는 태도 또한 교육내용에서 중요하게 다뤄져 할 부분임을 시사하는 바라고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