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Quality of Life Analysis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자궁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 분석

  • Kim, Yoon-Sook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Boon-Han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김윤숙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
  • 김분한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Published : 2004.07.03

Abstract

Purpose: The po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grasp the QOL (Quality of Life) of cervix cancer patient and to analysis QOL (Quality of Life) by stage of disease, type of treatment and de me 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67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from 3 General Hospitals from March 15 to June 4 using The "QOL (Quality of Life)-Cancer Version" inventory made by Ferrell et al (1995).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SPSS $PC^+$ program including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Results: Progressing stage of disease and QOL, the significant between the progressing stage of disease and QOL was significant (F=5.06, P=.003).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progresstion of the stage of the disease and each item in the test was physical well-being (F=3.97 P=.012), the items of psychological well-being (F=3.91, P=.013), the items of social well-being (F=4.96, P=.004). I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item of spiritual well-being (F=1.36, P=.262)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The significance between the type of treatment and QOL was insignificant.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each area of life wa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2.14, P=.037), the social well-being (t=-2.15, P=.036). But the physical well-being (t=-.93, P=.356), the spiritual well-being (t=.73, P=.469) was insignificant. Conclusion: As a result, The QOL of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is differentiated by the stage of disease, the type of treatment, and the demographic data.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pply nursing intervention to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by considering the stage of disease, the type of treatment, and the demographic data.

목적: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을 파악하고, 질병 진행 단계와 치료 형태에 따른 삶의 질을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자료 수집은 3개의 종합병원에서 자궁경부암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3월 15일부터 6월 4일까지 이었다. 연구 도구로는 Ferrell[18]의 삶의 질-암 환자용 도구(Quality of Life-cancer version)를 번역하여,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맞지 않는 4문항을 제외한 총 37문항으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로 검증하였고 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다. 결과: 자궁경부암 환자의 질병 진행 단계에 따른 삶의 질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06, P=.003) 질병 진행 단계에 따른 영역별 삶의 질 정도에서는 신체적 안녕 영역(F=3.97 P=.012), 정신적 안녕 영역(F=3.91, P=.013), 사회적 안녕 영역(F=4.96, P=.004)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영적 안녕 영역(F=1.36, P=.262)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형태에 따른 삶의 질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83, P=.073) 치료 형태에 따른 영역별 삶의 질정도에서는 정신적 안녕 영역(t=-2.14, P=.037), 사회적 안녕 영역(t=-2.15, P=.036)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신체적 안녕 영역(t=-.93, P=.356), 영적 안녕 영역(t=.73, P=.469)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자궁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은 질병 진행단계와 치료 형태 및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질병 진행 단계와 치료 형태 및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 중재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