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for Hospice Nursing in Electronic Medical Record

호스피스 전자기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개발

  • Kim, Young-Soon (Department of Severance Hospice, Yonsei University) ;
  • Lee, Chang-Geol (Department of Severance Hospice, Yonsei University) ;
  • Lee, Kyoung-Ok (Department of Severance Hospice, Yonsei University) ;
  • Kim, Ok-Kyum (Department of Severance Hospice, Yonsei University) ;
  • Kim, In-Hye (Department of Severance Hospice, Yonsei University) ;
  • Kim, Mi-Jeong (Department of Severance Hospice, Yonsei University) ;
  • Hwang, Ae-Ran (Department of Severance Hospice, Yonsei University) ;
  • Lee, Won-Hee (College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 김영순 (세브란스병원 호스피스실) ;
  • 이창걸 (세브란스병원 호스피스실) ;
  • 이경옥 (세브란스병원 호스피스실) ;
  • 김옥겸 (세브란스병원 호스피스실) ;
  • 김인혜 (세브란스병원 호스피스실) ;
  • 김미정 (세브란스병원 호스피스실) ;
  • 황애란 (세브란스병원 호스피스실) ;
  • 이원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Published : 2004.12.04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form to build a hospice nursing process database to be used in the u-hospital EMR system. Specific aims of the study were: 1. To generate a complete, accurate, and simple electronic nursing record form. 2. To verify its appropriateness following documentation with the standardized hospice protocol. 3. To verify its validity and finalize the hospice nursing process database through discussion among hospice professionals. Methods: Nursing records from three independent hospice organiz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five expert hospice nurs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a nursing record database was developed. This database was applied to 81 hospice patients at three hospice organizations to verify its completeness. Results: 1.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form with completeness, accuracy, and simplicity was developed. 2. The completeness of the standardized home hospice service protocol was 95.86 percent. 3. The hospice nursing process database contains 18 items on health problems, 79 items on related causes and major symptoms, and 229 items on nursing interventions. Conclusion: The new nursing record form and database will reduce documentation time and articulate and streamline the working process among team members. They can also improve the quality of hospice services, and ultimately enable us to estimate hospice service costs.

목적: 호스피스 간호기록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병원 U-Hospital 개념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개발 초기에 간호사의 입장과 요구사항과 특성이 고려된 호스피스 간호과정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단계별로 나누어 조사하였는데 1단계로 3개 호스피스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간호 기록지를 종합. 분석하여 임상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간호사 5인의 경험을 추출하여 합의한 후 정확하고 간편하고 기록 누락성이 보완된 전자형 간호기록지를 생성하였다. 2 단계는 생성된 간호기록지를 본 연구 목적을 적극 수용하고 협조하는 가정호스피스 3기관에 의뢰하여 2004년 4월부터 8월까지, 81명의 환자기록에 적용한 후 프로토콜의 적중률을 검증하였다. 3 단계는 적중률 검사 후 그 결과를 갖고 3개기관의 10년 이상의 임상전문가와, 호스피스 의사, 호스피스 전공 간호학교수들의 90% 이상 합의를 거쳐 최종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였다. 결과: 1. 연계성이 있고, 간편하고, 기록누락성을 보완한 전자형 간호기록지를 생성하였다. 2. 가정호스피스 서비스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의 적중률은 95.86%로 매우 높았다. 3. 최종 수정 보완된 호스피스 간호과정 연계목록표는 Table 7과 같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기록시간의 단축, 가정호스피스 서비스의 질적향상에 기여할 것이며, 호스피스 숫가화와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타호스피스 기관에서 적극 활용되어 호스피스 간호 지식체계 발전과 말기 암환자 삶의 질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앞으로는 1) 호스피스 간호과정 결과가 보완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2) 개발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입원형이나 시설용 모델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기를 제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