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Analysis for Soil Loss in Reservoir Slant using GIS-based Soil Loss Model

GIS기반 토사유실모델을 이용한 저수지 사면의 토사유실 영향 분석

  • Lee, Geun-Sang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
  • Park, Jin-Hyeog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
  • Hwang, Eui-Ho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
  • Koh, Deuk-Koo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 이근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박진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황의호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고덕구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Received : 2004.08.05
  • Accepted : 2004.09.22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Soil particles from rainfall flow into reservoir and give lots of influence in water quality because the geological conditions and landcover characteristics of Imdong watershed have a weakness against soil loss. Especially, reservoir slant is indicated by the main source area of soil loss. This study selected RUSLE model that could apply GIS and satellite image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rate of soil loss in reservoir slant. And we carried out an on-the-spot survey for the range, width and condition of reservoir slant that give much influences to the accuracy of soil loss. As the result of evaluation to the influence of soil loss in reservoir slant, it showed 2.64% in comparison with Imdong watershed. In view of these results, the influence of soil loss in reservoir slant was evaluated in low comparing with Imdong watershed relatively.

임동 유역은 지질 및 토지피복 상태가 토사유실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강우발생시 토사유입으로 호소내 수질오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호소내 수질문제의 원인으로 저수지 사변의 토사유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사면에서 발생하는 토사유실 기여율을 평가하기 위해 최근 GIS 및 위성영상과의 연계가 가능한 RUSLE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사면에서 발생하는 토사유실 정확도에 큰 영향을 주는 사연의 범위와 폭 그리고 사면상태를 DB로 구축하기 위해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임동유역에 대한 토사유실량과 비교하여 저수지 사면에서 발생하는 토사유실량과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약 2.64%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임동 유역의 토사유실량에 비해 저수지 사면의 토사유실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