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ban Growth Analysis Through Satellite Image and Zonal Data

도시성장분석상 위상영상자료와 구역자료의 통합이용에 관한 연구

  • Kim, Jae-Ik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 Hwang, Kook-Woong (Faculty of Information and Environment Scienc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Chung, Hyun-Wook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 Yeo, Chang-Hwan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김재익 (계명대학교 도시공학과) ;
  • 황국웅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 정현욱 (계명대학교 도시공학과) ;
  • 여창환 (계명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4.06.25
  • Accepted : 2004.08.13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Nowadays, a satellite image is widely utilized in identifying and predicting urban spatial growth. It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s on horizontal expansion of urbanized areas. However, its usefulness becomes very limited in analyzing density of urban development. On the contrary, zonal data, typically census data, provides various density information such as population, number of houses, floor information within a given zone. The problem of the zonal data in analyzing urban growth is that the size of the zone is too big. The minimum administration unit, Dong, is too big to match the satellite images. This study tries to derive synergy effects by matching the merits of the two information sources-- image data and zonal data. For this purpose, basic statistical unit (census block size) is utilized as a zonal unit. By comparing the image and zonal data of 1985 and 2000 of Daegu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concludes that urban growth pattern is better explained when the two types of data are properly used.

위성영상은 도시의 물리적 확산 및 변화를 예측하는데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시화된 지역이 어느 정도의 강도로 개발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밀도분석에는 적절치 못하다. 이는 위성영상이 미시적 공간단위로 토지이용 현황을 분석하는 반면 통계자료는 거시적 공간 단위로 구축되어 있어 통계자료를 미시적인 공간단위에 적용하는데 어려웠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위성영상자료와 통계청의 기초단위구라는 미시적 구역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성장분석상 이들 자료를 통합하여 활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대구광역시로 하였으며, 분석자료로 1985년과 2000년의 위성영상 Landsat TM-5 와 구역통계자료로 기초단위구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위성영상자료는 도시의 확산 그리고 기초단위구는 밀도 분석이 용이하여 도시성장에 따른 확산과 밀도변화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