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blem of the Transformed Sijo Texts Haedonggayo and 'Eobusasisa'

시조 작품의 교감 간제 - <해동가요>와 <어부사시사> -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It is extremely crucial in academic researches to clarify exact spellings and original contents of the works under analysis. In the case of Sijo, the works in different collections of poems with the same title prove to have been transformed in its spellings and expressions through the long period. Therefore it has been a very important step which should be taken prior to a research of Sijo that spellings and expressions of those works be compared and checked. In this point of view, I believe the book titled A Full Collection of Sijo. Yokdae Sijojunseo, written by me can be of great help to identify the expressions and contents. Moreover this book enables us to check authors and melodies of the works. This is a study on the aspects and phases of transformation of an original work by examining 'Eobusasisa'. The findings are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number of collections including 'Eobusasisa' is unexpectedly small; secondly, how the original work was transformed and modified in various collections. A representative collection including 'Eobusasisa' as a transformed style into Sijo is Haedonggayo, where 38 poems out of 40 of 'Eobusasisa' are collected. All the modifications and changes have been checked in this study. To sum up, it is very important to compare the variations of a Sijo work with each other. It enables us to check up and to identify the writers, spellings, expressions, and melodies.

문헌의 교감으로 원문의 정확을 기하는 일은 학문연구의 중요한 기초작업이다. 시조의 경우 장구한 구전시대를 거친 후 필사에 의한 문자 정착을 보게 되었는데 착오없는 원작전승에 배려없이 전사를 거듭한 결과 현전하는 가집의 작품들은 원작의 변리현상을 피할 길이 없었다. 따라서 시조작품의 원모를 찾는데는 여러 시조집의 작품을 대교 교감하여야 할 것이요 그 길은 졸저 교본 역대시조전서에 의거하여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시조의 작품 뿐 아니라 작가, 곡목까지도 교감이 가능하다. 고산윤선도의 작품을 예로 하여 그이 작품이 어느 책에 어떻게 전파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특히 어부사시사가 예로 고산 유고와 해동가요의 대비에서 원작의 변개상황을 교감으로 살펴보았다. 고산의 작품은 의외로 그 전파가 좁았다. 고산의 어부사시사가 원문의 첨삭 변개로 시조화되어 수종 시조집에 전하는 중에는 특히 해동가요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어부사 40수중 38수가 해요에 전한다. 그러나 그 중 5수는 변개되고 있는데 그 중에는 원작으로 다루는 데에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는 작품도 있다. 해요의 편저자 윤선도 소개란에 「어부가 오십이수」라고 하여 어부사가 아닌 작품까지 합산하여 어부가로 다루며 해요에 수록하고 있어 의간을 남기고 있다. 이 한가지 예로서 시기연구에서 교감문제의 많은 과제가 있음을 밝혀 보았다. 이 방면의 연구가 미흡함을 느끼며 새로운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