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eptual Change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Motion of the Moon Using the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al Model

인지갈등 수업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달의 운동 개념 변화

  • Kim, Hee-S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ung, Jung-I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him, Ki-Chang (Daehwa Middle-School)
  • 김희수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 정정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 심기창 (대전대화중학교)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ypes of preconception about the motion of the moon hel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find out how the lesson applying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al model changes their conceptual view of the motion of the moon. A quantitative study was first conducted with 48 ninth graders and then followed by a qualitative study. In the qualitative study,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organized into groups of five and ten respectively. Students were instructed to observe the motion of the moon about for a month and at the same time were taught via the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al model for three class periods.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evaluating the degree of concept development that each student showed. A majority of students were found to hold misconceptions formed from elementary school programs on the motion of the moon. Further, students showed lack of scientific ability to interpret the phenomena of the mo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al model was effective for students to make progress regarding their conceptual views of the motion of the moon.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misconceptions by students may possibly occur when two dimensional figures or miniatures were used.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달의 운동에 대한 선개념의 유형을 파악하고, 인지갈등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달의 운동 개념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48명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하였고, 이들 중 남 ${\cdot}$ 녀 각 5명씩, 10명을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하였다. 주요 활동은 약 한 달 동안 달 관측 활동을 실시하고 3차시의 인지갈등 수업모형에 따른 수업을 전개하였다. 달의 운동 개념 수준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달의 운동개념 수준 검사지와 면담 평가지를 개발하여 투입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들은 초등학교에서 학습한 달의 운동 개념에 대해 많은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달의 운동과 관련된 현상에 대한 과학적인 해석 능력이 매우 부족하였다. 인지갈등 수업모형의 적용은 달의 운동 개념을 발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활동 중 평면적인 그림이나 축소된 모형이 달의 운동 개념을 해석함에 있어 또 다른 오개념을 유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우, 1997, 중학교 과학교육과정 중 달의 운동 학습을 위한 컴퓨터 보조학습(CAI), 코스웨어의 개발. 한국교원 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2-43
  2. 국동식, 김대영, 2000, 인지갈등 수업모형이 대기압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1 (4), 369-379
  3. 권난주, 권재술, 1998, 인지갈등을 통한 개념수업 절차 모형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회지, 18 (3), 261-271
  4. 권재술, 1989, 과학개념에 대한 인지적 모형. 한국물리학회지, 7, 1-9
  5. 권재술, 이경호, 김연수, 2003,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 547-591
  6. 김봉섭, 1999,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 형성.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1-83
  7. 김상우, 2002, 학습자 중심의 달의 운동 웹 기반 시뮬레이션 구현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2-44
  8. 김찬종, 이조옥, 1995, 달의 위상 변화와 빛에 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17 (1), 8-21
  9. 민준규, 1991, 중등학생 및 과학교사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4 p
  10. 우종옥, 이항로, 민준규, 1995, 계통도를 이용한 중.고등학생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유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15 (4), 379-393
  11. 이조옥, 1994,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오개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6-108
  12. 정남식, 1996, 소집단 역할놀이와 토의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 변화.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2-194
  13. 허성호, 2000,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5-56
  14. Barnett, M. , Keating, T., Barab, S., and Hay, K., 2000, Conceptual change through building three-dimensional models. In Fishman, B.J. and O'Connor, S.F. (e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Learning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34-142
  15. Barnett, M. and Blossom, R.B., 2002, Addressing children's alternative frameworks of the moon's phase and eclip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 (8), 859-879.
  16. Hashweh, M.J., 1986, Toward o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of Science Education, 8, 229-249 https://doi.org/10.1080/0140528860080301
  17. Lythcott, J. and Duschl, R., 1990, Qualitative research: From methods to conclusions. Science Education, 74 (4), 445-460 https://doi.org/10.1002/sce.3730740405
  18. Pena, B.M. and Gil Quilez, M.F., 2001, The importance of images in astronom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 (11), 1125-1135.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38611
  19. Piaget, J., 1969,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psychology of the child. New York: Orion Press, 43-48
  20. Posner, G.J., Strike, K.A., Hewson, P.W., and Gertzog, W.A.,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 211-227 https://doi.org/10.1002/sce.3730660207
  21. Targan, D.M., 1987, A study of conceptual change in the content domain of the lunar phases. In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s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499-511
  22. Trundle, K.C., Atwood, R.K., and Christoper J.E., 200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7), 633-658. https://doi.org/10.1002/tea.1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