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변화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이 중학생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sing Multimedia Material of Seasonal Change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s

  • 정정인 (공주대학교 과학교육학과 지구과학교육 전공) ;
  • 심기창 (대전 대화중학교) ;
  • 김희수 (공주대학교 과학교육학과 지구과학교육 전공)
  • Chung, Jung-I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him, Ki-Chang (Daehwa Middle-School) ;
  • Kim, Hee-S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4.10.30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계절의 변화에 관한 선개념의 유형을 파악하고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그 수업이 계절의 변화에 대한 개념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계절의 변화 개념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지는 10문항을 개발하였다. 대상자는 중학교 3학년 80명(실험반 57명, 통계반 23명)으로 2차시에 걸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반에는 멀티미디어 활용수업이 투여된 반면 통제반에는 전통적인 수업이 투여되었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활용된 멀티미디어 자료는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p$<$0.01). 또한, 개념의 변화를 상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6단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멀티미디어 활용수업은 전통적 수업모형에 비하여 개념이 없는 학습자의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거나, 비과학적 개념을 과학적 개념으로 발전시키는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과학적 개념을 더욱 더 정교화 시키는데도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ypes of preconception on the seasonal change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how the developed multimedia material changes their conception in the seasonal change. The questionnaire about the variation of season consisted of 10 items. Questions are given to 80 ninth graders.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as 23 and 57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y were instructed for two class periods. A learning method using multimedia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other hand,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 was used for the control group. A learning method using multimedia in this study had an effect on the conceptual changes (p$<$0.01). Data in this study was divided into six levels to classify the changes of concepts in detail. As a result, it showed that a learning method using multimedia was effective for students to make progress from unscientific to scientific concepts, to build up scientific concepts, to build up scientific concepts, and to elaborate scientific concepts as compared with traditional method.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경만, 2000, 계절의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7 p
  2. 국동식, 이형준, 1999, 지적수준에 따른 학습전후의 개념변화,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0 (6), 595-604
  3. 김범기, 권재술, 1995, 과학개념과 인지적 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 (4), 472-486
  4. 김한호, 1995, 과학수업모형들의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 (2), 201-212
  5. 김희수, 서창현, 이항로, 2003,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 (6), 508-523
  6. 김희수, 1999, 학습자 능력에 따라 진행되는 인터넷용 멀티미디어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고등학교 지구과학의 천문학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0 (1), 3-17
  7. 노태희, 차정호, 김창민, 1999, 고등학교 화학수업에서 입자 수준의 애니메이션과 활동지를 이용한 컴퓨터 보조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1), 128-136
  8. 조희형, 1985, 과학개념 학습, 과학교육 (박승재 편저), 교육과학사, 221 p
  9. 윤상화, 1999, 계절변화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및 발생 학습 수업모형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6 p
  10. 이항로, 정진우, 윤상화, 2003, 발생학습 전략의 적용이 계절변화 관련 지구과학개념 변화에 미친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4 (3), 160-171
  11. Barnett, M., Keating, T., Barab, S., and Hay, K., 2000, Conceptual change through building three-dimensional models. In Fishman, B.J. and O'Connor S.F. (e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Learning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34-142
  12. Baxter, J., 1989,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miliar astronomical ev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 302-313
  13. Cosgrove, M.M. and Osborne, R.J., 1985, Learning in Science, 101-111
  14. Klein, C.A., 1982, Children's concepts of the Earth & the Sun: A cross cultural study, Science Education, 65 (1), 95-107
  15. Dreyfus, A., Jungwirth, E., and Elivitch R., 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some applications,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 (5), 473-496 https://doi.org/10.1002/sce.3730740407
  16. Lightman, A. and Sadler, P., 1993, Teacher predictions versus actual student gains, The Physics Teacher, 31, 162-167 https://doi.org/10.1119/1.2343698
  17. Linn, M.C., 1987, Establishing a research base for science education: Challenges. trends, and recommend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 191-216 https://doi.org/10.1002/tea.3660240302
  18. Sadler, P.M., 1987, Misconception in Astronomy. Proceedings of the misconceptions in science & math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USA, 424-425
  19. Trumper, R., 2001, A cross-ag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basic astronomy concep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 1111-1123 https://doi.org/10.1080/09500690010025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