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Level Specific Curriculum of High School Science Course

고등학교 과학의 수준별 학습을 위한 교육자료개발

  • Park, In-Guen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won, Hyo-Sik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Dong-Suk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ook, Dong-Sik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박인근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권효식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양동석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국동식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The 7th curriculum which was administered to high school science courses from 2002 asked for a revel specific curriculum. But those curriculums were not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level specific curriculum for high school science courses, apply it to high school science courses, and then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curriculum through the change in attitude towards science and perception towards level specific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wo types of level specific curriculum for high school science course was developed. In the first type, the level specific curriculum instruction was conducted in the same class whereas, instruction was divided in the second one,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llectual levels. 2) Result on the perception of the test showed that developed level specific curriculum was ineffective in changing the students' attitude towards science, even though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This was because the students perceive science as a difficult and uninteresting subject.

2002학년도부터 시행되고 잇는 제 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학습을 요구하고 있으나 교사가 실제 사용할 교수학습과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할 수준별 교수학습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학습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과학관련 태도와 학습 성취도 및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등학교의 수준별 학습의 운용형태에 따라 두 가지 형태의 교과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하나는 수준별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사용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수준별로 학생들을 분반하여 학습하는 형태이다. 이들 중 동시에 학습하는 형태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2) 수준별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 학생들은 이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동시에 수행되는 수준별 학습에 대해서는 좋은 인식을 주지 못했으며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서는 우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1,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실제. 74 p
  2. 김재춘, 1997, 다시 생각해본 수준별 교육과정: 수분별 교육과정의 도입, 편성, 운영논의와 관련된 쟁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연구, 14, 123-141
  3. 김혜연, 유정문, 2000,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모형의 중학교 과학교육에서 의 적용효과: '물의 순환과 일기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 학회지, 21 (2), 103-115
  4. 김혜진, 1999,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이 학습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8 p
  5. 조미란, 1998, 수준별 과학과 교육과정도입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6 p
  6. 박혜순, 1998, 중학교 생물수업에서 수준별 수업이 과학지식,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81 p
  7. 이명재, 2001,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 한국지구과학회지, 22 (3), 248-257
  8. 이지현, 1999, 중학교 과학과목에서의 수준별 소집단 수업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p
  9. 하소현, 곽대도, 성민웅, 2001 초 . 중 . 고등학교 탐구기능 요소에 대한 6차 와 7차 교육과정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1), 10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