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linity Effects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관개용수내 염분농도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Choi, Sun-Hw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earch, Rural Research Institute of KARICO) ;
  • Kim, Ho-I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earch, Rural Research Institute of KARICO) ;
  • Ahn, Ye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earch, Rural Research Institute of KARICO) ;
  • Jang, Jeon-Ryeo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earch, Rural Research Institute of KARICO) ;
  • Oh, Jong-Min (College of Environment & Applied Chemistry, Center for Environment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최선화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환경연구실) ;
  • 김호일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환경연구실) ;
  • 안열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환경연구실) ;
  • 장정렬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환경연구실) ;
  • 오종민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부 환경연구센터)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linity in irrigation water on the growth, yield components, yield and grain quality of rice plant by the pot experiments. Irrigation waters were supplied with control and amended with NaCl at 1,000, 2,000, 3,000, 5,000, and 7,000 ${\mu}s\;cm^{-1}$ electrical conductivity. A randomized block design was used with four replicates for each treatment and control. As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 plant height, tiller number, SPAD value, dry weight, content of N, P, and K, ripened grain ratio (%), 1,000 grain weight, and protein content (%) tended to decrease, especially, significant at 3,000 ${\mu}s\;cm^{-1}$ of salt level. Grain yield decreased significantly at all treatments. The percentage of head rice slightly tended to increase as the salt concentration due to the decrease of green kernel. The percentage of green kernel was significantly lower at 3,000 ${\mu}s\;cm^{-1}$ of salt level than the control.

관개용수의 염분농도가 벼 생육, 수량, 미질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관개용수의 평균 염분농도를 1,000, 2,000, 3,000, 5,000,7,000 ${\mu}s\;cm^{-1}$의 처리하여 2003년 4월부터 9월까지 벼재배 포트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얻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장, 분얼수, 엽색도 (SPAD value). 건물중은 관개수의염분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도5,000 ${\mu}s\;cm^{-1}$ 와 7,000 ${\mu}s\;cm^{-1}$처리구의 식물체는 유수형성기 이전에 고사하였다. 특히, 유수형성기 이후부터 3,000 ${\mu}s\;cm^{-1}$ 처리구에서는 초장, 분얼수. 식물체 건물중 모두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식물체의 무기성분 (N, P, K)함량은 관개수의 염도가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경향으로 질소는 2,000 ${\mu}s\;cm^{-1}$와 3,000 ${\mu}s\;cm^{-1}$ 처리구에서, 인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칼륨함량은 3,000 ${\mu}s\;cm^{-1}$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수량을 결정하는 이삭당 영화수, 등숙률 및 천립중은 염분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수량 역시 큰 폭으로 감소하여 처리구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완전미율은 염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청미는 감소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염분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3,000 ${\mu}s\;cm^{-1}$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를 전후하여 관개용수원 확보를 목적으로 서남해안 바다를 간척하여 하구담수호를 다수 조성하였으며, 이는 전체 농업용수원의 약 16%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하구담수호는 조성 년도가 짧을 뿐만 아니라 바다와 인접한 지형, 지질학상으로 염분농도가 높아 농작물 염해에 대해 우려의 소지가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간척지인 토양을 대상으로 하여 수확량 확보를 목적으로 염분 농도와 벼 생육에 대한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염분 농도가 높은 물을 관개용수로 이용시 벼 생육과 수량, 미질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여 기초자료 확보차인에서 본 연구가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관개수의 염분농도가 1,000 ${\mu}s\;cm^{-1}$ 이상에서는 수량감소를 가져오고, 특히3,000 ${\mu}s\;cm^{-1}$ 이상에서는 절대적인 벼 생육 피해뿐만 아니라 식물체 고사까지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염도가 높은 물을 관개용수로 이용시 사용 전에 충분한 제염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염분 농도에 대한 허용한계농도 수질기준이나 관개용수 수질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단지 1년간의 포트실험의 결과이므로 자연환경에서의 재배실험과는 상당히 다를 수가 있다. 따라서 자료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포장실험을 비롯하여 향후 지속적인 생육실험으로 자료를 축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농림부. 2003. 2003 농업생산기반통계연보. 농림부, 과천
  2.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2002. 한국의 간척지 농업 229-231, 농촌진흥청, 익산
  3. 어임수, 한규홍, 이종영, 장효창. 1982. 남부간척지 수도생력 재배시험. 호남작물시험장, 익산
  4. 이승택. 1989. 수도의 염해와 대책. 한국작물학회지 34: 66-80
  5. 이승헌, 안열. 2003. 우리나라 간척현황과 향후과제. 간척지농업연구회 1(1): 20-31
  6. 이충근, 윤영환, 신진철, 이변우, 김정곤. 2002. 벼 생육시기별 염수처리 농도와 기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한국작물학회지 47(6): 402-408
  7. 정진일, 유숙종, 오명규, 백남현, 고재권, 이재길. 2002. 벼 생태별 염농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한국작물학회지 47(6):422-426
  8. 최선영, 이강수, 여동수, 유점호. 1994. NaCl 처리가 벼 유묘기의 생장, 수분포텐셜 및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농대논문집 25: 1-12
  9. 최선화. 2003. 아시아 몬순기후대에 속하는 국가들의 농업용수 수질기준소개. 농어촌과 환경 79: 67-76
  10. CCME. 1999. Canadian Environmental Quality Guidelines, 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Environment Canada, Hull, Quebec; 8 Chapters
  11. C. M. Grieve and E. V. Maas. 1987. Differential Effects of Sodium/Calcium ratio on Sorghum Genotypes. Crop science 28(4): 659-665
  12. E. V. MAAS and S. R. GRATTAN. 1999. Crop yield as affected by salinity. Agricultural Drainage, Agronomy Monograph 38: 55-108
  13. Kaddah, M.T. 1963. Salinity effects on growth of rice of the seeding and inflorescence stages of development. Soil Science 96: 105-111
  14. Linghe Zeng and Michael C. Shannon. 2000. Effects of salinity on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at different seeding densities. Agronomy Journal 92(3):418-423
  15. Linghe Zeng and Michael C. Shannon. 2000. Salinity effects on seeding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Crop Science 40(4): 996-1003
  16. Linghe Zeng, Scott M. Lesch and Catherine M. Grieve. 2003. Rice growth and yield respond to changes in water depth and salinity stress.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59: 67-75
  17. Munns, R. and A. Termaat. 1986. whole-plant responses to salinity. Aust. J. Plant Physiol 13: 143-160
  18. Scardaci, S.C., A.U. Eke, J.E. Hill, M.C. Shannon and J.D. Rhoades. 1996. Water and soil salinity studies on California rice Rice Publ.Coop. Et., Univ. of California,Colusa, CA, USA
  19. Shannon M.C., J.D. Rhoades, J.H., S.C. Scardaci and M.D. Spyres. 1998. Assessment of salt tolerance in rice cultivars in response to salinity problems in California. Crop Science 38(1): 394-398
  20. Stephen R. Grattan, Linghe Zeng, M. C. Shannon and Stacy R. Roberts. 2002. Rice is more sensitive to salin-ity than previously thought. Research Article of UC. 190-195
  21. Steven C. Scardaci, Austine U. Eke, James E. Hill, Michael C.Shannon and James D. Rhoades. Water and soil salinity studies on California rice. http://agronomy.ucdavis.edu/uccerice/water/salinity.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