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in Major Natural History Museums of the World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This paper describ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in major natural history museums of the worl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s, annual reports, and written material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at London, Australian Museum at Sydney,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at Chicago, Smithsonian Museum at Washington D.C, Royal Tyrrell Museum at Canada and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t New York.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presented ten types of educational programs, which were moveable museums, workshops, lecture/courses, festival/events, discovery activities, scientific exploration/research projects, field trips, youth curators/internship, loan materials and camp/tours. We also described the examples equivalent to each program typ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provided by museums as informal learning setting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themes, participation levels, connection with exhibition, relation to curriculum, and learning activity levels. Information in this paper will assist science teachers, museum educators and curators: (1) to design and implement various types and contents of educational programs; (2) to us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to assess and develop them; (3) to make important contributions to science education that involves the introduction of various scientific aspects and collections to the public, and the use of programs for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coherent to existing curricula.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주요 자연사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미국(AMNH, FM, SM), 영국(NHM), 호주(AU), 캐나다(RTM)의 자연사 박물관의 웹사이트에 소개되어 있는 교육 프로그램, 박물관 간행 책자, 홍보자료, 연간 보고서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크게 열 가지 유형-이동식 박물관, 워크삽, 강좌/강연, 페스티발/(특별)이벤트, 탐구활동, 과학적 활동/연구 프로젝트, 필드트립, 청소년 학예원/인턴 과정, 대여 자료, 캠프/투어-로 나누고, 각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의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개별 프로그램을 교육적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특징인 주제, 참여 수준, 전시와의 연관성, 학교교육과의 연계, 활동 수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과학교사, 박물관 교육담당자 및 학예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 교육 프로그램 유형과 내용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유용하며, (2)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지침으로 이용될 수 있고, (3) 일반 대중에게 다양한 과학적 측면과 소장품을 소개하거나 학교 교육과정과 연관한 과학 교수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석(2002). 지방자치시대에 있어서 지역 자연사 박물관의 역할. 한국고생물학회지 별책, 5, 51-60
  2. 설양환,임병로(2001). 박물관의 현장 견학 프로그램: 미국어린이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 연구, 39(4), 231-254
  3. 양승영(2002). 하나의 예로서 일본의 자연사 박물관. 한국고생물학회지 별책, 5, 73-79
  4. 이융남(2002). 자연사 박물관 고생물 분야의 전시기본방향-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의 예-. 한국고생물학회지 별책, 5, 13-30
  5. 이종위(1999). 자연사 박물관 교육. 박물관학 연구, 29-41
  6. 이창진(2002). 자연사 박물관의 필요성과 국내 자연사 박물관의 현재. 지구과학교육, 5-8
  7.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 박물관(2003). http://home.ewha.ac.kr/-nhm/
  8. 임종덕(2002). 자연사 박물관과 화석. 한국고생물학회지 별책, 5, 81-94
  9. 전희영(2002). 자연사 박물관의 효율적 운영방안-지질(고생물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고생물학회지 별책. 5,1-12
  10. 최지은, 김찬종, 이창진, 임진영, 이선경, 변호승, 신명경, 이선경 (2003). 자연사 및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국민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심사중)
  11. 허민(2002). 대학박물관에 있어서의 고생물학 위치와 공룡화석의 활용방안. 한국고생물학회지 별책, 5, 31-38
  12. Abraham, L. M.(2002). What do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gain from field-based research apprenticeship programs? The Cleaning House, 75(5), 111-114
  13. Abungu, G.(1999). Message from the director-general. Nairobi: National Museums of Kenya, http://www.museums.or.ke/dg.html
  14. Anderson, D.(1999). A common wealth: Museums in the learning age, London: Department of Culture, Media and Sport, 2nd ed.
  15. 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s.(1984). Museums for a New Century. 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 Washington DC
  16. Cox, A M., Lafferty, A, & Abraham, L. M.(1998). Authentic science learning: High school apprenticeships at museums. Paper presented a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nnual Meeting, San Diego, CA
  17. Hawkey, R(2001). The science of nature and the nature of science: Natural history museums online.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5(4), 2001. (http://unr.edu/homepage/crowther/ejse/ hawkey.html)
  18. Krishtalka, L. & Humphrey, P. S.(2000). Can natural history museums capture the future? Bioscience, 50(7), 611-617 https://doi.org/10.1641/0006-3568(2000)050[0611:CNHMCT]2.0.CO;2
  19. McLeod, J. & Kilpatrick, K.(2001). Exploring science at the museum. Educational Leadership, April, 59-63
  20. Melber, L. M. & Abraham, L. M.(2002). Science education in U.S. natural history museums: A historical perspective. Science & Education, 11, 45-54 https://doi.org/10.1023/A:1013006930636
  21. Rennie, L. J., Feher, E., Dierking, L. D., & Falk, J. H. (2003). Toward an agenda for advancing research on science learning in out-of-school setting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112-120 https://doi.org/10.1002/tea.10067
  22. Tran, L. U.(2003). Teaching science at informal settings: The roles and behaviors of the educator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PA: Philadelph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