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고 학생들의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물 실험 모듈의 적용 효과

Application Effects of Biology Modules for Improving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Scientific Thinking

  • 발행 : 2004.06.30

초록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의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학습자 활동 중심으로 개발된 가설-연역적 실험 모듈이 과학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삼투압과 식물의 색소 분리와 관련된 5차시의 가설-연역적 실험 모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의 S 과학고 남 여 4개 반을 각각 46명씩 2개 학급으로 구성된 실험 집단 및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서 수업을 하였다. 실험 집단은 삼투 현상 및 광합성 색소 분리와 관련된 가설-연역적 방식으로 구성된 생물 실험 모듈을 통해 학생 중심의 실험 수업을 하였고, 통제 집단은 개발된 실험 모듈과 같은 내용을 가지고 전통적인 방식의 실험 결과 확인 실험 수업을 수행하였다. 두 모듈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 과학 탐구 능력 그리고 성취도의 향상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실험 모듈을 적용한 실험 수업은 기존의 전통적 실험 수업보다 학생들의 창의력, 과학적 사고력, 과학 탐구 능력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삼투 현상과 광합성 색소 분리를 주제로 한 두 개의 생물 실험 모듈을 적용한 가설-연역적 방식의 수업이 전통적인 교과서 실험 방식인 확인식 실험 수업보다 학생들의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Two biology modules were developed previous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reativity and scientific thinking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 hypothetical-deductive experimental procedure was reflected in the module when students themselves can perform a series of activities of making hypothesis and designing an experiment to solve the questions. They followed a series of scientific processes to determine some characteristics regarding plant pigments and the transport process of materials in living organisms. Four classes of 9th graders in'S' Science High School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same contents of the modules were taught to the control group by the traditional experimental way. The students' creativity,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inquiry skill and knowledge achievement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A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areas of the students' creativity,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inquiry skill and achievement than the control group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pecially designed modules in terms of hypothetical-deductive experimental procedure were effective to improv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scientific thinking abil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감, 노석구, 이희순(2001). 창의력 개발을 위한 자연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89-101
  2. 곽영순, 명전옥, 최승언(1995). 지구과학 실험 수업에서 V모형의 적용 효과. 과학교육연구논집, 20(1), 89-105
  3.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김나경(1997). Parnes의 창의척 문제해결 모형 적용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성 신장애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영미(2001). 고등학생의 인지특성 및 과학창의력에 따른 탐구중심의 유전관련 교수-학습 모듈 수업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영채(1999).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7.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8. 동방여자중학교 (2001). 브레인스토밍(Braintorming)운용을 통한 창의력 신장. 대전광역시교육청 지정 과학교육 시범학교 보고
  9. 박현주(1999). Treffinger의 창의척 문제해결 수업모형이 아동의 창의성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윤덕근, 김성하, 차희영, 이길재, 정완호(2003). 고등학생들의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을 높이기 위한 식물 색소 관련 실험 모듈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2), 181-190
  11. 이성조(2002). 비유와 모형을 이용한 생물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정선(2002). 창의력 신장을 위한 생명공학 관련 실험모듈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현미(2002).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광합성 실험모듈의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임청환, 정진우(1991). 고교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과학탐구 기능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 학회지, 11(2), 23-30
  15. 정완호, 김영신, 권용주, 박윤복(2000). 초. 중. 고등학교의 교과 내용, 명가와 과학적 사고력의 분석에 대한 연구. '99년도 한국생물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및 논문발표회. 인천교육대학교
  16. 조연순, 성진숙, 채제숙, 구성혜(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07-328
  17. 해외교육정보(1998). 세계 교육리그. 누가 1등인가- 각국 학생성취도 차이 원인 분석. 서울: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pp85-94
  18. Burns, J. C., Okey, J. R and Wise. K. C.(1985). Development of an intergrated process skills tes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2(2), 169-177
  19. Karplus, R.(1977).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4(2), 169-175 https://doi.org/10.1002/tea.3660140212
  20. Lawson, A. E.(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e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1. Rief, F. & Larkin, J. H.(1991) Cognition in scientific and everyday domain: Comparison and learning impli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9), 733-760 https://doi.org/10.1002/tea.3660280904
  22. Roadrangka, Y., Yeany, R. H. & Padilla M. J.(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gking (GAL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