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cience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Middle School in South and North Korea

  • 발행 : 2004.06.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se the subject organization and teaching units of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s and science textbooks, by studying the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and content scope and level of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 in South and North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mposition, scope, and level of content betwee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South and North Korea were similar.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science education objectives, separated science curriculum subject organization, economical efficiency weighted format and organization of science subject matter, result-centered experiments, the enlightenment of Kim Ilsung and his son in North Korea science education were very far from the desirable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e view on level-based curriculum and organ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integrated, and preparation of student-centered organization of textbooks and expansion of science-technology-society content is needed before unification. And also, the united Korea science curriculum shouldn't simply compromise or neutralize betwee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South and North Korea. They should make a future-oriented plan for information and globalism socie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1997).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별책 9'과학과 교육 과정. 교육부
  2. 국립교육평가원(1997). 과학교육과정 국제비교연구TIMSS 보고서. 중앙교육평가원
  3. 김권기, 김보섭, 최윤섭, 조낙정(1998). 고등중학교 3학년물리. 교육도서출판사
  4. 노석구(1995). 남북한 초.중등 과학교과서의 화학 내용비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노석구(2000). 80년대와 90년대 북한 고등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변화 -화학 분야를 중심으로-. 대한화학회지, 44(4), 363-375
  6. 리근반, 전승희, 리대형, 박신성, 리상우, 하대수(1997). 고등중학교 4학년 화학. 교육도서출판사
  7. 림원식, 김창화, 최윤섭, 리동호, 김보섭, 윤명실(1998). 고등중학교 2학년 물리. 교육도서출판사
  8. 문용린, 박용헌, 이강주, 최혜정(1995). 남북통일 대비 교육 준비에 관한 교육전문가의 의견 조사 연구보고서. 서울대학교사범대학 통일교육 연구위원회
  9. 박신성, 전승희, 리대형, 리근반, 하대수(1998). 고등중학교 3학년 화학. 교육도서 출판사
  10. 서영준(1987). 인민학교 교수방법. 김형직사범대학
  11. 이양락(2000).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1(1), 1-12
  12. 전영오(1992). 북한 물리 교과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정완호, 우종옥, 권재솔, 김범기, 최병순, 정진우, 김성하, 백성혜, 이석형, 이봉호 (2000). 중학교 과학 1. 교학사
  14. 정완호, 권재술, 김범기, 김성하, 백성혜, 우종옥. 이봉호, 이석형, 정진우, 최병순 (2001). 중학교 과학 2. 교학사
  15. 정완호, 권재술, 김범기, 김성하, 백성혜, 우종옥, 이봉호, 이석형, 정진우, 최병순 (2001). 중학교 과학 3. 교학사
  16. 조영옥(1999). 남.북한 중등 생물 교과서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조주연, 한만길, 황규호(1995). 남북한 교육 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모형 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과정 연구위원회, 41 -43
  18. 조주연(1996). 남.북한 교육과정, 교과서 비교 분석의 춘거 탐색. 초등교육연구 제10집, 63-86
  19. 최돈형, 김재영, 노석구, 이양락, 전영석(1998a). 남.북한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CR 98-21). 한국교육개발원. 1-28, 151-246
  20. 최돈형(1999). 남북한 중등학교 물리 영역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물리교육, 17(1), 98-112
  21. 한만길(1997). 통일시대 북한교육론. 교육과학사
  22. 한만길(1995). 민족동질성 회복의 관점에서 본 북한의 전통 문화와 도덕 교육. 도산학술논총, 제5집. 도산아카데미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