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eneral Transfer Effects of Thinking Science Program on the Problem Solving with Compensational Reaso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보상 논리 문제 해결에 대한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의 일반 전이 효과

  • Published : 2004.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ansfer effects of Thinking Science program on the problem solving with compensational reaso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156 5th grade and 138 6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The students were tested with SRT(Science Reasoning Task) and compensational reasoning task. Statistically significant gains on the development of compensational reasoning were shown by the experimental group implemented with Thinking Science activities compared to the group implemented with compensation activity only. The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ensation activity group in solving problem with compensational reasoning, specially for the boys and students in both the mature concrete and the concrete generalization s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implementation of Thinking Science program related to several formal reasoning wer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ability as a general-transfer.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에서 보상 활동의 독립적인 처치 효과와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 전체의 처치 효과를 성별, 인지 수준, 문제 상황별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Thinking Science의 처치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 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비례 논리 발달의 급등 시기에 있는 남학생과 비례 논리가 확립된 후기 구체적 조작기 이상의 인지 수준에 해당되는 학생들의 향상이 뚜렷하였다. 또한, Thinking Science를 처치한 집단의 학생들은 정량적 보상 논리 전략 중 항등식 전략 빈도가 높아서 인지 부담이 큰 비정수비 문항에서의 문제 해결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따라서, Thinking Science 집단에서는 보상 논리 외의 다른 형식적 사고 기능이 포함된 활동들이 보상 논리 형성을 촉진하는 일반 전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인지가속 프로그램인 Thinking Science는 다양한 형식적 사고 기능의 통합적인 발달을 통하여 인지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인지발달은 물론 형식적 사고 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학습 전략 고안에 있어서 반드시 형식적 사고 요소들 간의 관련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박종윤, 정지영(1999). 학습자의 인지수준과 학습 내용의 인지 요구도를 고려한 중등 화학 학습 전략개발에 대한 연구. 화학교육, 43(5), 578-588
  2. 김선자, 이상권, 박종윤, 강성주, 최병순(2002). '생각하는 과학' 프로그램의 보상 논리 활동에 의한 보상적 사고 수준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04-616
  3. 김영준(2001). CASE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아동의 인지수준과 아동-교사의 상호작용이 문제 해결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신애경(2003).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인지발달 가속과 인지 과정 기능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정완호, 권용주, 김영신(1999). 초등학교 학생들의 비례논리 전략의 발달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8(1), 87-95
  6. 최병순, 강성주, 강순회희, 박종윤, 권용주(2002). 과학교육을 통한 인지발달 가속의 메카니즘에 관한 신경심리학적 해석. 특정기초연구 보고서. RO1-1999-000-00335-0, 한국과학재단
  7. 최병순, 허명(1987). 중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과학 교과내용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932
  8. Adey, P., & Shayer, M.(1994). Really rasing standards. London: Routledge
  9. Graeber, O. A.(1993). Proportional reasoning and achievement in high school chemist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7(1), 25-32 https://doi.org/10.1111/j.1949-8594.1987.tb17215.x
  10. Hart. K. M.(1983). I know what I believe; Do I believe what I know?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 95-102
  11. Lamon, S. J. (1993). Ratio and proportion: Children' s cognitive and metacognitive processes. In T. P. Carpenter, E. Fennema & T. A. Romberg (Eds.), Rational numbers: An integration of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
  12. Lawson, A. E., & Woolman, W. T.(1976). Encouraging the transition from concrete to formal cognitive functioning an experi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3, 413-430 https://doi.org/10.1002/tea.3660130505
  13. McGuinness, C.(1999). From thinking skills to thinking classrooms: A review and evaluation of approaches for developing pupils' thinking(RR115). London: DfEE
  14. Nisbet, J.(1993). The thinking cuniculwn. Educational Psychology, 13, 281-290 https://doi.org/10.1080/0144341930130306
  15. Rosenthal, D.(1979). The aquisition of formal operations: The effects of two training procedures. Joumal of Genetic Psychology, 134, 125-140 https://doi.org/10.1080/00221325.1979.10533405
  16. Shayer, M.(1996). The long-term effects of cognitive acceleration on pupils'school achievement. London: Center for the Advancement of Thinking, King's College
  17. Shayer, M., & Adey, P.(1992a).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I: Postproject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Joum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1), 81-92 https://doi.org/10.1002/tea.3660290108
  18. Shayer, M., & Adey, P.(1992b).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II: Testing the permanency of effec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10), 1101-1115 https://doi.org/10.1002/tea.3660291007
  19. Shayer, M., & Adey, P.(1993).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 Three years after a two year interven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4), 351-366 https://doi.org/10.1002/tea.3660300404
  20. Shayer, M., & Adey, P.(2002). Learning In telligence: Cognitive Acceleration across the curriculum from 5 to 15 years.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21. Wylam, R., & Shayer, M. (1978). CSMS Science Reasoning Tasks. Berks: NFER Publishing Company, PP. 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