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ative Study of Clinical Manifestations in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with Gross Hematuria or Microscopic Hematuria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 사구체신염에서 육안적 혈뇨와 현미경적 혈뇨에 따른 임상양상의 비교

  • Park Su-Hwa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amsung Medical Center) ;
  • Chung Eun-S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amsung Medical Center) ;
  • Sim Chang-E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Ilsan Paik Hospital) ;
  • Kim Kee-Hyuck (Department of Pediatrics, NHIC Ilsan Hospital) ;
  • Lee Chong-Gu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Ilsan Paik Hospital)
  • 박수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정은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
  • 심창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 ;
  • 김기혁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소아과) ;
  • 이종국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 of acute poststreptocaccal glomerulonephritis (APSGN) between patients who had presented with gross hematuria and those with microscopic hematuria. Methods: Thirty-nine patients with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who were diagnosed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03 were enrolled. Results: The mean age was 8.85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1 Seventeen patients presented with gross hematuria at diagnosis(group A) and twenty-two patients had microscopic hematuria only(group B).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ncidence of edema, fever or history of respiratory infection and oliguria. But hypertension was more frequent in group B. Laboratory data showed decreased C3 and C4 level in group B. Spot urine protein/creatinine ratio and 24hr urine protein showed higher levels in group A. Conclusion; Patients with gross hematuria at diagnosis had lower incidence of hypertension and a higher rate of nephrotic range of proteinuna than patients with microscopic hematuria. However, no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admission or complication rate was observed. All patients had clinical improvement during follow-up. We conclude that gross hematuria is not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목적: 본 연구는 지난 3여년간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 중 초기에 육안적 혈뇨를 보인 환아들의 임상양상을 관찰하고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인 환아들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경과 예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3년 4월까지 인제대학교부속 일산 백병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서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받은 환아 3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들의 평균 발병 연령은 8.85세 남녀 비는 1.1:1이었으며, 육안적 혈뇨를 보인 환아들(A군)은 17례,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인 환아들(B군)은 22례이었다. 두 군간의 부종, 핍뇨, 상기도 감염의 기왕력등의 빈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고혈압의 빈도는 A군 17례중 3례(17.6%), B군 22례중 11례(50.0%)로 B군에서 높았다. 검사 소견상 백혈구수, BUN, creatinine, ASO치는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보체치 C3와 C4는 B군에서 낮게 측정되었고 단백뇨의 정도를 나타내는 소변 내 단백/creatinine의 비와 24시간 소변내 단백량은 A군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질환에 의한 합병증의 발생이나 사망은 없었다. 결론: 초기에 육안적 혈뇨를 가진 환아들(A군)은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였던 환아들(B군)보다 고혈압의 빈도는 낮았으며, 단백뇨의 양은 많았다. 그러나 두 군간의 임상경과 및 예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대상 환아 전례에서 임상적인 호전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