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Management Plan and Biotope Structure of Namsan Urban Natural Park in Seoul

서울 남산도시자연공원의 비오톱 구조 및 생태적 관리방안

  • Lee Kyong-Jae (School of Architecture,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Univ. of Seoul) ;
  • Han Bong-Ho (School of Architecture,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Univ. of Seoul) ;
  • Lee Soo-Dong (The Institute of Urban Sciences, Univ. of Seoul)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 ;
  • 이수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cological management plan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biotope structures on Namsan Urban Natural Park in Seoul. Classified by actual vegetation, structure of layer and vegetation damage, biotope structures were composed of forest area, compact management area, herb area, cultivated area and non-ecology(urban) area. Succession had seened to stop in the Native forest. Artifical forest was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upper layer, was too dense to accommodate lower layer plants, the other case was the appearance of Quercus spp. and the first stage plants of succession following the declination of the upper layer plants. The soil pH of Nam-san Urban Park was 4.21∼4.51, which meant the soil was becoming acid. As the result of acidity, leaching of available nutrition(K/sup +/, NH₄/sup +/, Ca/sup ++/ etc.) was immediately influenced by the natural ecosystem, influence of acid rain was disturbed to becoming organic matter which was use to plants. In the case of a biotope structure management plan, the urban area was prohibited to spread outside. Cultivated and herb area was regenerated to natural forest. In the forest area, the compact management area was maintained with its present condition, and then it is desirable to make a preservation area and to plant shrubs. Planted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needed to eliminate competitive species of canopy layer, and plant shrubs. Management of deciduous broad-leaved Comm. was maintained in its present conditionand it is desirable to raise the diversity of the understory and shrub layer. The management of the artifical forest seems to be suitable for Q. spp. community. The care of naturalized plants prevents the expansion and restores the structure of wild plants. The soil management was a marked restoration soil ecosystem in order to prevent soil acid and drying.

Keywords

References

  1. 길봉섭, 전의식, 김영식, 김창환, 윤경원, 유현경, 김병삼, 김현철(1998) 서울 남산공원의 식물상과 그 분포. 한국생태학회지 21(5): 603-631
  2. 김은식(1993) 남산 소나무와 대기오염. 93년 환경종합 학술대회 10: 559-564
  3. 김은식(1995) 남산의 산림생태계와 소나무 보존대책. 산림청
  4.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5. 남산공원관리사무소(1993) 남산제모습 가꾸기 자연보전사업보고서. 서울특별시
  6.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7. 민병미(1998) 남산공원 내 애기나리와 큰애기나리 군락의 동태 및 종간 경쟁의 추정. 한국생태학회지 21(5): 649-663
  8. 박현(1997) 탈질균 및 황산화원균 정량을 통한 서울의 대기오염이 남산의 토양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임학회지 86(1): 98-104
  9. 산림청(1997) 한국 임정 50년사. 산림청
  10. 서울특별시(1992) 남산 제모습 가꾸기 기본계획
  11. 서울특별시(1994) 공원현황(I)
  12. 서울특별시(1998) 서울시 산림 생태계 조사 연구보고서
  13. 서울특별시(2001) 남산도시자연공원 식생환경 실태 및 관리방안
  14. 서울학연구소(1996) 서울 근현대 역사기행. 서울시립대부설 서울학연구소
  15. 안효선(1983) 서울의 도시식생에 미치는 도시화의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오구균, 이경재, 임경빈(1988)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남산공원 식생의 관리대책. 한국임학회지 77(1): 1-9
  17. 유순호, 임선욱(1989) 토양비료.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8. 윤충원, 오승식, 이준혁, 주성현, 홍성천(1999)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ia L.) 조림지에서 천이의 예측과 조림학적 제어. 한국임학회지 88(2): 229-239
  19. 이경재(1986) 남산공원의 자연환경실태 및 보전대책.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20. 이경재(1993) 환경이 보존되는 범위내의 개발과 이용. 한국환경행정학회, 삼성지구환경연구소(편),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학제간 대토론회, pp. 141-153
  21. 이경재,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1990)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n) -Classification 및 Ordimation 방법에 의한 식생분석-. 응용생태연구 4(1): 33-43
  22. 이경재, 오구균, 박인협(1987) 남산자연공원의 식물군집구조 및 8년간 식생변화분석. 한국임학회지 76(3): 206-217
  23. 이경재, 조우, 한봉호(1996)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환경림 조성기법연구(I)-서울시 개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3(3): 48-58
  24. 이경재, 한봉호(1998) 부천시 산림지역 아까시나무림 식물군집 구조를 고려한 식생 관리 모델. 한국조경 학회지 26(2): 28-37
  25. 이순욱(1981) 한국의 삼림토양에 관한 연구(H). 한국임학회지 54: 25-35
  26. 이영로(1948) 남산의 식물. 경기중학교
  27. 이은복(1987) 남산의 식물상. 자연보존 59: 36-48
  28. 이진하, 박기학, 정영도(1996) 도로변 대기오염도와 토양오염수준의 관계. 한국환경농학회지 15(4): 494-500
  29. 이창석, 조현제, 문정숙, 김재은, 이남주(1998) 남산의 생태학적 진단. Korean J. Ecol., 21(5-3): 713-721
  30. 이호준, 전영문, 정흥락, 길지현, 흥문표, 김용옥, 장일도(1998) 남산자연공원의 식물군락분류와 토양환경. 한국생태학회지 21(5): 633-648
  31. 임경빈(1978) 남산공원수림의 피해상태와 그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32. 임경빈(1985) 조림학원론. 서울. 향문사
  33. 임양재, 양금철(1998) 서울 남산공원의 식생변화. Korean J. Ecol., 21(5-3): 589-602
  34. 村山智順 최길성(1990) 조선의 풍수. 서울. 민음사
  35.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37. Pielou, E. C.(1975) Plant Community ecology. John Wiley and Sons, Inc., 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