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Volume 7 Issue 2
- /
- Pages.64-69
- /
- 2004
- /
- 2288-0089(pISSN)
- /
- 2288-081X(eISSN)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Ocean Fronts at the East China Sea in Southwestern Sea Area from Jeju Island, Summer
제주도 서남방 동중국해역에서 하계 해양전선 형성과 수질특성
- Heo M. Y.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Choi Y. C.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hydrographic observations in the southwestern sea of Jeju Island in the last 10 days of August 1999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oceanic front area appeared in the East China Sea in August from is summarized as follows: In Line A, a front appears at Station A5 of 124°E and 31°30'N, showing relatively uniform density of 21.4 to 22.1 in the surface layer of 50m depth, which is distinguished from 22.0 shown in the sides of China and open ocean. In Line B, a front also appears at Station B6 of 124°E and 33°N, of which density is distinguished from 20.0 shown in the sides of China and open ocean as In Line A. As a result, the front area caused by fresh water runoffs from the Yangtze River in the East China Sea is formed at 124°E and 124°30'in the direction of east and northeast from Yangtze River, respectively.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study area are characterized by higher density in the side of China and by clear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layers in the side of open ocean, while by uniformly lower density concentration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layers in the front area. Chlorophyll-α concentrations is high in the sides of China and open ocean, while low in the front area.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the productivity in the front area is lower according to the inactivity of phytoplankton due to increased flow from vertical mixing between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Also, the front area in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may be moved towards the adjacent sea of Jeju Island by increasing fresh water runoffs from the Yangtze River in summer.
제주도 서남쪽 동중국해 해역에서 하계인 8월에 형성되는 외양 전선역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999년 8월 하순에 관측이 이루어 졌는데, 그 결과를 해 보면 A라인에서는 경도 124°,위도 31°30'에 위치한 정점 A5에서 표층부터 수심 50m까지의 밀도가 21.4에서 22.1의 범위로 비교적 균등한 분포를 보임으로써 중국연안쪽의 22.0과 외양역의 22.0의 값과는 구분되는 전선역이 형성된다. 또한 B라인에서는 경도 124°,위도 33°에 위치한 정점 B,6에서 A라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국연안쪽과 외양역의 밀도 20.0과 구분되는 전선역이 형성된다. 이 결과는 동중국해 해역에서 양자강 담수의 유출로 인한 외양역(에서)의 전선역이 양자강에서 정동방향으로는 동경 124°,동북쪽으로는 동경 124°30'에서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전선역에서의 영양염 특성은 전선역을 중심으로 중국 연안쪽에서 높고, 외양역에서 표층과 저층간의 농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반면에 전선역에서는 상하 층이 거의 균일하며 낮은 농도 분포를 보인다. 엽록소 a의 농도도(는) 전선역을 중심으로 중국 연안쪽과 외양역에서 높으나 전선역 중심에서는 낮은 분포를 보인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전선역이 형성되는 해역은 상하혼합과정에서 흐름의 증대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의 활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생산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름철 동중국해 해역에서 형성된 외양전선역은 중국대륙 담수의 유출량에 따라 전선역이 제주도까지 밀려올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