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nomics of the Galls Induced by Nurudea (Homoptera: Aphidoidea)

꽃오배자면충(매미목 : 진딧물상과)의 생태

  • Lee, Won-Koo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원구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과학부)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Gall development of Nurudea yanoniella on Rhus japonica and emergence of alatae from galls were studied in Jeonju. The galls were formed in late June to late October and slit open in late October 1999. The maximum length and width of galls marked were measured weekly during the period from gall formation to opening. The length and width of galls increased exponentially until mid August. After the 12 September the gall stopped developing Fundatrices (the first generation within the gall) began to larviposit on 24 June and the second generation developed in July to September. The alatiform of the second generation arrived at the final stadium in late September. Consequently, there were at least 4 generations within the galls. Alatae escaped from galls in early October. Correlation between gall and leaf growth indicated that fundatrix might act as a gall forming factor and 2nd-4th generations growing factor. A new species to Korean fauna, Nurudea shirai (Matsumura 1917) was found during this study.

1999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전북 완주군 대아 수목원에서 꽃오배자(Nurudea yanoniella) 충영의 형성과 1차 기주식물인 붉나무 잎의 생장관계를 조사하였다. 꽃오배자면충은 붉나무 가지의 높은 잎 및 하단의 소엽에 충영을 형성하고, 충영은 6월 29일 경에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충영을 절개하여 오배자면충의 발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간모(fundatrix)가 3번 탈피하여 7월 10일에 간모성충이 100% 나타났으며 제 2세대를 체내에 간직하고 있었다. 제 2세대는 7월 12일에 약충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3회탈피하여 8월 2일에는 무시형 성충이 나타났다. 제3세대는 9월 10일 경에 성충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9월 15일에는 충영의 분지선단이 열려 유시형 성충이 탈출하기 시작하였다. 충영의 형태가 꽃오배자와는 전혀 다르고 충영의 출현시기도 8월 2일로써 꽃오배자보다 한달 정도 늦으며 충영의 형성위치도 줄기에 가까운 새로운 꽃오배자가 발견되어서 이것을 대아꽃오배자[Nurudea shirai (Matsumura 1917 )]라고 동정하였다. 대아꽃오배자는 옻나무류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옻꽃오배자(Nurudea ibofushi Matsumura 1917)와 더듬이의 모양이 다르다. 이상의 충영 형성과정을 볼 때 간모 세대가 충영의 형성에 관여하며 제 2, 3세대는 충영의 분지와 생장에 관계가 있었다. 오배자, 꽃오배자와 대아꽃오배자는 대아 수목원에서 한 그루의 붉나무에 공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오배자가 5월 말, 꽃오배자가 6월 말 그리고 대아꽃오배자가 8월 초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오배자는 익엽에, 꽃오배자는 소엽의 기부에 그리고 대아꽃오배자는 줄기에 기생함으로써 서식처와 시간의 중복을 피하는 것을 확연히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