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in Fertility Rates in Korea: Causes and Future Prospect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 김승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출산율의 저하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을 우려하여 대책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논의가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국가정책을 개발${\cdot}$추진하기 이전에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저출산 현상의 올바른 인식과 철저한 원인규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출산율 변화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변화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먼저 자녀출산의 변화를 결혼상태 변화와 유배우부인의 출산율 변화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과거와는 달리 최근의 출산율 저하는 유배우 부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미혼자의 결혼연장 또는 독신생활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두 요인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경기침체 및 직장불안정, 결혼가치관의 변화와 초혼연령의 상승, 자녀양육 관심증대, 자녀양육비 부담, 가정과 직장의 양립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부족, 여성의 자아욕구 및 사회참여 증대, 자녀효용가치 감소, 이혼 등 가족해체의 증대, 그리고 불임부부의 증대 등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출산율 변화를 전망해 보면, 저출산을 일찍 경험한 서구 선진국의 경우와는 달리 정책의 추진에 한계가 있어 선진국보다 더 낮은 출산율을 회복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더군다나 젊은 미혼남녀의 가치관이 개인주의화 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출산율 회복정책을 추진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수년간 실시된 각종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현재의 경기침체가 회복될 경우 약 20%의 출산율 상승 가능성이 있으며, 이 때의 합계출산율은 약 1.43명 수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또한 종합적 체계적 출산회복정책을 효과적${\cdot}$효율적으로 추진한다면 약 10년 후에는 합계출산율이 약 1.6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낙관적 견해를 가져본다. 그렇지만 정책의 강도에 따라서 회복수준은 현저하게 상이할 것이다.를 진단, 치료함에 있어 진행성 신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예후인자가 없다면 신생검보다는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추적관찰만으로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도 등은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발견 당시 혈청 $C_3$치의 감소는 모두 11명(61.1%)에서 관찰되었는데, 증상군에서는 7명(87.5%), 집단뇨검사군에서는 4명(40%)으로 증상군에서 혈청 $C_3$치의 감소가 보다 현저하였다. 그러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증상군에서는 7명 중 4명, 집단뇨검사군에서는 4명 중 1명에서 혈청 $C_3$치는 정상범위로 증가하여 최종 관찰시점에서는 6명 (33.3%)에서만 혈청 $C_3$치의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혈청 $C_3$치의 감소를 보인 경우를 다시 병리조직학적 분류에 의해 세분하여보면 발병당시에는 I형 8명(61.5%), II형에 1명(100%), III형 2명(50%)에서 관찰되었는데, 최종 시점에서는 I형 4명(30.8%), II형 1명(100%), III형 1명(33.3%)이었다. 또한 증상군에서 세포성 반월체형성과 세뇨관위축의 빈도가 높았으며, 사구체 혈관벽 비후와 사구체 간질의 증가의 정도가 집단뇨검사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무증상성 요이상을 가진 환자에서 신장조직검사 실시 후 MPGN으로 진단되는 증례가 증가하고 있고, 오히려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보다 빈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집단뇨 검사에서 소변의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신장 조직검사를 실시할 경우 혈청 $C_3$치의 감소 여부에 관계없이 MPGN도 진단적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진행성 경과를 취할 수 있는 막 증식성 사구체 신염과 매우 희귀한 증례인 신유전분증 등으로 진단됨으로써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정확 진단적 접근이 필수적임을 알 수

Keywords

References

  1. 경제기획원 통계조사국·가족계획연구원(1977), <1974년 한국출산력조사>
  2. 공세권 외(1992), <한국에서의 가족형성과 출산형태(1991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김승권 외(2000),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김승권 외(2000a), <한국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김승권(2001), '인구 및 가족정책의 당면과제와 발전방안' , <보건복지포럼> 제62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김승권 외(2001), <최근 가족해체의 실태와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김승권 외(2002),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장단기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김승권 외(2003), <저출산 대비 인구정책개발 및 범정부추진체계 수립연구),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김승권 외(2003a), <가정복지 종합계획수립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김승권 외(2003b), <2003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 복지실태조사> ,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11. 문현상(1988), <1988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 한국인구보건연구원
  12. 서문희 외(2002), <2002년도 전국 보육실태조사 보고>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전광희(2002), '출산력' , 김두섭 . 박상태 . 은기수(편), <한국의 인구>, 제3장, 통계청
  14. 조남훈 외(1997), <1997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통계청, 해당연도, <경제활동인구연보> , 통계청
  16. 통계청, 해당연도,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 , 통계청
  17. 통계청, 해당연도, <장래인구추계> , 통계청
  1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2), <전국 보육실태조사 보고서>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 홍문식 외(1994), <1994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Becker, G. S. (1976), The Economic Approach to Human Behavior, Chicago: The Univ. of Chicago Press
  21. Bongaarts, John (2001), 'The End of the Fertility Transition in the Developed World' ,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8(3): 419-443 https://doi.org/10.1111/j.1728-4457.2002.00419.x
  22. Cho, Lee-Jay, R. Retherford, and Minja Kim Choe (1986), The Own Children Method of Fertitity Estimation, Honolulu, Hawaii: East-West Center.
  23. Feeney, Griffith, and Jingyuan Yu (1987), 'Period Parity Progression Measures of Fertility in China' , Population Studies 41(2): 71-102
  24. Han, Sung-Hyun and Griffith Feeney (1993), 'The Emergence of A New Pattern of Childbearing: Fertility in Korea During the 1980s' , The Journal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16(1): 59-68
  25. Kitagawa, E. M. (1955), 'Components of A Difference Between Two Rates' ,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50: 1168-1194 https://doi.org/10.2307/2281213
  26. Kulkarni, Sumati and Minja Kim Choe (1998), Wanted and Unwanted Fertitity in Selected States of India, Honolulu, Hawaii: International Institute for Population Sciences and East-West Center
  27. Leibenstein, Harvey (1964), 'An Interpretation of the Economic Theory of Fertility: Promising Path or Blind Alley' , JournaI of Economic literature 12: 563-585
  28. Mincer, J. (1962), 'Labor-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 Study of Labor Supply' , in H. Lewis (ed.), Aspects of Labor Econom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Notestein, Frank W. (1960), 'Mortality, Fertility, and Size - Age Distribution and the Growth Rate' , in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ed.), Demographic and Economic Changes in Developed Countr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Retherford, R. D. and N. Ogawa (1978), 'Decomposition of the Change in the Total fertility Rate in the Republic of Korea, 1966-1970' , Social Biology 25: 115-127 https://doi.org/10.1080/19485565.1978.9988329
  31. Tsuya, Noriko O. and Minja Kim Choe (2003), 'Investments in Children's Education, Desired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 in N. O. Tsuya, L. L. Bumpass (eds.), Marriage, Work, and FamiIy Life in Comparative Perspective: Japa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New York: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