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ward the Cultural Approach to the Discipline of Korean Design History: -A Plea for the Domestic Handcrafts of Yang, Gap-Jo-

한국디자인사 연구의 문화사적 접근을 향하여 -양갑조 할머니의 규방 공예품을 위한 변론-

  • 고영란 (한성대학교 미디어디자인컨텐츠학부)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The general tendency of approach to Korean Design History has been focusing its primary interest on the grand story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modernization in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aspects of Korea. In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 however, there are two sides immanent in the modernization: there is the formal, institutional and authoritative modernization developed inside the capitalistic mode of production and the informal, individual and cultural modernization manifested in the mode of everyday lives. Especially, despite the viewpoint of the latter being emboss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in various areas including the academic world of history since the collapse of socialism,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phenomena of modern design by the Korean design historians is more like the 'history from the above' that exists at the level of the discourse outside the reality rather than the 'history from the below' that exists within the ordinary life. To grant a sense of balance in such frame of historical understanding, it requires the restructuring the design history of Korea through the cultural perspectives from having the representation of mundane lives realized by the voluntary design activity of the common people as research subjects. One of the methods to acquire an answer to such problem is decoding, in the manner of 'cultural history', the life-long domestic artifact made by Madame Yang, Gap Jo (currently 87 years of age) who is a model of typical Korean mother. Through the historical rumination on the traces of unpretentious lives of the people that has been buried under the grand narrative of the Korean Design History, a new era aimed for the historical prospect of Korean design as cultural history will be possible by excavating the petit yet multi-layered meaning of Korean designs.

한국 디자인사의 일반적 접근 경향은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근대화 문제와 관련된 거대 담론에 주로 연구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근대화 논의에는, 그러나,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자장 안에서 전개되는 공적, 제도적, 권력적 근대화 외에 일상적인 삶의 양식으로 발현되는 사적, 개인적, 문화적 근대화라는 두 측면이 내재되어 있다. 특히, 현실사회주의의 실패 이후 후자의 관점이 역사학계를 비롯한 제 분야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디자인 역사 연구가들의 근대적 디자인 현상에 대한 역사 인식은 일상적 현실 안에 존재하는 ‘아래로부터의 역사’이기보다는 현실 밖에 담론의 차원으로 존재하는 ‘위로부터의 역사’인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은 엘리트 중심의 역사인식 틀에 균형감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보통 사람들의 자발적인 디자인 행위로 구현된 일상적 삶의 표상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음으로써 한국 디자인의 역사를 일상 문화적인 시각을 통해 아래로부터 재구성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 물음에 대한 한 가지 접근방법은 지순한 한국 어머니 상의 전형인 올해 87세의 양갑조 할머니가 일생동안 제작해 온 규방 공예품을 문화사적 시각으로 읽어내는 일이다. 한국 디자인사의 거시적 담론 속에 묻혀버린 민초들의 일사적인 삶의 구적들에 대한 역사적 반추 작업을 통해 작지만 다층적인 한국 디자인의 의미소들을 발굴해 냄으로써 문화사로서의 한국 디자인의 역사적 전망을 가늠해 보는 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