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Development Related to Costume Culture in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Modernization of Costume Design in Dongraeyaryu-

전통무형문화재의 복식문화컨텐츠 개발 -동래야류 의상 디자인의 현대화 작업

  • 김순구 (동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Today we seem to be flooded with digital culture as the age of information has reached its peak. As fusion culture has been generalized, in which the arts and culture of the East and the West are in harmony, and quality of life has been improved, people are enjoying more abundant cultural benefits than ever. In such a situation, we may lose the origin of our culture and disregard our traditional culture due to the mixture of cultur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at this point to distinguish pure culture from mixed one and to re-illuminate the value of our original culture for the next generation. Therefore, the author took interested in Dongraeyaryu, a large-scale festival in Busan,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carried out a research for its continuous instruction and activation. among contents such as music, costume, dancing and stage properties that compos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is study selected costume, which has significant visual effects and large differences in shape between old one and contemporary one, for development. By proposing modernized design of costume preferred by the new generation and in harmony with the masks, this study wished to narrow the generation gap, to direct young people's attention to the learning of tradition and to propose motives that activate the culture of local festival.

현대는 정보화시대의 절정에 도달한 상황으로 디지털문화로 인한 문화범람 속에 자리한 듯하다. 동서의 예술과 문화가 서로 접목되어 퓨전문화의 의미가 보편화되고 삶의 질이 향상되어 그 어느때보다도 풍부한 문화적 혜택을 누리고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칫 문화의 혼합으로 문화원류를 저버릴 우려와 함께 특히 우리 문화에 대한 가벼운 인식과 이의 혼합보존에 있어서 자리매김이 소중하며 더 나아가 다음 세대들이 이어나갈 우리문화의 가치에 대한 재조명이 중요시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부산지역의 거대한 축제역할을 하며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동래야류>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어 이의 전수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무형문화재를 구성하고 있는 음악, 의상, 춤사위, 소품 등의 컨텐츠 중 시각적인 효과가 크고 과거와 현재에 그 형태적 차이가 큰 의상부분을 택하여 개발부분으로 설정하였다. 탈의 해학성과 어울리면서 신세대들이 선호할 수 있는 의상으로 디자인의 현대화를 제안하므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며 한편 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작은 모티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