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공간디자인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가로의 보행공간구조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ifferentiation of Pedestrian space -Focused on a Comparison of the structure of Pedestrian space in the Street-

  • 김진우 (울산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 이재원 (울산대학교 디자인대학)
  • 발행 : 2004.01.01

초록

가로 안이 보행공간은 가로가 존재하는 지역특성에 따라서 보행자가 보행 시 시각적으로 느끼는 이미지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특성은 가로형태를 조성하는 가로의 물리적인 공간구조에 기인한다. 즉, 가로의 구조적인 차이에 의해서 보행자는 지역의 차이를 다른 이미지로 인지하게 된다. 어떠한 가로구조가 지역의 특징적인 이미지를 창출하는 가로구조인가, 이러한 구조에 부가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은 과연 어떤 요소들인가를 지역가로의 보행공간을 중심으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연구범위는 보행공간구조와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보행자들이 많이 모이는 번화한 지역의 가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의 가로 중에서 차선 수를 기준으로 4차선이상의 가로 중ㅇ서 보행공간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정된 10개의 보행공간의 이미지는 Df/H(보도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와 D/H(가로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의 비율의 차이로 2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2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보행공간의 이미지는 어떤 이미지라고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관이미지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형용사들을 사용하여 2그룹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었다. 그 중 하나의 이미지는 “번화함의 이미지”이며 다른 하나는 “쾌적함의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또 선정지역의 보행공간의 연도건물의 성격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2개의 그룹이 상업지역과 업무지역으로 나뉘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번화함의 이미지”는 상업지역에, “쾌적함의 이미지”는 업무지역의 보행공간의 이미지라고 인식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로 4차선이상의 가로구조를 가진 보행공간에서 보행자가 느끼는 가로이미지의 차이는 보도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의 차이, 가로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의 비율의 차이에서 따라 다른 이미지를 인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특성을 부여하는 가로를 디자인할 경우, 가로구조 특히 보행공간의 구조를 형성의 지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edestrian space on the roads shows virtually different images, depending on the local uniqueness that exists in the roadsides, to the one walking. This sort of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originated from the physical special structures of the roadside building the form of the place. Thus, because of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the roadside, Pedestrian sense the difference of regions through other images. Research focused on issues of the local roadside sidewalk spaces as what roadside structure is the type that brings out the unique images of the region, and what facets are pursued additionally here, is needed. A roadside of a prosperous region filled with many Pedestrians is selected as the range for the experiment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image of the pedestrian space. Among the roads of the selected region, the structure of the pedestrian space on the roads with more than four lanes was evaluated. As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ages of 10 pedestrian space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the difference in proportions of the Df/H(the width of the sidewalk and the height of the roadside building) and the D/H(the width of the road and the height of the roadside building). In order to observe the images of the pedestrian spac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adjectives used to describe the image of scenery were researched, enabling one to induce the images of the two groups form them. One of the images is the image of prosperities, and the other is the image of pleasantness. In addition, as result to the evaluation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roadside buildings in the selected area, it could be divided into two groups, i.e., the commercial region and the business region. The image of prosperities was sensed on the sidewalks of the commercial region, while the image of pleasantness was seen on that of the business region. This study enabled the acknowledgment that in a pedestrian space on a road structure with more than four lanes, the Pedestrian sense different images, depending on the proportional difference in the width of the sidewalk & the height of the roadside building, and the width of the road & the height of the roadside building.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a good reference when a road structure reflecting the uniqueness of its region is to be designed, and especially when the structure of a pedestrian space is to be crea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