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ygen and Hydrogen Isotope Studies of Fluid-Rock Interaction of the Radons-Sancheong Anorthositic Rocks

하동-산청 회장암질암의 유체-암석 상호반응에 대한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 연구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anorthositic rocks of the study area are divided into the northern Sancheong and southern Hadong anorthositic rocks depending on the different distribution patterns and lithologies. In ord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drothermal systems developed in the study area,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s of the anorthositic rocks were measured. Oxygen isotopic values of the plagioclase exhibit an interesting spatial distribution. Plagioclase collected from the Sancheong anorthositic rocks in the northern part tends to have a relatively restricted range of $\delta$$^{18/0}$ values between 7.3 and 8.8$\textperthousand$, which are heavier than 'normal' $\delta$$^{18/O}$ value (6-6.5$\textperthousand$) typical for plagioclase of the fresh mantle-derived anorthosite, whereas plagioclase from the southern part is characterized by a wide range of $\delta$$^{18/O}$ values between -4.4 and 8.2$\textperthousand$ and much lighter values than 'normal' value for plagioclase of the fresh mantle-derived anorthosite. Plagioclase from the middle part has $\delta$$^{18/O}$ values heavier than the plagioclase from the southern part, but lighter than that from the northern par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elta$$^{18/O}$ values suggests that the decoupled hydrothermal flow systems might have been developed in the study area. Meteoric water dominated in the hydrothermal flow systems developed in the southern area, whereas magmatic fluid dominated in the northern area.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content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 of anorthosites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The positive correlation indicates that fluids exsolved from magma during magmatic differentiation caused deuteric alteration of anorthositic rocks involving replacement of pyroxenes to amphiboles. After the deuteric alteration, hydrothermal system developed by meteoric water dominated the southern area, and erased record of the hydrothermal system developed by magmatic fluid at earlier stage. However, the development of meteoric hydrothermal system has been limited in the southern area only, and could not affect the Sancheong anorthositic rocks in the northern area. The abundant occurrences of secondary alteration minerals such as sericite, calcite, and chlorite in the southern Hadong anorthosite relative to the northern Sancheong anorthositc seem to be related to the overlapping of two distinct hydrothermal systems in the southern area.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회장암체는 분포상태와 임상에 의해 북쪽의 산청회장암체와 남쪽의 하동회장암체로 구분된다. 이들 회장암체 내에 발달했던 열수시스템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산소와 수소 안정 동위원소 조성을 측정해 보았다 연구 지역에 있는 회장암체의 $\delta$$^{18}$ $O_{plagioclase}$ 값은 공간적인 분포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특징을 보여준다. 즉 북쪽에 분포하는 산천회장암체 사장석의 $\delta$$^{18}$ O 값은 맨틀기원의 신선한 회장암의 전형적인 값(6-6.5$\textperthousand$)보다 더 무거운 값인 7.3-8.8$\textperthousand$ 사이의 값으로서, 비교적 좁은 범위의 값을 갖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와는 달리 남쪽에 분포하는 하동회장암체 사장석은 -4.4-8.2$\textperthousand$ 사이의 넓은 범위의 $\delta$$^{18}$ O 값을 가지며, 맨틀기원의 신선한 회장암의 전형적인 값보다 낮은 $\delta$$^{18}$ O 값을 가진다. 연구 지역의 중간 지역에 분포하는 회장암을 구성하는 사장석은 북쪽 지역의 사장석과 남쪽 지역의 사장석이 갖는 $\delta$$^{18}$ O 값의 중간 값을 갖는다. $\delta$$^{18}$ O 값의 이러한 공간적인 분포는 지역에 따i가 서로 다른 열수시스템이 발달되었음을 지시한다. 즉, 연구 지역의 남쪽 지역에서는 천수에 의해 발달된 열수시스템이 우세하게 발달한 반면에, 북쪽 지역에서는 마그마 기원의 유체에 의해 발달된 열수시스템이 우세하였다. 회장암의 수소 안정 동위원소 조성과 이들 전암 내에 들어있는 물의 함량과의 관계는 정의 관계를 보여주며, 이러한 결과는 회장암질암을 형성한 마그마의 분화작용이 일어나는 동안에 용리작용(exolution)에 의해서 마그마로부터 분리된 유체가 자생변질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초생 보통휘석을 각섬석으로 변화시켰음을 지시해준다. 이러한 자생변질작용이 일어난 이후에, 천수기원의 유체에 의해 형성된 열수시스템이 연구 지역의 남쪽에 발달함으로써 마그마에서 유래한 유체에 의한 열수시스템의 흔적이 지워져버렸다. 그러나 북쪽에 있는 산청회장암체는 이 열수시스템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마그마 기원의 유체에 의해 형성되었던 열수시스템의 흔적을 잘 기록하고 있다. 연구 지역의 북쪽에 분포하는 산청암체 보다 남쪽에 분포하는 하동암체에서 견운모, 방해석, 녹니석과 같은 이차 변질광물들이 더 많이 관찰되는 것은 이 지역에서 중첩되어 발달되었던 열수시스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연, 1999, 지리산 동부 지역에 분포하는 챠노카이트의 암석학,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9 p
  2. 김옥준, 홍만섭,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윤선, 1964, 한국지질도(1:50,000) 산청도폭, 경상남도
  3. 김원사, 1992, 하동-산청 지역 회장암체에 배태된 희유금속자원에 관한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5, 14-21
  4. 박계헌, 김동연, 송용선, 2001, 지리산 지역 차노카이트와 함티탄철석 회장암질암의 Sm-Nd 광물연대 및 성인적 관계. 암석학회지, 10, 27-35
  5. 송용선, 1981, 하동-산청 지역에 분포하는 변성암류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이학석사 학위논문, 44 p
  6. 송용선, 1999, 소백산육괴 서남부 지리산 지역의 반상변정질 편마암에서 산출되는 백립암질 포획암. 암석학회지, 8, 34-45
  7. 송용선, 류호정, 1993, 지리산 일대 소백산 편마암체의 다변성작용. 한국암석학외 제2차 학술발표회 요약집
  8. 이상만, 1980, 지리산(하동-산청) 지역의 변상이질암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6, 1-15
  9. 이상만, 김형식, 1984, 소위 율리층군 및 원남층군의 변성암석학적 연구-태백산 일대를 중심으로. 지질학회지, 20, 195-214
  10. 이상만, 나기창, 이상헌, 박배영, 이상원, 1981, 소백산육괴(동남부)의 변성암복합체에 대한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7, 169-188
  11. 이종만, 정지곤, 김원사, 1999, 하동 지역 회장암질암의 진화 및 티타늄광체와 성인적 관련성에 대한 예비연구. 지질학회지, 35, 321-336
  12. 정지곤, 1987, 하동-산청 지역의 회장암질암의 본화. 지질학회지, 23, 216-228
  13. 정지곤, 이상만, 1986, 하동-산청 지역 회장암질암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이상만 교수 송수기념 논문집, 87-106
  14. 정지곤, 김원사, David H. Watkinson, 1989, 하동 지역에 분포한 회장암질암의 구조와 티타늄광체의 산출상태. 지질학회지, 25, 98-111
  15. 정지곤, 김원사, 서병민, 1991, 경상분지 서부 인접 지역에 위치한 염기성 및 초염기성암의 성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지 제 46차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약, 지질학회지, 27, 530-531
  16. Ashwal, L.D., 1993, Anorthosites. Springer-Verlag, Berlin, 422 pp
  17. Bottinga, Y. and Javoy, M., 1975, Oxygen isotope partitioning among the minerals in igneous and metamorphic rocks. Rev. Geophys. Space Phys., 13, 402-418
  18. Clayton, R. N. and Mayeda, T. K., 1963, The use of bromine pentafluoride in the extraction of oxygen from oxides and silicates for isotopic analysis. Geochim. Cosmochim, Acta, 72, 43-52
  19. Criss, R.E., 1999, Principles of stable isotope distrib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54 p
  20. Emslie, R.F., 1980, Geology and petrology of the Harp Lake Complex, central Labrador: an example of Elsonian magmatism. Geological Survey of Canada Bulletins, 293, 136 p
  21. Jeong, J. G., 1982, Petrologic studies on anorthositic rocks in Hadong-Sancheong district, Korea. J. Geol. Soc. Korea, 18, 83-108
  22. Kwon, S.-T. and Jeong, J.G., 1990, Preliminary Sr-Nd isotope study of the Hadong-Sancheong anorthositic rocks in Korea: Implication for their origin and for the Precambrian tectonics. J. Geol. Soc. Korea, 26, 341-349
  23. Nabelek P.l., O'Neil J.R. and Papike J.J., 1983, Vapor phase exsolution as a controlling factor in hydrogen isotope variation in granitic rocks: the Notch Peak granitic stock, Utah. Earth Planet Sci. Lett., 66, 137-150
  24. Peck W.H. and Valley J.W., 2000, Large crustal input to high $\delta^{18}O$ anorthosite massifs of the southern Grenville Province: new evidence from the Morin Complex, Quebec. Contrib. Mineral. Petrol., 139, 402-417
  25. Ranson, W.A., 1981, Anorthosites of diverse magma types in the Puttuaaluk Lake area, Nain complex, Labrador.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18, 26-41
  26. Rousell, D.H., 1978 Geology of the anorthositic sill at St. Charles, Ontario. In: Current Research, Part A. Geological Survey of Canada Paper 78-1A, Ottawa, 163-168
  27. Taylor, B.E., Eichelberger, J.C. and Westrich, H. R., 1983, Hydrogen isotopic evidence of rhyolitic magma degassing during shallow intrusion and eruption. Nature, 306, 541-545
  28. Vennemann, T. W. and O'Neil, J. R., 1993, A simple and inexpensive method of hydrogen isotope and water analyses of minerals and rocks based on zinc regent. Chem. Geol. (Isotope Geosci. Sec.), 103, 227-234
  29. Wiebe, R.A., 1978, Anorthosite and related plutons, southern Nain complex, Labrador.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 15, 1326-1340
  30. Wiebe, R.A., 1979, Anorthosite dikes, southern Nain complex, Labrador. American Journal of Sciences, 279, 394-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