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chemical Comparison Study on the Amphibolite in the Central Gyeonggi massif and Southea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중부 경기육괴와 동남부 옥천변성대의 각섬암에 대한 지화학적 비교 연구

  • 나기창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정원석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Precambrian amphibolites in the central Gyeonggi massif, Yangsuri, Gyeonggido and southeastern Okcheon metamophic belt, Mungyeonggun, Gyeongsangbukdo, Korea, were studied on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and trace elements, and discussed petrogenetically and geotecton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elements of the amphibolites in these study areas are igeous origin such as tholeiitic-, subalkaline and alkaline basalt. Geotectonic distinction diagrams of trace elements such as Ti-Zr-Y and Zr-Nb-Y show basaltic igneous activity of island arc and mid ocean ridge environment at central Gyunggi massif, and within plate environment at southea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This result shows that genetic environments of study areas are different. Especially, origin of amphibolites in central Gyeonggi massif is similar with that of western Gyeonggi massif but different with the amphibolites of Chuncheon area. Genetic environment estimated of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plagioclase has no particular effect on the origin of magma because value of LREE is higher than that of HREE and Eu anomaly definitely don't be exposed.

경기육괴 중부지역에 속하는 경기도 양수리 일대의 변성복합체 내에 분포하는 선캄브리아 각섬암과 옥천대의 동남변에 위치하는 경북 문경군 상내리 일대에 분포하는 각섬암에 대하여 주성분 원소, 미량 원소 분석을 통하여 이들 지역의 각섬암류의 성인을 규명하고 화성활동에 대한 지구조적 환경을 해석 및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지역에 분포하는 각섬암은 화성기원으로 사료된다. 원암의 분류에서는 두 지역 모두 소레아이트, 아알칼리, 알칼리질 현무암을 나타내었으며 주로 소레아이트 영역에 해당되었다. Ti-Zr-Y 및 Zr-Nb-Y 자료를 도시하면 일반적으로 경기육괴의 각섬암은 중앙해령내지 화산호 현무암과 같은 해양성 현무암이고, 동남부 옥천대의 각섬암은 판내부 현무암으로 분류되어 두 지역의 생성환경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옥천대의 경우 같은 지역의 기존의 연구 결과와 잘 일치하며, 양수리 각섬암의 경우는 경기육괴 서부 지역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여 경기 육괴 서부에 분포하는 각섬암과 비슷한 기원 마그마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사료된다. 희토류원소의 분석치는 두 지역 모두 LREE가 HREE 보다 높으며 음의 Eu 이상치가 확연하게 나타나지 않아 사장석의 분별정출이 마그마의 기원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성택, 이동호, 1992, 보은 지역의 옥천 변성염기성암에 대한 암석 $\cdot$ 지구화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1, 104-123
  2. 권성택, 전은영, 이진한, 1997, 경기육괴 변성암의 흑운모 Rb-Sr 연대: 지구조적 의미. 지질학회지, 33, 49-53
  3. 권성택, 조문섭, 전은영, 이승렬, 이진한, 1995, 춘천 각섬암의 지구화학과 기원: (1) 주성분원소, 암석학회지, 4, 20-30
  4. 김남장, 최승오, 강필중, 1967, 한국지질도(1:50,000) 문경도폭 및 설명서. 국립 지질 조사소, 37p
  5. 박종길, 김성원, 오창환, 김형식, 2003, 옥천변성대 북서부 계명산층 내 변성화성암류의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적 연구와 그 지구조적 의의. 암석학회지, 12, 155-169
  6. 신국선, 1987, 충북 보은군 관기-화성간에 분포하는 변성염기성 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p
  7. 오창환, 김성원, 김종섭, 1993, 문경지역에 분포하는 변성염기성암과 변성 퇴적암에 대한 백악기 화강암의 열변성작용. 암석학회지, 2, 74-94
  8. 오창환, 이영엽, 2000, 문경 및 보은지역의 저압형 열변성 작용시 변성염기성암내 각섬석 성분의 변화. 지질학회지, 36, 383-410
  9. 오창환, 최선규, 송석환, 2002, 백동지역의 변성염기성암과 주변 편마암의 변성진화과정과 그 지구조적 의미. 암석학회지, 3-4, 103-120
  10. 이대성, 박종심, 1981, 보은화강섬록암 서남부 접촉대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24, 287-299
  11. 이문원, 1974, 춘천부근에 분포하는 각섬암의 성인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0, 149-168
  12. 이민성, 김상욱, 1968, 한국지질도(1:50,000) 함창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34p
  13. 이상만, 김봉균, 소칠섭, 신명식, 1974, 한국지질도(1:50,000) 용두리도폭 및 설명서. 국립 지질 광물 연구소, 16p
  14. 조문섭, 김종욱, 1993, 춘천-홍천 지역 용두리 편마암 복합체내에 산출하는 남정석 : 변성지구조적 의의. 암석학회지, 2, 1-8
  15. 홍만섭, 신명우, 박봉순, 이유대, 1974, 한국지질도(1:50,000) 양덕원도폭 및 설명서. 국립 지질 광물 연구소, 20p
  16. Ahn, K.S., Shin, I.H. and Kim, H.N., 1997, Petrology and amphibolites (meta-dolerite sill) in the Mungyong area, Korea. Jour. Korean Earth Sci. Soc., 18, 500-514
  17. Basaltic Volcanic Study Project, 1981, Basaltic volcanism on the terrestrial planets. Pergamon, 1286p
  18. Floyd, P.A. and Winchester, J.A., 1975, Magma type and tectonic setting discrimination using immobile element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7, 211-218
  19. Floyd, P.A. and Winchester, J.A., 1978, Identif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altered and metamorphosed volcanic rocks using immobile Elements. Chem. Geol., 21, 291-306
  20. Haskin, L.A., Schmitt, R.A. and Smith, R.H., 1968, Meteoritic, solar and terrestrial rare earth distribution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7, 167-321
  21. Irvine T.N. and Barager W.R.A.,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 Earth Sci., 8, 523-548
  22. Jahn B.M., Wu, F., Lo, C.H. and Tsai, C.H., 1999, Crustmantle interaction induced by deep subduc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geochemical and Sr-Nd isotopic evidence from post-collisional mafic-ultramafic intrusions of the northern Dabie complex, central China. Chemical Geology, 157, 119-146
  23. Kim, H.S., 1971, Metamorphic facies and regional metamorphism of Okcheon metamorphic belt. Jour. Geol. Soc. Korea, 7, 221-256
  24. Leake, B.E., 1964, The chemical composition between orth-and para- amphibolite. Jour. Petrol., 5, 238-254
  25. Leake, B.E., 1978, Nomenclature of amphiboles. Am. Mineral., 63, 1023-1052
  26. Lee, H.Y., Lee, M.S. and Um, S.H., 1980, Geochemistry of amphibolites in the Hwanggangri Area, Korea. Jour. Geol. Soc. Korea, 16, 93-104
  27. Ludden, J., Gelinas, L. and Trudel, P., 1982, Archean metavolcanics from the Touyn-Noranda district, Abitibi greenstone belt, Quebec: 2. Mobility of trace elements and petrogenetic constraints. Canadian Jour. Earth. Sci., 19, 2276-2287
  28. Meschede M., 1986, A method of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mid-ocean ridge basalts and continental tholeiites with the Nb-Zr-Y diagram. Chem. Geol., 56, 207-218
  29. Na, K.C., 1978, Regional metamorphism in the Gyeonggi Massif with comparative studies on the Yeoncheon and Okcheon metamorphic belts (I). Jour. Geol. Soc. Korea, 14, 195-211
  30. Na, K.C., 1979a, Regional metamorphism in Gyeonggi Massif with comparative studies between Yeoncheon and Okcheon metamorphic belts (II). Jour. Geol. Soc. Korea, 15, 67-88
  31. Na, K.C., 1979b, Regional metamorphism in the Gyeonggi Massif with comparative studies on the Yeoncheon and Okcheon metamorphic belts (III). Jour. Geol. Soc. Korea, 15, 127-133
  32. Pearce, J.A., 1975, Basalt geochemistry used to investigate past tectonic environments on Cyprus. Tectonophysics, 25, 41-67
  33. Pearce, J.A. and Cann, J. R., 1973, Tectonic setting of basic volcanic rocks determined using trace element analyses. Earth and Planetary Sci., 19, 290-300
  34. Pearce T.H., Gorman, B.E. and Birkett, T.C., 1977,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element chemistry and tectonic environment of basic and intermediate volcanic rocks. Earth and Planetary Sci. Letters, 36, 121-132
  35. Pearce, J.A. and Norry M.J., 1979, Petrogenetic implications of Ti, Zr, Y and Nb variations in volcanic rocks. Contrib. Mineral. Petrol., 69, 33-47
  36. Robinson, P., Spear, F.S., Schumacher, J.C. Laird, J., Klein, C., Evans, B.W. and Doolan, B.L., 1981, Phase relations of metamorphic amphiboles: Natural occurrence and theory.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Reviews in Mineralogy, 9B, 1-228
  37. So, C.S. and Kim, S.M., 1975, Geochemistry, origin and metamorphism of mafic metamorphic rocks in the Okcheon Geosynclinal Zone, Korea. Jour. Geol. Soc.Korea, 11, 115-138
  38. Winchester J.A. and Floyd, P.A., 1977, Geochemical discrimination of different magma series and their differentiation products using immobile elements. Chem. Geol., 20, 325-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