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Facilities and Behavior of the Sanitary zones in Collective and Detached Houses in Jeju City

제주시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에서 생리ㆍ위생공간의 설비ㆍ기구 실태 및 행태에 관한 연구

  • 김봉애 (제주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이정림 (제주관광대학 실내건축과)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In residential spaces, sanitary zones are where the most basic needs of human beings are met and are used by all members of the family. A high level of privacy is therefore required in their use. This research studies the current state of sanitary zones in collective houses and in detached house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first, and then analyses th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requirement levels of dwellers of each house in comparison so as to provide data to formulate a new design for sanitary zones that is suitable for each dwelling ho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were mostly in their 30s and 40s (99.1% in total), and lived in a nuclear family system (87.7%). (2) The number of sanitary zones was found to be more than 2 in 62% of collective houses and in 60.7% of detached houses, which leads us to conclude that non-dwelling spaces are increasing in both types of houses. (3) Of the housing facilities,13% of collective houses and 9% of detached houses were equipped with a bidet. Both percentages are very low but it needs to be noted that the percentage is relatively high in collective houses. In safety facilities, the ratio of houses furnished with safety handlers for the aged was very low in both types of houses. (4) The residents of collective houses showed high levels of dissatisfaction with regard to the problems of storage space and steam production, while residents of detached houses expressed high levels of dissatisfaction with regard to the heating system, colors of finishing materials, size, dampness, steam production, and storage space.

Keywords

References

  1. 김대년(1999). 소설에 나타난 한국주택의 생리위생 공간과 관련용어의 변화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0)
  2. 김남효(2001). 주택 욕실의 리모델링 선호요인 및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9
  3. 남경태 역(1997). Julie L. Horan 저(1996). 1.5평의 문명사. 서울: 푸른 숲
  4. 김일섭(1998). 아파트 주호에 있어 위생공간에 관한 연구. 동의대 산업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서동연 (1990). 주택의 욕실계획에 관한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6. 송윤경, 박영순(2002). 아파트 모델하우스 욕실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2
  7. 송은화(1990). 소형 아파트를 위한 욕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8. 신경주, 정경숙(1989). 한국인의 입욕법 측면에서 본 아파트 욕실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7. 한양대 한국생활과학연구소
  9. 윤정숙, 전영미, 김수경(1997). 욕실공간 계획을 위한 감성공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35(3)
  10. 윤현영(2001). 거주자 요구를 반영한 아파트 욕실공간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명대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광노, 송종석, 이연덕, 유희준, 윤도근(1998). 건축계획. 서울: 문운당
  12. 이민정(2001). 욕실변화에 따른 아파트 공간계획변화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13. 이영심(1996). 거주자가 요구하는 아파트의 욕실.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14. 이영심, 신경주(1995). 서울 지역 아파트 욕실 평면의 변천. 한국주거학회지, 6(2)
  15. 이현주(1984). 한국 아파트 거주자들의 욕실 공간에 대한 의식조사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6. 전완길 외(1995). 한국생활문화 100년. 서울: 도서출판 장원
  17. 정경숙(1988). 아파트 욕실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8. 정현원, 이현수(2003). 디지털 이미지 색채분석을 이용한 욕실공간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8
  19. 제주시(2003). 달라진세태 새풍속도 목욕문화. 열린제주시정, 143
  20. 제주시(2003). 통계연보, 43
  21. 조명은(1994). 아파트 거주자의 위생생활행위 실태 분석.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2. 최순재(1998). 욕실가구에 관한 연구. 계명대 석사학위논문
  23. 최형선(1987). 생활문화 측면의 한국 주택내 생리위생공간의 변천과 전망.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4. A. H. Maslow (1970). Motivation and Personality. 2nd ed. N.Y.:Har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