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rip Generation Model Using the Bayesian Networks

베이지안 망을 이용한 통행발생 모형의 설계 및 구축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Bayesian Networks for the case of the trip generation models us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house trip survey Data. The household income was used for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explanation of household size and the number of cars in a househol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rip generation and the households' soci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by the Bayesian Networks. Furthermore, trip generation'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household income, household size and the number of cars in a household were also used for explanatory variables and the trip generation model was developed. It was found that the Bayesian Networks were useful tool to overcome the problems which were in the traditional trip generation models. In particular the various transport policies could be evaluated in the very short time by the established relationships. It is expected that the Bayesian Networks will be utilized as the important tools for the analysis of trip patterns.

베이지안 망(Bayesian Networks)은 인공 신경망, 유전자 알고리즘, 전문가시스템 퍼지이론 등과 더불어 데이터마이닝의 중요한 기법 중의 하나로서, 베이지안 통계 이론(Bayesian Statistics Theory)을 적용하여 변수들간의 확률적인 관계를 기호화함으로써, 설명변수들과 종속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 연구는 2002년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의 가구, 개인 및 통행 특성(가구수입, 승용차 보유대수, 주택규모, 통행목적 등)을 반영하여, 베이지안 망을 이용한 통행발생 모형을 처음으로 설계 구축하여, 각 변수들간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설명변수인 가구수입의 구성비가 변하였을 때 승용차 보유대수와 주택규모 구성비의 변화율(확률)을 예측한다. 그리고 승용차 보유대수와 주택규모의 구성비가 변하였을 때 통행목적 구성비의 확률을 예측한다. 또한 동행목적의 발생량이 변화였을 때, 가구 특성 구성비의 변화에 따른 발생량을 예측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실에는 존재하지만 설명변수들간의 복잡한 상관성을 배제하고 설명변수와 통행목적간의 단순한 직선관계를 가정하는 기존 통행발생 모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선택되지 않은 통행목적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통행발생 모형 구축의 어려움을 극복한다. 또한 통행목적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의실험(Simulation) 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여 다양한 교통정책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1998), ‘경기도 교통종합기본 계획’, 경기도
  2. 서울시(1997), ‘서울시 교통센서스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서울시
  3. 서울시(2003), ‘2002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서울시
  4. 교통개발연구원(2000), ‘가구통행실태조사 및 기초분석 -5개 광역시-’, 교통개발연구원
  5. 교통개발연구원(2001), ‘가구통행실태 상세분석 -5개 광역시-’, 교통개발연구원
  6. 교통개발연구원(2002), ‘개인통행실태조사 -5개 광역권-’, 교통개발연구원
  7. 교통개발연구원(2004), ‘수도권 및 지방 5개 광역권 가구통행실태조자료결과의 상세분석’, 교통개발연구원
  8. 김익기(1997), ‘교통수요분석에서 통행목적별 O-D 접근방법과 P-A 접근방법의 이론적 비교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5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45-62
  9. 김진자. 이종호(2004), ‘수도권지역의 통행발생모형의 검증’,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49-58
  10. 김현기. 김강수. 이상민(2004), ‘데이터마이닝의 베이지안 망 기법을 이용한 통행수단선택 모형의 설계 및 구축’,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77-86
  11. 김현기외 다수(1999), 통계학 개론, 백산 출판사
  12. 장수은. 김대현. 임강원(2000),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통행발생모형 연구(선형/비선형 회귀모형과의 비교)’,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95-105
  13. Chang-Jen, L. & Patricia, S. H.(2000), 'A Mixed Generalized Linear Model for Estimating Household Trip Production', TRB
  14. Chatterjee, A., Khasnabis, & Slade, L. J.(1977), 'Household Stratification Models for Engineering, ASCE, Vol.103, pp.199-213
  15. Daniel, A. B. & Chin-Cheng, C.(2004), 'Unit of Analysis in Conventional Trip Generation Modelling: An Investigation',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31, pp.272-280 https://doi.org/10.1139/l03-098
  16. Finn, V. J.(1996), 'An Introduction to Bayesian Networks', Springer
  17. Finn, V. J.(2001), 'Bayesian Networks and Decision Graphs', Springer
  18. Goodman, L. A., & Kruskal, W. H.(1979), 'Measures of Association for Cross Classifications', Springer-Verlag
  19. James, S. P.(1989), 'Bayesian Statistics', Wiley Interscience
  20. Jose, M. B. & ADRIAN, F. M. S(1994), 'Bayesian Theory', Wiley
  21. Michael, D.A., & Justin, P.O.(2002), 'Evaluation of Two Trip Generation Techniques for Small Area Travel Models',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Vol.128, pp.77-88 https://doi.org/10.1061/(ASCE)0733-9488(2002)128:2(77)
  22. Morris, H. and Peg, Y.(1994), 'Statistical Analysis for Decision Making', Dryden
  23. Pearl, J.(2000), 'Causality Models. Reasoning and Inference', Cambridge
  24. Pham, D. T. & Karaboga, D.(2000), 'Intelligent Optimisation Techniques', Springer
  25. Rengaraju, V. R. & Satyakumar, M.(1994), 'Structuring Category Analysis Using Statistical Technique',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ASCE, Vol.120, pp.930-939
  26. Rich, E.N.(1997), 'Learning Bayesian Networks', Pearson Prentice Hall
  27. Simon, P. W., Matthew, G. K. & Fred, L. M.(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30. Hall/CRC
  28. Stopher, P. R. & McDonald, K. G.(1983), 'Trip Generation by Cross-Classification: Alternative Methodolog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944, pp.8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