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혼합분포를 이용한 면적감소계수의 산정

Estim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 Using a Mixed Distribution

  • 유철상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경준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발행 : 2004.09.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혼합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면적감소계수의 추정법을 제안한다. 기존 면적감소계수의 추정에는 동시간 강우자료가 필요하나 그런 자료를 충분히 구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보다 가용한 일 강우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강우의 간헐성을 고려하기 위해 연속분포가 아닌 혼합분포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감마분포를 이용하여 금강유역의 면적감소계수를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 보다 쉽게 아울러 기존의 방법에 의 한 결과와 잘 대비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ology to derive the areal reduction factor (ARF) using mixe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Estimation of ARFs requires using the simultaneous rainfall data over the basin, which is rarely available in general. The new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uses more available daily rainfall data during a given period, so the mixe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should be introduced to explain both the rainfall intermittency and variability. This study applied the mixed gamma distribution for the derivation of ARFs for the Keum river basin, and found that the new method is easier for application as well as it provides very comparable result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1). 한국확률강우량도 작성·한국가능최대 강수량 추정, pp. 117-146
  2. 김원, 윤강훈(1992). 면적우량환산계수의 산정과 그 지역적 변화, 한국수문학회지, 제25권, 제3호, pp. 79-86
  3. 유철상, 정광식(2001).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 및 추정오차, 2001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I), pp. 471-476
  4. 유철상, 정광식, 강인주(2002) 지구온난화에 따른 일 강수 분포의 변화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2권 제3-B호, pp. 291-299
  5. 유철상, 정광식(2002). 엔트로피 이론을 이용한 강우관측망 평가; 혼합분포와 연속분포의 적용 비교, 대한토목 학회논문집, 제22권 제4-B호, pp. 447-457
  6. 이원환, 이길춘(1987) 한강유역 동시강우량 자료를 이용한 강우량-거리비의 산정, 한국수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55-61
  7. 이길춘(1987). 지점우량의 지역빈도해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8. 정종호, 나창진, 윤용남(2001). 한강유역의 면적감소계수 산정, 2001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pp. 371-376 https://doi.org/10.3741/JKWRA.2002.35.2.173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1). 면적우량과 강우의 공간변화 해석-면적우량 환산계수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건기연 91-WR-113
  10. 허경회, 허준행(2001) .우량비를 이용한 한강유역의 면적우량환산계수의 산정, 대한토목학회 2001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4
  11. De Michele, C, Kottegoda, N. T., and Rosso, R. (2001). The deriv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 of storm rainfall from its scaling properti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7(12), pp. 3247-3252 https://doi.org/10.1029/2001WR000346
  12. Kedem, B., Chieu, L. S., and Kami, Z. (1990). An analysis of the threshold method for measuring area-average rainfall,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29, pp. 3-20 https://doi.org/10.1175/1520-0450(1990)029<0003:AAOTTM>2.0.CO;2
  13. Omolayo, A. S. (1993). On the transposi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s for rainfall frequency estim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145, pp. 191-205 https://doi.org/10.1016/0022-1694(93)90227-Z
  14. Rao, R. A. and Hamed, K. H. (2000). Flood Frequency Analysis, CRC Press, New York
  15. Roche, M. (1966). Hydrologie de Surface, Gauthier-Villars, Paris (Rodriguez-Iturbe and Mejia (1974)의 논문에서 재인용)
  16. Rodriguez-Iturbe, I. and Mejia, J. M. (1974). The Design of Rainfall Networks in Time and Space Wate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0(4), pp. 713-728 https://doi.org/10.1029/WR010i004p00713
  17. Rodriguez-Iturbe, I. and Mejia, J. M. (1974). On the Transformation of Point Rainfall to Areal Rainfal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0(4), pp. 729-735 https://doi.org/10.1029/WR010i004p00729
  18. Shimizu, K (1993). A bivariate mixed lognormal distribution with an analysis of rainfall dat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2, pp. 161-171 https://doi.org/10.1175/1520-0450(1993)032<0161:ABMLDW>2.0.CO;2
  19. Sivapalan, M., and Bloschl, G. (1998). Transformation of point rainfall to areal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Journal of Hydrology, Vol. 204(1-4), pp. 150-167 https://doi.org/10.1016/S0022-1694(97)00117-0
  20. Wilks, D. S. (1998). Multisite generalization of a daily stochastic precipitation generation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210, pp. 178-191 https://doi.org/10.1016/S0022-1694(98)00186-3

피인용 문헌

  1. Comparative Study of the Storm Centered Areal Reduction Factors by Storm Types vol.35, pp.6, 2015, https://doi.org/10.12652/Ksce.2015.35.6.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