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PMF and Critical Duration for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

수공구조물 설계를 위한 PMF 및 임계지속시간 분석

  • 이상진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최형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생산기술연구소) ;
  • 신희범 (삼안건설기술공사 수자원사업부) ;
  • 박상길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able Maximum Flood(PMF) as a part of counterplan for the disaster prevention of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dams, according to recent unfavorable weather conditions. During the period of typhoon RUSA in August 2002, the rainfall recorded in Gang-loeng Province was 880mm a day and exceeded the scale of PMP made in 2001. Accordingly, the reconsideration of hydrologic criteria for dam design was inevitable. In the design of dams for flood controls, the design flood must be determine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maximum values. When the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s determined, it needs to use the critical duration which causes the maximum flood by the maximum runoff.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critical duration with hydrologic parameters used in three different synthetic unit hydrographs(Clark, Nakayasu and SCS methods). As a result, the total runoff calculated from 24-hour duration is larger than that calculated from the critical duration. We calculate also the hydrographs with three different time distribution models(Huff's 4-quartile, IDF curve and Mononobe) and compare those with measured hydrograph data. From this comparison, we propose that the Huff's 4-quartile model must be used to obtain the desirable data in the hydrologic design of dams.

최근 빈번한 기상이변에 따라 발생되는 자연재해에 대한 방재대책의 중요함이 절실히 요청되는 시점에서 수공구조물들의 설계빈도를 상향조정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여 유역의 수문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강우의 임계지속시간 결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2002년 여름 강릉지역에 발생한 태풍 "루사"로 인한 집중호우는 기존 PMP 규모를 초과하는 사상 초유의 24시간 최대 강수량(880mm)을 기록하여 댐설계기준에 대한 재고가 불가피 하게 되었다. 홍수제어를 위한 수공구조물은 그 특성상 계획홍수량 결정에 최대치 개념이 도입되어야 하므로, 설계강우의 지속기간을 결정할 경우 강우로 인한 최대유출과 홍수총량이 최대가 되는 임계지속시간을 이용하여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단위도(Clark방법, Nakayasu방법, SCS방법)등 각 수문요소에 따른 임계지속시간의 변동양상을 파악한 결과 24시간 강우지속시간시 총유출량 보다 임계지속시간개념으로 산정한 유출량이 크게 산출되었으며, PMP시 적용된 시간분포모형 (Huff 4분위법, IDF곡선 분포법, Mononobe방법)별 적합성을 기왕최대 실측치와 비교ㆍ평가함으로써 수문설계시 활용 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 수자원·관리기법 개발 연구조사 보고서, 제1권
  2. 건설교통부(2000). 한국 가능최대강수량 추정, 수자원관리기법 개발 연구조사 보고서, 제2권
  3. 한국수자원학회(2002), 2002년 홍수피해 종합조사 보고서
  4. 전시영(1992). 국내 기존 합성단위유량도의 비교분석.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건설부, pp. 5-1-5-84
  5. 이재준, 이정식(1999). '우리나라 도시배수시스템 설계 를 위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4호, pp.403-415
  6.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1999). '경북동부지구 수원시설 실시설계보고서,' PP.48-158
  7. 이동진(1999), 미계측 유역에서 자연방류형 저류지를 고려한 설계강우의 임계지속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Chen. C.N., Wong, T.S.W.(1994). 'Critical Rainfall Duration for Maximum Discharge from Overland Plane: Closure'.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120(12). pp.l484-1486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4)120:12(1484)
  9. Meynink, W.C.(1976). 'Critical Duration of Rainfall for Flood Estim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2, No.6. pp.l209-1214 https://doi.org/10.1029/WR012i006p01209
  10. U.S. Soil Conservation Service(1986).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echnical Release 55. pp.3-l-3-5
  11. Huff, F.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rom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 No.4, pp.1007-1019 https://doi.org/10.1029/WR003i004p01007

Cited by

  1. Estimating design floods based on the critical storm duration for small watersheds vol.7, pp.3, 2013, https://doi.org/10.1016/j.jher.2013.01.003
  2. Design of drainage culverts considering critical storm duration vol.104, pp.3, 2009, https://doi.org/10.1016/j.biosystemseng.2009.07.004
  3. Comparative Study on Calculation Method for Design Flood Discharge of Dam vol.44, pp.12, 2011, https://doi.org/10.3741/JKWRA.2011.44.12.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