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itation of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arket and Participation of Geographers in GIS Industry

GIS 시장개척과 지리학의 가능성

  • 성효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생활학과 지리학)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GIS is considered as a big industry or business in the field of applied sciences. Recently GIS market in Korea is growing rapidly for LBS, Telematics, Web-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This paper attempts to focu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GIS and geography, and the question of how geography emerged out of intellectual trends within GIS to examine possible contribution of geographers in GIS fields. The application of GIS appears to be largely technical in nature. It is important for the GIS operator and the consumer of GIS products to be aware of the geographical concepts that underpin GIS operations. Also it is seen that many departments of geography in Korea have attempted to actively adopt GIS into their education program, with aim to improve the status. GIS has promoted a shift towards applied geography from academic geography. GIS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geography are concerned not with technology, but with the basic concepts and the issues relating to its use, in comparison with other academic fields. It is the responsibility of geography community to make sure that our students receive a geographical education that includes problem-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technical capabilities. It is concluded that promoting GIS technology in geography curriculum is essential for the further expansion of geography within GIS and also for the survival of geography.

오늘날 정보화 시대에 GIS 시장은 LBS. 텔레매틱스 등 지리정보 기반의 다양한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GIS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지리학과 GIS의 특성을 살피고 GIS산업과 시장에서 지리학자들이 기대한 대로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졌는지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지리학과의 관계에서 GIS 기술은 지리학의 공간적 기본 개념을 토대로 현실세계의 문제를 더욱 합리적으로 해결하는데 기여하였다. 반면에 지리학에서의 GIS 활용의 의미는 GIS가 지리학을 이론적 학문에서 현실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 학문으로 전환을 시켜왔다고 할 수 있다. GIS 분야에서의 지리학의 위상을 파악하기 위해 GIS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지리학 및 지리교육전공에서 설정된 GIS 관련 교과목은 GIS 기본이론 및 활용에 편중되어 있다. 또한 GIS 관련 전문학회지에서의 연구결과들의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지리학자들에 의한 GIS 연구도 주로 공간분석과 응용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타 분야에 비해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IS 분야에서 GIS 전문인력으로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리학 전공자들은 신기술을 수용하고 GIS를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양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리학 교육과정에서 GIS 기술을 강화하여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 및 기술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2002, 우리나라 자격제도의 쟁점과 대안, 한국노동연구원
  2. 강호윤. 강인준. 장용구, 2003, ‘위치추적기술의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LBS학회, 1(1), 13-20
  3. 건설교통부, 2001, GIS 산업육성 및 지원방안에 관한 종합연구
  4. 김영표. 한선희, 2001, ‘GIS 시장과 산업의 실태분석.‘ 한국GIS학회지, 9(3), 369-383
  5. 김창호, 2003,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복합 교통수단의 통행경로 모형.‘ 한국LBS학회지, 1(1), 55-63
  6. 박삼옥 외 14인 , 2002, 지식정보사회의 지리학 탐색, 한울아카데미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사이버 GIS 캠퍼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연구
  8. 신명훈 외. 2000, 우리나라 자격제도의 개편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윤칠석, 2000, ‘지역환경관리계획과 GIS의 활용.’ 영남지역발전연구, 26, 79-95
  10. 이승택. 김용욱, 2003, LBS 기반의 대중교통 정보안내시스템 구축사례 연구,‘ 한국LBS학회지, 1(1), 65-71
  11. 정보통신부, 2003, 국가 GIS 전문인력 양성사업(교재개발 부문) GIS 부문
  12. 정보통신부, 2003, 국가 GIS 전문인력 양성사업
  13. 정보통신부. 건설교통부. 국토연구원, 2003, GIS 전문가 자격제도 도입방안 연구
  14. 최남희, 2003, '유비쿼터스 정보기술과 비즈니스 방향성.' U-Korea forum 창립기념세미나 자료집
  15. 최병남. 정윤희. 양광식, 2004, '지리정보수요변화에 따른 GIS산업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11(4), 439-452
  16. 최창학, 2003, 'Ubiquitous 혁명과 GIS 발전전략.' 측량, 대한측량협회, 67, 41-45
  17. 최창학, 2003, ‘Ubiquitous 혁명과 GIS 발전전략.’ 측량, 대한측량협회, 68, 64-74
  18. 하원규 외 2인, 2003,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 전자신문사
  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2002, 20대 전략품목기술/시장보고서 - GIS분야 -, ETRI
  20. 허완철. 송병기. 한찬석, 2003, ‘버스위치기반 버스정보관리시스템.‘ 한국LBS학회지, 1(1), 47-53
  21. Braun, S.D. et al.(eds.), 2004, Geography and Tech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Harvey, F.J. and Chrisman, N.R. 2004, The imbrication of geography and technology: the social construc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Brunn, S.D., Cutter, S.L. and Harrington, J.W., (eds.) Geography and Tech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65-80
  23. Murayama, Y., 2001, Geography with GIS, Geojournal, 52, 165-171
  24. Shaw, Shih-Lung, 1993, Geography: a place for GIS, Applied Geography, 13, 107-110
  25. Sui, D. and Morrill, R., 2004, Computers and geography: from automated geography to digital earth, in Brunn, S.D., Cutter, S.L. and Harrington,, J.W., (eds.), Geography and Tech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81-108
  26. ISO, 2001, Final text of TC/211 Project 19122, Geographic information/Geomatics-Qualifcations and Certification of personnel
  27. Wilbanks, T.J., 2004, Geography and technology, in Brunn, S.D., Cutter, S.L. and Harrington, J.W., (eds.) Geography and Tech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3-16
  28. Yano, K., 2001, GIS and quantitative geography, GeoJournal, 52, 173-180
  29. Zerler, M., 1988, Modeling Our World, ESRI Press
  30. Zook, M., Dodge, M., Aoyama, Y. and Townsend, A, 2004, New digital geographies: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place, in Brunn, S.D., Cutter, S.L. and Harrington, J.W., (eds.) Geography and Tech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155-176
  31. http://www.urisa.org/GIS_CERT-PRES/sld013.htm
  32. http://www.urisa.org/GIS_CERT-PRES/sld001.htm
  33. http://www.urisa.org/GIS_CERT-PRES/index.htm
  34. http://www.urisa.org/GIS_CERT-PRES/2certific.htm
  35. http://www.youngin.com/etest/license/domestic/field2_11_s.asp
  36. http://www.youngjin.com/etest/license/domestic/field2_12_s.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