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Water Quality between Forested and Agricultural Subcatchments in Daegwallyong Area

대관령 지역의 산림 소유역과 농경지 소유역의 수질 비교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Weekly monitoring of discharge and water quality in forested and agricultural subcatchment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water quality caused by land uses in Doegwollyong area. Correlations between water quality variables including discharge were analyzed for the same purpose. There was little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forested subcatchment. On the other hand, the range of water quality variation in agricultural subcatchment was wide due to soil loss and the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s and livestock manure. Dissolved oxygen(DO) had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charge in both subcatchments. Total nitrogen(T-N) and potassium ion(K$^{+}$) had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charge in forested subacatchment than in agricultural one. On the other hand, total suspended sediments(TSS), total phosphorus(T-P), and chemical oxygen demand(COD) had stronger correlation with discharge in agricultural subcatchment than in forested one. As water pollution of the Doam Lake, especially the increase of T-P is serious, soil conservat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water quality. In particular, the loss of soil and nutrients from late June till early July were more serious than any other seas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environmentally sustainable methods of cultivation.n.

본 연구에서는 대관령 지역의 산림 및 농경지 소유역을 대상으로 주 1회의 유량 및 수질 조사를 실시하고 유량 및 수질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산림 소유역의 수질 변화는 적었던 반면 농경지 소유역에서는 화학비료 및 가축분 퇴비의 시용과 토양 유실로 인해 큰 폭의 수질 변화를 보였다. 용존산소량(DO)은 두 소유역에서 유량보다는 수온과 매우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산림 소유역에서는 농경지 소유역에 비해 유량과 총질소(T-N) 및 $K^{+}$의 양의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농경지 소유역에서는 부유물질 총량(TSS), 총인(T-P) 및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 유량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대관령 지역에서는 도암호의 수질 오염, 특히 T-P의 증가가 심각하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농경지의 토양 유실 방지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고랭지 채소 파종기에 해당하는 6월말에서 7월초에 이르는 기간의 토양 및 양분유실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농법 도입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령지농업시험장, 1999, 감자총서, 농촌진흥청
  2. 고령지농업시험장, 2000, 고랭지 채소재배기술, 농촌진흥청
  3. 국립지질조사소, 1975, 한국지질도 오대산 도엽
  4. 기근도, 1999, 대관령 일대 지형. 토양환경,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박사학위논문
  5. 농업과학기술원, 1999, 작물별 시비처방 기술, 농촌진흥청
  6.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7. 박재철, 2000, 물순환모델에 의한 산림소유역의 유출특성 및 계류수의 수질변화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재현. 우보명, 1997, '산림유역내 강수로부터 계류수질에 미지는 영향인자 분석 -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한국임학회지, 86(4), 489-501
  9. 박종관, 1994, ‘SRC Method에 의한 산지 소유역의 부유토사 유출량 산정' 한국지형학회지, 1(1), 17-31
  10. 박철수, 2002, 고랭지 농경지의 유실방지를 위한 토양 관리 방법,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신영규, 2004, 대관령 지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수질특성 및 오염물 유출부하량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신영규. 김종욱, 2004, '대관령 지역의 토지이용이 오염물 유출부하량에 미치는 영향 - USLE계열 모형 및 CN법의 적용' 한국지형학회지, 11(2), 91-104
  13. 이춘수. 이계준. 신영규. 이정태. 신관용. 안재훈. 박철수, 2002a, '고랭지 토지이용형태가 소수계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시험연구보고서, 농촌진흥청 고령지시험장, 579-582
  14. 이춘수. 이계준. 이정태. 신관용. 안재훈. 조현준, 2002b, ‘고랭지 배추 재배농가의 시비실태 조사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5(5), 306-313
  15. 이헌호, 1997, '산지 물순환 素過程에 있어서 수질 변화의 추적분석에 의한 산림의 환경적 정화기능의 계량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6(1), 56-68
  16. 이헌호. 전재홍, 1996, '산지 물순환과정에 있어서 산도,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량의 변화' 한국임학회지, 85(4), 634-646
  17. 장재훈, 1996, '횡계-진부 지역의 침식면 지형발달에 관한 연구' 지리학연구, 28, 13-30
  18. 전방욱. 박광하, 1991, ‘횡계 송천수계의 수질상관‘ 동해안연구, 2(1), 강릉대학교, 1-5
  19. 전방욱. 박광하, 1992, ‘강릉수력발전소의 발전수 방류가 강릉남대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동해안연구, 3(1), 강릉대학교, 1-7
  20. 조병옥, 1999, 고랭지 채소 재배지의 토양환경 특성과 비옥도 관리방안,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평창군, 1970-2002, 평창군 통계연보
  22. 한동준, 2003, '강릉 남대천 살리기 운동의 추진현황과 향후방향' 강릉 남대천 관련 학술세미나, 강릉 남대천 살리기 범시민운동본부 & 동해안발전연구회, 3-18
  23. 허인량. 박상균. 최규열. 정의호, 1995, '송천상류 수계의 수질 및 오염부하량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1(3), 175-181
  24. 허인량. 신용건. 이건호. 최지용. 김영진. 정의호. 정명선, 2001, ‘송천유역의 수질환경특성 및 효율적 유역관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7(2), 51-59
  25. 환경부, 1997,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성문기술
  26. 환경부, 2003,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18041호
  27. Brady, N. C. and Weil, R. R., 2002,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3rd ed.), Prentice-Hall
  28. Campbell, F. B. and Bauder ,H. A., 1940, A ratingcurve method for determining silt-discharge of streams, Trans. American Geoph. Union, 21, 603-607
  29. Churchill, M. A., Elmore, H. L., and Buckingham, R. A,1962, The prediction of stream reaeration rate, in Advances in Water Pollution Research, Vol. 1, Proceedings, IAWPR International Conference, Pergamon
  30. Jung, Y. S., Yang, J. E., Joo, J. H., Kim, J. J., Kim, H. J. and Ha, S. K., 1999, Factor analysis of soil and water quality indicators in different agricultural areas of the Han River basin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2(4), 398-404
  31. Lee, R., 1980, Forest Hydrology, Columbia University Press
  32. McGill. W. B. and Cole, C. V., 1981, Comparative aspects of cycling of organic C,N,S and P through soil organic matter Geoderma, 26, 267-286
  3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34. Novotny, V. and Olem, H., 1994, Water Quality: Prevention,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diffuse pollution, Van Nostrand Reinhold
  35. O'Conner, D. J. and Dobbins, W. E., 1958, Mechanism of, reaeration in natural streams, Transaction of Am. Soc. Civil Eng., 123, 641-666
  36. Schlesinger, W. H., 1997, Biogeochemistry: An Analysis of Global Change (2nd ed.), Academic Press
  37. Walling D. E., 1974, Suspended sediment and solute yields from a small catchment prior to urbanization ,in Fluvial Processes in Instrumented Watersheds, Ins. British Geogr. Special Publ. No. 6, 169-192
  38. Winston,W. E. and Criss,R. E., 2002, Geochemical variations during flash flooding, Meramec River basin, May 2000, Journal of Hydrology, 265, 149-163